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틀로서 제시된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관계’를 그 내용구성의 기본 틀로서 제 시하고 있다. 관계란 존재론적 측면에서 보아, 한 실체로서의 주체가 다른 대상과 일정한 근 거를 기초로 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관계의 주체는 행복을 삶의 목적으로서 추구하며 자율성을 지닌 도덕적 행위의 동인이다. 그리고 관계의 대상은 각 각 우리, 타인; 사회, 국가, 지구공동체; 자연, 초월적 존재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한편 공동선은 주체와 대상을 연결하는 관계의 근거를 이루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
      번역하기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관계’를 그 내용구성의 기본 틀로서 제 시하고 있다. 관계란 존재론적 측면에서 보아, 한 실체로서의 주체가 다른 대상과 일정한 근 ...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관계’를 그 내용구성의 기본 틀로서 제 시하고 있다. 관계란 존재론적 측면에서 보아, 한 실체로서의 주체가 다른 대상과 일정한 근 거를 기초로 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관계의 주체는 행복을 삶의 목적으로서 추구하며 자율성을 지닌 도덕적 행위의 동인이다. 그리고 관계의 대상은 각 각 우리, 타인; 사회, 국가, 지구공동체; 자연, 초월적 존재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한편 공동선은 주체와 대상을 연결하는 관계의 근거를 이루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lation is presented as a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its ontological viewpoint the concept 'relation'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a subject as a substance and an object through a basis. In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the subject of relation is the moral agent having autonomy and pursuing the happiness as an end of life. The objects of relation are we, others, society, nation, global community, nature, and transcendent being. The basis of relation is common good which is showed variously according to subject-object chains.
      번역하기

      Relation is presented as a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its ontological viewpoint the concept 'relation'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a subject as a substance and an object ...

      Relation is presented as a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its ontological viewpoint the concept 'relation'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a subject as a substance and an object through a basis. In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the subject of relation is the moral agent having autonomy and pursuing the happiness as an end of life. The objects of relation are we, others, society, nation, global community, nature, and transcendent being. The basis of relation is common good which is showed variously according to subject-object chai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ristoteles, "형이상학" 이제이북스 2007

      2 정의채, "형이상학" 바오로딸 1984

      3 McNeil, John D., "현대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08

      4 권대중, "헤겔의 체계 1: 체계의 발전과 논리학 (한길 그레이트북스 88)" 한길사 2007

      5 김선희, "플라톤 『소피스테스』에 나타난 이데아의 관계성" 연세대학교 2000

      6 Elders, Leo J,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 2008

      8 Owens, Joseph, "존재 해석"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3

      9 전헌호, "자연환경, 인간환경" 성바오로 1998

      10 박세원, "이해의 선물 : 인간이해․존재구성․관계맺기를 위한 존재론적 탐구" 교육과학사 2013

      1 Aristoteles, "형이상학" 이제이북스 2007

      2 정의채, "형이상학" 바오로딸 1984

      3 McNeil, John D., "현대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08

      4 권대중, "헤겔의 체계 1: 체계의 발전과 논리학 (한길 그레이트북스 88)" 한길사 2007

      5 김선희, "플라톤 『소피스테스』에 나타난 이데아의 관계성" 연세대학교 2000

      6 Elders, Leo J,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 2008

      8 Owens, Joseph, "존재 해석"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3

      9 전헌호, "자연환경, 인간환경" 성바오로 1998

      10 박세원, "이해의 선물 : 인간이해․존재구성․관계맺기를 위한 존재론적 탐구" 교육과학사 2013

      11 Rotter, Hans, "윤리의 기초" 분도출판사 1993

      12 박제철,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에서의 실체와 관계" 철학연구소 16 : 5-30, 2008

      13 de Vries, Josef, "스콜라 철학의 기본 개념" 분도출판사 1997

      14 Platon, "소피스테스" 한길사 2000

      15 Hirschberger, Johannes, "서양철학사 (상권/하권)" 이문출판사 1997

      16 조긍호, "사회관계론의 동․서 비교" 서강대학교출판부 2012

      17 Aristoteles, "범주론" 이제이북스 2005

      18 강두호, "도덕교육의 교과교육학적 탐구" 도서출판 역락 2009

      19 강두호,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의도된 초월적 존재 윤리의 특성"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4 (34): 29-50, 2011

      20 강두호,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도덕 주체의 속성 ― 존재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9 (29): 1-20, 2009

      21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2012

      22 Hegel, Georg W. F., "대논리학(Ⅱ)" 지학사 1982

      23 Aristoteles,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24 강현석, "교육과정 설계상의 주요 쟁점 분석" 17 (17): 137-165, 1999

      25 趙蘭心, "道德敎育의 目的으로서의 自律性 : 그 意味와 限界"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6 Saint Augustine, "The Trinity, Hyde Park" New City Press 2012

      27 Heil, John,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taphysics" Routledge 310-321, 2012

      28 Westerhoff, Jan C., "The Construction of Ontological Categories" 82 (82): 595-620, 2004

      29 Gale, Richard M., "The Blackwell Guide to Metaphysics" Blackwell 2002

      30 Aquinas, Thomas, "Summa Theologica; tr. Fathers of English Dominican Province" Encyclopedia Britannica 2007

      31 Groff, Ruth, "Ontology Revisited : Metaphysics in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 Routledge 2012

      32 Barry, Smith, "On Substances, Accidentia and Universals: In Defence of a Constituent Ontology" 26 : 105-127, 1997

      33 Mattingly, B., "New Catholic Encyclopedia, Vol.12" Gale 2003

      34 Radkau, Joachim, "Nature and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5 Blasi, Augusto,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1984

      36 Plotinus,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Encyclopedia Britannica 2007

      37 Winch, Christopher, "Education, Autonomy and Critical Thinking" Routledge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