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 지원 선교 = Mission to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 Women to Raise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3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에 대한 교회공동체의 관심을 촉구하며, 교회가 탈북자 가정의 자녀양육 지원 사역과 관련하여 사회적 공동체로서의 선교적 역할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자녀 현 황과 양육문제 발생요인을 분석하고, 탈북여성의 자녀양육 지원 을 위한 한국 사회의 노력을 검토하여 한국교회가 탈북여성의 자 녀양육을 위한 사역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자녀 양육문제는 한국사회·문화 부적응 요인, 정신건강 요인, 경제적 요인, 정부지원정책 요인,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부적응 요인, 사회구조적 요인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 출생 탈북청소년 수보다 증가하고 있는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의 사명의식과 참여도가 낮 고, 사역의 심화와 전문성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다.
      탈북여성들과 제3국 출생 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 착하고 사회의 책임적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한국교회가 인식을 바꾸고, 관련사역에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것은 ‘건강한 가 정 회복 지원’, ‘성경적 어머니 정체성 확립 및 역할 지원’, ‘문화 및 가정교육’, ‘자녀의 정체성확립: 개인의 존엄성과 공동체성’, ‘교회와 사회의 지원 관계 구축’등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에 대한 교회공동체의 관심을 촉구하며, 교회가 탈북자 가정의 자녀양육 지원 사역과 관련하여 사회적 공동체로서의 선교적 역할을 어떻게 실현할 ...

      본고는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에 대한 교회공동체의 관심을 촉구하며, 교회가 탈북자 가정의 자녀양육 지원 사역과 관련하여 사회적 공동체로서의 선교적 역할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자녀 현 황과 양육문제 발생요인을 분석하고, 탈북여성의 자녀양육 지원 을 위한 한국 사회의 노력을 검토하여 한국교회가 탈북여성의 자 녀양육을 위한 사역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자녀 양육문제는 한국사회·문화 부적응 요인, 정신건강 요인, 경제적 요인, 정부지원정책 요인,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부적응 요인, 사회구조적 요인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 출생 탈북청소년 수보다 증가하고 있는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의 사명의식과 참여도가 낮 고, 사역의 심화와 전문성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다.
      탈북여성들과 제3국 출생 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 착하고 사회의 책임적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한국교회가 인식을 바꾸고, 관련사역에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것은 ‘건강한 가 정 회복 지원’, ‘성경적 어머니 정체성 확립 및 역할 지원’, ‘문화 및 가정교육’, ‘자녀의 정체성확립: 개인의 존엄성과 공동체성’, ‘교회와 사회의 지원 관계 구축’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alled for the church community’s interest in North Korean defector women raising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discussed how the church can realize its missionary role as a soci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support ministry.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he causes of child-rearing problems, reviewed Korean society’s efforts to sup- port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child rearing, and proposed a missionary plan for Korean churches to support the women.
      The child-rearing problem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for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re caused from various factors such as maladjustmen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mental health problem, economic difficulties, limitation of governmental support policy, and social structural barriers. The low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hurches, and limi- tations of expertise in ministry in relation to the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third countrie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more than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North Korea are revealed.
      Korean churches must change their perception and play a role in related ministries so that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can settle stably in Korean society and become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These are the ‘support for healthy family recovery’, ‘establishment of bib- lical mother identity and role support’, ‘culture and family edu- cation’, ‘establishing a child’s identity: individual dignity and community’, ‘building supportive relationships between church and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called for the church community’s interest in North Korean defector women raising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discussed how the church can realize its missionary role as a soci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support ministry. Fo...

      This paper called for the church community’s interest in North Korean defector women raising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discussed how the church can realize its missionary role as a soci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support ministry.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he causes of child-rearing problems, reviewed Korean society’s efforts to sup- port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child rearing, and proposed a missionary plan for Korean churches to support the women.
      The child-rearing problem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for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re caused from various factors such as maladjustmen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mental health problem, economic difficulties, limitation of governmental support policy, and social structural barriers. The low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hurches, and limi- tations of expertise in ministry in relation to the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third countrie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more than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North Korea are revealed.
      Korean churches must change their perception and play a role in related ministries so that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can settle stably in Korean society and become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These are the ‘support for healthy family recovery’, ‘establishment of bib- lical mother identity and role support’, ‘culture and family edu- cation’, ‘establishing a child’s identity: individual dignity and community’, ‘building supportive relationships between church and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정관,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의 개혁주의생명교육신학적 적용" 개혁주의생명신학회 36 (36): 83-113, 2023

      2 박지웅, "한국교회 청년사역에 대한 목회적 제언: 내수동교회를 중심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8 : 187-224, 2017

      3 정익중, "한국 아동권리의 현주소: 동상이몽, 부모자녀아동권리인식 비교" 15 : 8-15, 2019

      4 장신근, "통전적 신앙양육을 위한 가정-교회연계 격대(隔代)교육‚ 아동기를 중심으로 ‚"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0 (50): 291-322, 2018

      5 황미혜,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11-144, 2019

      6 권혜정, "태영호 귀순 동기는 … 체제보다 자녀고민? 이민형탈북?"

      7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탈북학생 멘토링 지도사례집"

      8 김지수,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운영 사업 14차년도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22

      9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10 윤혜경, "탈북청소년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독교 선교 방안 : 기독교대안학교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2019

      1 주정관,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의 개혁주의생명교육신학적 적용" 개혁주의생명신학회 36 (36): 83-113, 2023

      2 박지웅, "한국교회 청년사역에 대한 목회적 제언: 내수동교회를 중심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8 : 187-224, 2017

      3 정익중, "한국 아동권리의 현주소: 동상이몽, 부모자녀아동권리인식 비교" 15 : 8-15, 2019

      4 장신근, "통전적 신앙양육을 위한 가정-교회연계 격대(隔代)교육‚ 아동기를 중심으로 ‚"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0 (50): 291-322, 2018

      5 황미혜,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11-144, 2019

      6 권혜정, "태영호 귀순 동기는 … 체제보다 자녀고민? 이민형탈북?"

      7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탈북학생 멘토링 지도사례집"

      8 김지수,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운영 사업 14차년도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22

      9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10 윤혜경, "탈북청소년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독교 선교 방안 : 기독교대안학교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2019

      11 김수경, "탈북여성의 학부모 경험과 정체성 타협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795-806, 2022

      12 심양섭,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북한연구소 41 (41): 61-107, 2016

      13 강민주, "탈북여성의 인신매매에 대한관계국의 법제와 과제" 젠더법학연구소 12 (12): 67-104, 2020

      14 안재희, "탈북여성을 통해 본 북한 여성의 교육경험 분석" 65 : 211-244, 2003

      15 지성호, "지성호 의원, 법률교육 취약계층 탈북민 지원 법률보호관 신설안발의"

      16 문은희 ; 윤영, "중국 경유 탈북여성의 다중문식성(multiliteracies)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11 (11): 151-189, 2021

      17 통일부, "주요사업: 최근현황"

      18 통일부, "주요사업: 정착지원제도"

      19 양혜린 ; 고윤정 ; 김옥수 ; 박연미 ; 이혜란,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9) : 205-229, 2017

      20 여성가족부, "정책뉴스: 여성가족부 장관, 탈북다문화 청소년과 간담회"

      21 손지연, "정보취약계층 소비자권익 증진방안연구" 1-109, 2017

      22 신윤정, "인구 변화 대응을 위한 포용적 다문화 정책 방안: 이주.배경아동의 발생 성장 환경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원 2018

      23 권금상, "이주과정으로 (재)구성된 탈북여성 가족의 현재성" 인문학연구원 86 : 293-324, 2021

      24 북한인권연구센터, "사회권의 관점에서 본 북한인권" 통일연구원 2017

      25 북한인권연구센터, "사회권의 관점에서 본 북한인권" 통일연구원 2017

      26 홍순옥 ; 문명순,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에 미치는 영향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57-70, 2007

      27 손동신, "사하라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의 에이즈 고아를 위한 선교"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8 (28): 159-189, 2014

      28 노우리, "비인적 특성과 교육투자순익률: 분위별 회귀분석 방법중심으로" 12 (12): 29-58, 2019

      29 이순형,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적 경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4 : 2015

      30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31 조영주,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정책 측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여성가족부성별영향평가과 2016

      32 박정원, "북한의 교육법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191, 2003

      33 통일부, "북한 지식사전(2021)"

      34 고영은, "북한 사회의 기독교 인식 변화 분석"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223-250, 2013

      35 임계순 ; 송영, "부모 양육 태도가 부모-자녀 간 세대 갈등에 미치는 영향: 신앙성숙도의 매개 효과"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8 (28): 245-281, 2020

      36 이준웅, "관계적 인간의 형성 :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37 손동신, "거리의 아동(Street Children)을 위한 선교"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32 (32): 85-118, 2015

      38 이관직, "개혁주의생명신학과 목회상담" 5 : 179-215, 2012

      39 문강원, "개혁주의생명신학과 나눔운동-사랑의 쌀독 전국연합과 서대문구 어린이 축제를 중심으로-" 7 : 175-208, 2013

      40 이정기, "개혁주의생명신학과 교육의 본질 회복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5 (25): 83-117, 2019

      41 하재성, "개혁주의 교회론과 교회상담을 통한 영혼돌봄" 13 : 237-265, 2015

      42 김동진, "[시사기획 창] 통장에 3,858원…세상 떠난 탈북민 모자의 진실은?"

      43 김정원, "2주기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2018

      44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2023년 탈북학생 교육통계 현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