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14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그들의 유덕한 인격의 토대를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바른 생활과 교육의 설계도이다. 이번에 개정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2005년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오늘날 개정 시안이 확정되기까지 수많은 학자와 교사들의 헌신적 연구와 논의가 있었다. 아직도 개정 작업이 완전히 끝나지 않고 있을 정도로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탑재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내용을 바른 생활과 교육의 기본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바른 생활과 교육이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도덕적 이성을 계발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기본 생활 습관의 형성에 주력해야 한다. 도덕적 지식, 이해, 도덕적 사고력 및 도덕적 판단력을 전제하지 않고서 교사 중심의 내면화, 동일시, 모델링, 사회화, 조건화를 기본원리로 하여 기본 생활 습관의 형성만을 추구하는 것은 올바른 바른 생활과 교육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 마찬가지로 초등학교 1,2학년 수준에 적합한 지적 덕과 실천지를 겸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토대로 보다 나은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이 현장에 제공되어 실효성 있는 바른 생활과 교육이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그들의 유덕한 인격의 토대를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바른 생활과 교육의 설계도이다. 이번에 개정된 바른 생...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그들의 유덕한 인격의 토대를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바른 생활과 교육의 설계도이다. 이번에 개정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2005년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오늘날 개정 시안이 확정되기까지 수많은 학자와 교사들의 헌신적 연구와 논의가 있었다. 아직도 개정 작업이 완전히 끝나지 않고 있을 정도로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탑재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내용을 바른 생활과 교육의 기본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바른 생활과 교육이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도덕적 이성을 계발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기본 생활 습관의 형성에 주력해야 한다. 도덕적 지식, 이해, 도덕적 사고력 및 도덕적 판단력을 전제하지 않고서 교사 중심의 내면화, 동일시, 모델링, 사회화, 조건화를 기본원리로 하여 기본 생활 습관의 형성만을 추구하는 것은 올바른 바른 생활과 교육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 마찬가지로 초등학교 1,2학년 수준에 적합한 지적 덕과 실천지를 겸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토대로 보다 나은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이 현장에 제공되어 실효성 있는 바른 생활과 교육이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plan for elementary school 1, 2 grade to make basic habit.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studied from 2005 to now. Many scholars and teachers and those who concerned had devoted to develop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We should pay attention to lea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get a moral knowledge, moral comprehension, moral thinking, moral judgement first. And then we also them to build a desirable basic habit on based that our society required. Without to get moral wisdom of children, we can not educate 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internalize our society's value and norm. So we hope that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developed from the view of such a point.
      번역하기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plan for elementary school 1, 2 grade to make basic habit.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studied from 2005 to now. Many scholars and teachers and those who co...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plan for elementary school 1, 2 grade to make basic habit.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studied from 2005 to now. Many scholars and teachers and those who concerned had devoted to develop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We should pay attention to lea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get a moral knowledge, moral comprehension, moral thinking, moral judgement first. And then we also them to build a desirable basic habit on based that our society required. Without to get moral wisdom of children, we can not educate 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internalize our society's value and norm. So we hope that the tentative plan of a new 'Good Life'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developed from the view of such a poi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권, "학교가 무너지면 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2000

      2 유병열,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도덕윤리과교육, 2006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4-1" 2001

      4 김항인,서강식,유병열,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자료 개발연구" 2005

      5 유병열, "초등 도덕과의 정체성과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2005

      6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2005

      7 서강식,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의 모색" 2005

      8 이인재, "차기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평가와 교과서 개발 방향" 2006

      9 "차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2005

      10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2003

      1 김호권, "학교가 무너지면 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2000

      2 유병열,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도덕윤리과교육, 2006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4-1" 2001

      4 김항인,서강식,유병열,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자료 개발연구" 2005

      5 유병열, "초등 도덕과의 정체성과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2005

      6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2005

      7 서강식,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의 모색" 2005

      8 이인재, "차기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평가와 교과서 개발 방향" 2006

      9 "차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2005

      10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2003

      11 유병열, "인격교육의 실제" 양서원 2006

      12 김은수, "생활의 길잡이" 2006

      13 정창우,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평가와 교과서 개발의 기본방향" 2006

      14 서강식, "바른생활과 교육과정 개정안에 대한 토론" 2006

      15 서강식, "바른생활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대한 토론" 2005

      16 김태훈,서강식, "바른생활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006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2006

      18 유병열, "도덕과 교육론" 양서원 2003

      19 조강모,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2005

      20 서강식, "도덕, 윤리과 교수 - 학습과정" 양서원 2000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2004

      22 "Educating for character"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