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과에서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social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3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a program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social studies and to illustrate actual cases.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of media literacy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studi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a program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social studies and to illustrate actual cases.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of media literacy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upport what this study suggested. Third, it search for the program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social studies.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 learning method that has been established for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 practical participation attitude, teaching critical discourse theme, and practising discourse classes. Lastly, it illustrated a teaching & learning lesson plan of discourse theme as an actual classroom case.
      This study suggested a demand for further studies on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First, various discourse themes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matic strand an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must keep being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rooms. Then, different types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workshops among teachers of each course of study must be activated for developing thematic strands, practical classroom models, and learning materials. Second, teachers and learners must cooperate in an open and self-regulating atmosphere in order to settle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Third, this study has not analyzed the process of actual classroom practice because it focused mainly on the theoretical support of searching for the program. Thus, further research on classroom practice and educational effect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매체 해독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개관한 후 매체 해독과 사회과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매체 해독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개관한 후 매체 해독과 사회과 교육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관련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목표로 비판적 사고력 및 실천적 참여 태도 함양, 교육내용으로 비판적 담론 주제 및 담론 주제 선정의 근거, 담론 수업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의 적용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담론 주제를 단원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매체 해독 활용 비판적 담론 교육이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제반 과제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육의 성격 및 내용을 고려하여 관련 주제 스트랜드 및 교육과정 내용 요소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담론 주제가 계속해서 꾸준히 개발되기 위해 담론 주제,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 관련 학습 자료 등의 개발 및 공유 작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교사들간 공동 연구 및 협조 체제 구축을 위한 교과 모임 활성화, 각종 행정적 지원 등이 요구된다. 둘째, 매체를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자율적이고 개방적인 대화의 문화가 정착되고, 교사와 학생이 탐구 공동체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셋째, 실제 교실 수업 현장에서 매체 활용 비판적 담론 교육의 구체적 실행 과정, 교육적 효과, 시사점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위해 후속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등교사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길잡이" 한국언론재단 2002

      2 "영화 텍스트 읽기와 사회과 수업" 34 (34): 43-64, 2002

      3 "사회과에서의 영상매체 활용 수업모형 개발" 32 (32): 283-302, 1999

      4 "사회과에서의 신매체 활용 : 함의와 과제" 31 (31): 213-237, 1998

      5 "사회과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41 (41): 23-45, 2002

      6 "사회과 교육에서 미디어를 통한 문화교육의 방향 모색" 36 (36): 261-280, 2004

      7 "미디어 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으로서의 "미디어 선용 능력"" 14 (14): 47-79, 1999

      8 "미디어 교육의 한국형 모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14 (14): 37-79, 2000

      9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와 연구 방향의 모색" 8 (8): 5-24, 2002

      10 "고등학교 공통 사회의 완전 통합 단원 구성 연구" 1997

      1 "중등교사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길잡이" 한국언론재단 2002

      2 "영화 텍스트 읽기와 사회과 수업" 34 (34): 43-64, 2002

      3 "사회과에서의 영상매체 활용 수업모형 개발" 32 (32): 283-302, 1999

      4 "사회과에서의 신매체 활용 : 함의와 과제" 31 (31): 213-237, 1998

      5 "사회과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41 (41): 23-45, 2002

      6 "사회과 교육에서 미디어를 통한 문화교육의 방향 모색" 36 (36): 261-280, 2004

      7 "미디어 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으로서의 "미디어 선용 능력"" 14 (14): 47-79, 1999

      8 "미디어 교육의 한국형 모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14 (14): 37-79, 2000

      9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와 연구 방향의 모색" 8 (8): 5-24, 2002

      10 "고등학교 공통 사회의 완전 통합 단원 구성 연구" 1997

      11 "http //www medialit org"

      12 "http //www medialit org"

      13 "http //www acmecoalition org"

      14 "Theory of media literacy: A cognitive approachcy" Sage Publications, Inc. 2004

      15 "The Struggle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es, Problems, and Possibilities(pp.3-19)"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19, 1997

      16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Company 1966

      17 "Strkturwandel der 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rgerlichen Gesellschaft, 공론장의 구조 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출판 2001

      18 "Schooling and the struggle for public life Critical pedagogy in the modern age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8

      19 "Pedagogy of the oppressed" The Seabury Press 1973

      20 "Official knowledge: Democratic education in a conservative age, 학교 지식의 정치학: 보수주의 시대의 민주적 교육" 우리교육 2001

      21 "New implication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16, 1992

      22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994

      23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51, 1977

      24 "NIE를 활용한 정보화 시대의 지리교육" 30 : 163-178, 1997

      25 "Media literacy: Keys to interpreting media messages" Praeger 2001

      26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

      27 "Literacy in a multimedia age" Christopher-Gordon. 2001

      28 "Expanding the concept of literacy, Media literacy in the information age(pp.163-183)" Transaction. 163-183, 1997

      29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College Press 1988

      30 "Designing issue-based unit plans, Handbook on teaching social issues, Bulletin 93(pp. 89-98)"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93 : 89- 98, 1996

      31 "Critical pedagogy:Notes from the real world" Addison-Wesley Longman Inc 2000

      32 "Criteria for issues-centered content selection, Handbook on teaching social issues, Bulletin 93(pp. 44-50)"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93 : 44- 50, 1996

      33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Foresman and Company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