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역』 ‘삼진구덕괘’의 근본 문제에 대한 검토 = Study on the Fundamental Issues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n Zhouy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는 64괘 중에서 아홉 괘[九卦]의 괘의(卦義)를 덕(德)의 속성과 연결 지어 3차례 설명한 것으로, 우환에 대처하는 도리를 밝힌 것이다. 수양을 가지고 우환을 방지 ...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는 64괘 중에서 아홉 괘[九卦]의 괘의(卦義)를 덕(德)의 속성과 연결 지어 3차례 설명한 것으로, 우환에 대처하는 도리를 밝힌 것이다. 수양을 가지고 우환을 방지 또는 해소하는 근거로 삼음으로써, 역학사 및 윤리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역전』의 ‘도덕’적 해석 내용을 한 곳에서 전면적으로 논술한 것이어서 특히 중요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삼진구덕괘의 형성과 체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도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진구덕괘의 의미와 가치를 주로 논하는 기존 담론과 달리, 그의 형성과 체제 등 근본 문제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환에 대처하는 괘가 왜 아홉 개인가에 대해,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용례를 검토하여 ‘구덕’이 춘추시대에 이미 보편화된 관념이어서 구괘도 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소개한다.
      둘째, 삼진구덕괘 제1진의 “무엇은 덕의 무엇이다(某, 德之○)”라는 표현 방식은 춘추시대에 이미 관례화돼 있던 것을 바탕으로 공자의 역에 대한 관념을 반영한 것일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구괘를 굳이 3번 반복 설명한 까닭에 대해 기왕의 견해를 정리·소개하고, 『백서주역(帛書周易)』이 당시 존재하던 판본 중에서 각기 다른 3가지 문형을 취합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출한다. 「충(衷)」편의 문형 분석 결과를 그 근거로 들고 있다.
      넷째, 백서본 삼진구괘장 및 「충」편 일부 괘의 괘 나열 순서가 통행본의 그것과 같음을 지적하고, 이는 『백서』 당시 통행본과 동일한 괘서(卦序)를 갖춘 판본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자료라고 평가한다.
      이상의 논의는 결국 성인이 『역전』을 지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주역』은 어느 한 시대 어느 한 사람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계속해서 형성된 것”이라는 오늘날의 정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s a three-fold explanation of nine of the sixty four hexagrams in relation to the attributes of “virtue” (or de), and explains how to deal with misfortune. It has an great effect on the history o...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s a three-fold explanation of nine of the sixty four hexagrams in relation to the attributes of “virtue” (or de), and explains how to deal with misfortune. It has an great effect on the history of Zhouyi and ethics by preventing or handling misfortune through discipline. Furthermore, it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the moral interpretation of Yi-Zhuan is discussed in one monograph as a whole. However,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the formation and system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Unlike existing researches discus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undamental issues: e.g. its origins and basis.
      First, I introduce a view about the reason why there exist nine hexagrams to cope with misfortune; the ‘nine virtues,’ the concept already universalized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eems to affect the number of hexa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in Zuozhuan and Guoyu.
      Second, I also introduce that two origins of the expression “something is some of de” in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1) it was already customar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r (2) Confucius' descendants modified the scriptures to reflect the notion of his work.
      Third, I summarize and introduce existing views on the triple explanation, and suggest one hypothesis; it is the result of combin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patterns at that time. The sentence format analysis result of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is presented as the reason.
      Finally, I point out that the order of some hexagrams in the Chapter of Interpreting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and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are the same as that of the current version. This implies that some versions sharing the order of hexagrams in the current version already existed, when Silk Manuscript was written.
      The above discussions consequentially repute the theory that one saint wrote Yi-Zhuan, and support common view that Zhouyi was not formed by a person at a time, but was formed and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man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주역대전 편찬실, "한국주역대전(14)" 學古房 2017

      2 김성기, "유가경전 재해석을 위한 해석학적 입장의 정초 시론- 고고학과 역사학의 “정합”을 기반으로 -" 한국유교학회 (28) : 2007

      3 원용준, "역류 출토문헌을 통한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한국유교학회 (70) : 37-61, 2017

      4 고전문화연구회, "동양고전종합DB"

      5 陸九淵, "象山先生全集, 卷34,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6 刘彬, "论帛书≪衷≫篇的篇名及其象数思想" 퇴계연구소 (54) : 23-36, 2014

      7 劉大鈞, "讀馬王堆帛書‘衷’篇" 中國周易學會 (89) : 2008

      8 "禮記"

      9 朱 熹, "朱子語類, 권76,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10 "書經"

      1 한국주역대전 편찬실, "한국주역대전(14)" 學古房 2017

      2 김성기, "유가경전 재해석을 위한 해석학적 입장의 정초 시론- 고고학과 역사학의 “정합”을 기반으로 -" 한국유교학회 (28) : 2007

      3 원용준, "역류 출토문헌을 통한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한국유교학회 (70) : 37-61, 2017

      4 고전문화연구회, "동양고전종합DB"

      5 陸九淵, "象山先生全集, 卷34,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6 刘彬, "论帛书≪衷≫篇的篇名及其象数思想" 퇴계연구소 (54) : 23-36, 2014

      7 劉大鈞, "讀馬王堆帛書‘衷’篇" 中國周易學會 (89) : 2008

      8 "禮記"

      9 朱 熹, "朱子語類, 권76,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10 "書經"

      11 朱伯崑, "易學哲學史(8)" 소명출판 2012

      12 朱伯崑, "易學哲學史(8)" 소명출판 2012

      13 朱伯崑, "易學哲學史" 소명출판 2012

      14 陳啟文, "成德廣業之“三陳九卦”" 中國周易學會 (42) : 1999

      15 김상섭, "帛書周易(上·下)" 비봉출판사 2012

      16 "左傳"

      17 "国語"

      18 郭信煥, "周易의 自然과 人間에 關한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87

      19 來知德, "周易集註" 夏學社出版事業有限公司 1975

      20 張政烺, "周易硏究論文集 제1집"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87

      21 孔穎達, "周易正義,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22 朱 熹, "周易本義,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23 廖名春, "周易哲學史" 예문서원 1994

      24 王夫之, "周易內傳(5)" 學古房 2014

      25 정병석, "周易(下)" 을유문화사 2011

      26 "周易"

      27 "史記"

      28 勞思光, "中國哲學史: 漢唐篇" 探求堂 1987

      29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30 趙中偉, "『易傳』之德性本體論詮釋:以‘憂患九卦’爲例" 輔仁大學中國文學系 21 : 2014

      31 李鼎祚, "『周易集解, 卷16,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32 권호용, "『周易』 九德卦의 原義 분석" 한국동서철학회 (84) : 5-44, 2017

      33 鄭万耕, "“三陳九卦”章考釋" 中國周易學會 (83)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