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도덕 수업 자기평가 영역을 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설계, 수업실행, 교사의 전문성 제고 등의 영역으로 구분한 뒤 수업반성을 통해 나타난 변화 과정을 살펴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977402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 (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도덕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372.832 판사항(22)
충청북도
vi, 80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 남궁달화
참고문헌 : p.60-6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도덕 수업 자기평가 영역을 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설계, 수업실행, 교사의 전문성 제고 등의 영역으로 구분한 뒤 수업반성을 통해 나타난 변화 과정을 살펴 도...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도덕 수업 자기평가 영역을 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설계, 수업실행, 교사의 전문성 제고 등의 영역으로 구분한 뒤 수업반성을 통해 나타난 변화 과정을 살펴 도덕수업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주시에 근무하는 A교사와 청원군 S초등학교 분교에 근무하는 B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반성의 과정을 순환 반복 적용하여 수업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수업촬영, 도덕수업 자기 평가 준거지 작성 및 체크리스트 작성, 수업 협의 기록 및 면담, 그리고 반성일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의 의해 분석하였고, 삼각검증법에 의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2명의 연구 대상 교사의 개별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도덕 수업의 변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본 지식과 능력 영역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발달 수준에 대한 고려 면이 더욱 중요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교사인 경우 6학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해 모둠 활동을 자주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분위기를 마련해 주는 데 역점을 두었다. B교사인 경우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흥미로운 제재를 선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수업을 변화시켜 갔다. 그래서 경직되기 쉬운 토의 수업을 점점 원활히 할 수 있었다고 본다.
둘째, 수업 설계 영역에서는 수업 준비 및 사전 점검 면에서 처음 도덕수업과는 다른 점이 보였다. A교사는 교과서 위주로 하는 것도 한 시간 수업하기에 벅차다는 생각을 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 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교과서 외의 자료를 찾게 되고 수업에 대한 간단한 진행 메모를 하여 수업이 더욱 매끄럽게 진행되도록 하였다. B교사는 수업을 준비하면서 모둠 구성을 다양하게 하였다. 학생 인원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소모둠(4-6명), 전체 토의, 교사위주의 토의, 학생위주의 토의 등 다양하게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수업으로 만들었다.
셋째, 수업 실행 영역에서는 교수 학습 방법 면이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A교사는 수업 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하게 가져가는 특징을 보였다. 교과서 중심의 토의 위주 수업, 역할극을 활용한 수업,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자료 이용을 한 수업 등을 보여 주었다. B교사는 학교 특성상 자신감이 많이 결여된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토의수업방법을 다양화하였다.
넷째, 교사의 전문성 제고 영역에서 연구대상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수업 행동이나 말투, 태도 자세 등을 관찰할 기회를 가짐으로써 문제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었고, 이렇게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부적절한 수업행동을 비교적 단시간 내 개선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제언해 본다면
첫째, 본 연구는 단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교사의 수업반성과정을 장기간에 걸쳐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사는 수업 공개에 대한 심적 부담을 탐구적 자세와 열린 자세로 극복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개인적 가치관과 실천 그리고 반성과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는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