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기도 시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실태 조사 연구 = (A)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ifetime sport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in Kyunggi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6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시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를 통하여 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 여부, 생활체육 형태, 생활체육활동 요인과 생활체육 환경, 그리고 생활체육 발전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욕구와 여론 등을 조사․분석하는데 주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 110명을 편의표집하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1:1 면접을 통해 생활체육실태를 조사하였다. 시각장애인 생활체육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본 설문지 내용은 첫째, 장애인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태도영역, 둘째, 생활체육의 참여실태영역, 셋째, 생활체육 발전 방안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시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욕구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생활체육의 가치는 재활에서 건강과 체력증진으로 전환되었다.
      둘째, 생활체육 편의시설의 확충과 보수,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전문지도자 양성 및 배치 등은 시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필요조건이었다.
      셋째,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과 일반 사람들과 차별 없는 행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lifetime sport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for sample of 110 from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in Gyeonggi Province. The contents and scopes for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activity and participation rate 1) physical fitness and health 2) Leisure time 3) participation rate. Second, condition and current status of lifetime sports for participation 1) for no participation 2) for participation. Third, needs and directions for future lifetime sports develop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sire for lifetime sports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in lifetime sports was high level, the value of lifetime sports are known to chang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promotion from rehabilitation.
      Second, the expansion and impairment sports facility of living athletics, program development and supply, training and disposition of professional leader etc. go known very important foundation in order to revitalize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rd, it is going to present Government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ithout discrimination were stonly required.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시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를 통하여 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 여부, 생활체육 형태, 생활체육활동 요인과 생활체육 환경, 그리고 생활체육 발전에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시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를 통하여 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 여부, 생활체육 형태, 생활체육활동 요인과 생활체육 환경, 그리고 생활체육 발전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욕구와 여론 등을 조사․분석하는데 주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 110명을 편의표집하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1:1 면접을 통해 생활체육실태를 조사하였다. 시각장애인 생활체육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본 설문지 내용은 첫째, 장애인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태도영역, 둘째, 생활체육의 참여실태영역, 셋째, 생활체육 발전 방안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시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욕구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생활체육의 가치는 재활에서 건강과 체력증진으로 전환되었다.
      둘째, 생활체육 편의시설의 확충과 보수,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전문지도자 양성 및 배치 등은 시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필요조건이었다.
      셋째,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과 일반 사람들과 차별 없는 행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lifetime sport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for sample of 110 from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in Gyeonggi Province. The contents and scopes for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activity and participation rate 1) physical fitness and health 2) Leisure time 3) participation rate. Second, condition and current status of lifetime sports for participation 1) for no participation 2) for participation. Third, needs and directions for future lifetime sports develop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sire for lifetime sports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in lifetime sports was high level, the value of lifetime sports are known to chang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promotion from rehabilitation.
      Second, the expansion and impairment sports facility of living athletics, program development and supply, training and disposition of professional leader etc. go known very important foundation in order to revitalize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rd, it is going to present Government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ithout discrimination were stonly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ⅳ-ⅴ
      • 그림목차 ⅵ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1
      • 표목차 ⅳ-ⅴ
      • 그림목차 ⅵ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 1. 생활체육 6
      • 2. 장애인 생활체육 9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자 16
      • 2. 조사도구 21
      • 3. 조사방법 22
      • 4. 연구절차 23
      • 5. 자료처리 24
      • Ⅳ. 연구결과
      • 1. 건강과 체력 관련 영역 25
      • 2. 여가시간에 관한 영역 27
      • 3. 생활체육 참여유무 영역 29
      • 4. 생활체육 비 참여자 영역 29
      • 5. 생활체육 참여자 영역 32
      • 6. 장애인 생활체육 발전 영역 41
      • Ⅴ. 논 의
      • 1. 건강과 체력 관련 영역 49
      • 2. 여가시간에 관한 영역 50
      • 3. 생활체육 참여유무 영역 50
      • 4. 생활체육 비 참여자 영역 51
      • 5. 생활체육 참여자 영역 51
      • 6. 장애인 생활체육 발전 영역 53
      • Ⅵ. 결론 및 제언
      • 1. 결 론 55
      • 2. 제 언 56
      • 참고문헌 59
      • 부 록 61
      • Abstract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