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CSR 연구동향 = CSR Research Trends Using Big Data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SR research trends using big data analysis. To conduct this study, 2,847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used the Rx64 4.0.2 progra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SR was increasing and expanding by the field. The overall keyword were derived as 'CSR', 'social', and 'responsibility', but it's different from fiel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urrent trend of CSR still has a high relationship with business, social, responsibility, value, and others. However, compared to the previous trend, reflecting the current business transition, the connection between CSR, sustainability and the co-creation of shared value seems like increasing. This implies that the recent CSR is not only in individual responsibility of the corporation but aims to create shared- and synergetic value of society from the sustainability perspective. It's believed that better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if continuous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approache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SR research trends using big data analysis. To conduct this study, 2,847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used the Rx64 4.0.2 progra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SR was increasing and expanding by the fi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SR research trends using big data analysis. To conduct this study, 2,847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used the Rx64 4.0.2 progra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SR was increasing and expanding by the field. The overall keyword were derived as 'CSR', 'social', and 'responsibility', but it's different from fiel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urrent trend of CSR still has a high relationship with business, social, responsibility, value, and others. However, compared to the previous trend, reflecting the current business transition, the connection between CSR, sustainability and the co-creation of shared value seems like increasing. This implies that the recent CSR is not only in individual responsibility of the corporation but aims to create shared- and synergetic value of society from the sustainability perspective. It's believed that better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if continuous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approache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CSR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2022.01.30일 기준으로 검색 된 2,847건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R x64 4.0.2프로그램과 Rstudi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CSR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연구분야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키워드는 ‘CSR', '사회’, ‘책임’으로 도출되었으나 분야별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CSR에 대한 사회적공유와 시너지적 가치 창출이 중요하며, 지속가능을 위한 법적, 제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분석과 접근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된다면 더 나은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 CSR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2022.01.30일 기준으로 검색 된 2,847건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본 연구에서 CSR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2022.01.30일 기준으로 검색 된 2,847건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R x64 4.0.2프로그램과 Rstudi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CSR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연구분야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키워드는 ‘CSR', '사회’, ‘책임’으로 도출되었으나 분야별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CSR에 대한 사회적공유와 시너지적 가치 창출이 중요하며, 지속가능을 위한 법적, 제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분석과 접근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된다면 더 나은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소영 ; 한진수, "환대산업 CSR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49-163, 2017

      2 김동남 ; 홍금석 ; 고진환 ; 전정환, "한국의 항공우주 분야 연구동향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33 (33): 193-226, 2017

      3 허용현, "한국의 CSR 활동에 관한 연구 동향" 26 (26): 5-33, 2015

      4 배지양 ; 조수영, "한국 사회공헌활동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1997년부터 2010년까지 주요 학술지 분석" 한국광고학회 22 (22): 127-159, 2011

      5 김대영, "평판 분야의 국내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 학술지의 연구대상 및 방법론을 중심으로(1997-2013년)" 대한경영학회 27 (27): 1903-1921, 2014

      6 장남경 ; 김민정, "패션 트렌트(2010∼2019)의 주요 요소로서 소재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분석 -" 한국의류산업학회 22 (22): 551-560, 2020

      7 조수곤 ; 김성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산업공학 학술지의 논문 주제어간 연관관계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38 (38): 67-73, 2012

      8 육동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직업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586-599, 2017

      9 정용복 ; 박의섭,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암반공학분야 SCI논문의 주제어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25 (25): 303-319, 2015

      10 안주영 ; 배정환 ; 한남기 ;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감정 유발 요인 ‘Emotion Trigger’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1 (21): 69-92, 2015

      1 안소영 ; 한진수, "환대산업 CSR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49-163, 2017

      2 김동남 ; 홍금석 ; 고진환 ; 전정환, "한국의 항공우주 분야 연구동향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33 (33): 193-226, 2017

      3 허용현, "한국의 CSR 활동에 관한 연구 동향" 26 (26): 5-33, 2015

      4 배지양 ; 조수영, "한국 사회공헌활동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1997년부터 2010년까지 주요 학술지 분석" 한국광고학회 22 (22): 127-159, 2011

      5 김대영, "평판 분야의 국내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 학술지의 연구대상 및 방법론을 중심으로(1997-2013년)" 대한경영학회 27 (27): 1903-1921, 2014

      6 장남경 ; 김민정, "패션 트렌트(2010∼2019)의 주요 요소로서 소재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분석 -" 한국의류산업학회 22 (22): 551-560, 2020

      7 조수곤 ; 김성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산업공학 학술지의 논문 주제어간 연관관계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38 (38): 67-73, 2012

      8 육동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직업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586-599, 2017

      9 정용복 ; 박의섭,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암반공학분야 SCI논문의 주제어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25 (25): 303-319, 2015

      10 안주영 ; 배정환 ; 한남기 ;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감정 유발 요인 ‘Emotion Trigger’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1 (21): 69-92, 2015

      11 김성현 ; 장석호 ; 이상원, "정형 비정형 빅데이터의 융합분석을 위한 소비 트랜드 플랫폼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33-143, 2017

      12 김지영, "의미있는 일을 잘 해내고 있다는 믿음: 서비스 접점 종업원의 기업 CSR인식이 고객지향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9 (19): 113-132, 2018

      13 강윤지 ; 김재영 ; 강지훈 ; 김상훈, "의미연결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광고홍보학 분야의 CSR 연구동향 분석(2003~2020)" 한국광고학회 32 (32): 7-40, 2021

      14 이종학 ; 김민균,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의 글로벌 CSR:삼성전자 CSR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1 (21): 74-96, 2020

      15 김계수, "빅데이터분석과 메타분석" 한나래 2015

      16 전지영, "빅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밭대학교 2019

      17 황동열 ; 황서이,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인문콘텐츠 분야의 의미연결망 분석 -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인문콘텐츠학회 논문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43) : 229-255, 2016

      18 이장원, "노동·사회 측면에서 진단한 CSR의 실태와 발전방향" 20-39, 2006

      19 김선화 ; 이계원,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 및 향후 연구방향" 대한경영학회 26 (26): 2397-2425, 2013

      20 김지혜 ; 조상미 ; 김인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 효과성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5) : 87-120, 2010

      21 장선구 ; 석상훈,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연구의 진화과정과 신통합적 접근법" 한국경영사학회 (45) : 261-284, 2007

      22 곽배성 ; 이재혁, "국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언" 한국전략경영학회 22 (22): 21-50, 2019

      23 홍의 ; 김영민 ; 전호진, "국내 CSR 연구의 동향 분석: 무역 및 물류 등재(후보)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 (20): 45-60, 2020

      24 정예림 ; 배지은, "국내 CSR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학위논문분석을 중심으로(2000~2012)" 사회과학연구소 30 (30): 43-68, 2014

      25 권미분, "관광학술지 논문초록 코퍼스의 어휘적 특성: 관광레저연구 영문초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25-38, 2017

      26 정예림 ; 이성춘 ; 이은선, "게시물의 상호작용성 및 유형, 소비자의 브랜드 구매정도가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 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4 (24): 191-219, 2013

      27 김성수, "企業의 社會的 責任(CSR)의 理論的 變遷史에 관한 硏究" 한국기업경영학회 16 (16): 1-25, 2009

      28 IDC, "Worldwide Semiannual Big Data and Analytics Spending Guide"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6

      29 Bowen, H. R,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business" NewYork 1953

      30 John, G., "Extracting Value from Chaos" IDC 1-12, 2011

      31 Wang, J., "Deep learning for smart manufacturing Methods and applications" 48 (48): 144-156, 2018

      32 Porter, M. E., "Creating Shared Value: How to Reinvent Capitalism and Unleash a Wave of Innovation and Growth" 39 (39): 1-17, 2011

      33 최병권 ; 문형구 ; 주영란, "CSR 인식의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방향: ‘종업원의 CSR 인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46 (46): 1247-1302, 2017

      34 김진욱 ; 변선영, "CSR 개념의 전개과정과 기업집단의 대응과정" 한국경영교육학회 (58) : 171-197, 2009

      35 James, M.,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1

      36 Carroll, A. B.,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 4 (4): 497-505, 1979

      37 De, M. A., "A formal definition of Big Data based on its essential features" 65 (65): 122-135, 2016

      38 이은지 ; 김수균, "A Research Analysis of QR code based on big data in Korea"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189-200,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