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기철기시대 청동유물의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74158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문화재보존과학과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of bronze artifacts in early iron age: focus on the jeonbuk area

      • 형태사항

        x, 88장 : 삽도, 도표 ;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조남철
        참고문헌 : 82-85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북지역의 초기철기시대 유적지인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 유적은 금강과 만경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3점(동검 5점, 동경 4점, 동사 2점, 동과 1점, 동모 1점)의 제작기법과 산지를 추정하여 한반도에 선진문물이 유입된 경로, 고대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수준 등을 탐구하는 데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을 위해 금속현미경 관찰, SEM-EDS, EPMA, DAS 분석, 납동위원소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동검은 모두 수지상조직이 관찰되었다. 동경은 조세문경의 미세조직에서 수지상조직이 관찰되며 세문경의 미세조직에서 δ상과 (α+δ)상이 관찰된다. 이는 조세문경보다 세문경의 Sn 함량이 많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금속 상(phase)이 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조세문경과 세문경을 제작할 때 Sn 함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세문경과 세문경의 출토지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제작기술의 차이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동기를 제작할 때 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합금조성 및 주조 또는 단조공정을 선택하여 제작방법을 조정했으며, 그 방법은 유물의 종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유물의 미세조직에서 납편석물이 관찰되는 것 역시 납의 금속적 성질을 경험적으로 알았던 고대인들이 용융점을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한 재료로 생각된다.
      매장 청동유물의 미세조직에서 주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존재형태에 따라 형성원인이 다른 것으로 여겨지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부식층 사이, 납 Hole, 부식된 공석상, 균열 등의 위치에서 형성되는데, 분석대상 유물의 미세조직에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탈주석 또는 구리의 재석출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추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완주 덕동 유적과 전주 효자동 유적의 청동유물은 한국 남부 지역의 광산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이용하여 제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금강 유역에 위치한 군산 관원리 유적과 익산 오룡리 유적의 청동유물은 중국 북부지역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이용하여 제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금강과 만경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인은 서로 다른 곳의 원료를 수입?채굴해서 청동기를 제작하거나 다른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청동기를 수입하여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13점은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거나 중국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을 것이다. 이는 대외적 교류를 통해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던 초기철기시대의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미세조직의 관찰 결과 대체로 같은 유물에서 같은 형태의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유물별로 제작방법의 틀은 같았으며, 이는 목적에 따라 청동기의 성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강도나 문양의 섬세함을 취했기 때문일 것이다. 산지추정 결과 만경강 유역은 한반도 자체적인 청동기 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지만 금강유역은 중국 북부와 활발한 교류를 통해 청동기를 수입하거나 원료를 수입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번역하기

      전북지역의 초기철기시대 유적지인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 유적은 금강과 만경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3점(동검 5점, 동경 4점, 동...

      전북지역의 초기철기시대 유적지인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 유적은 금강과 만경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3점(동검 5점, 동경 4점, 동사 2점, 동과 1점, 동모 1점)의 제작기법과 산지를 추정하여 한반도에 선진문물이 유입된 경로, 고대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수준 등을 탐구하는 데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을 위해 금속현미경 관찰, SEM-EDS, EPMA, DAS 분석, 납동위원소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동검은 모두 수지상조직이 관찰되었다. 동경은 조세문경의 미세조직에서 수지상조직이 관찰되며 세문경의 미세조직에서 δ상과 (α+δ)상이 관찰된다. 이는 조세문경보다 세문경의 Sn 함량이 많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금속 상(phase)이 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조세문경과 세문경을 제작할 때 Sn 함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세문경과 세문경의 출토지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제작기술의 차이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동기를 제작할 때 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합금조성 및 주조 또는 단조공정을 선택하여 제작방법을 조정했으며, 그 방법은 유물의 종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유물의 미세조직에서 납편석물이 관찰되는 것 역시 납의 금속적 성질을 경험적으로 알았던 고대인들이 용융점을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한 재료로 생각된다.
      매장 청동유물의 미세조직에서 주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존재형태에 따라 형성원인이 다른 것으로 여겨지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부식층 사이, 납 Hole, 부식된 공석상, 균열 등의 위치에서 형성되는데, 분석대상 유물의 미세조직에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탈주석 또는 구리의 재석출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추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완주 덕동 유적과 전주 효자동 유적의 청동유물은 한국 남부 지역의 광산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이용하여 제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금강 유역에 위치한 군산 관원리 유적과 익산 오룡리 유적의 청동유물은 중국 북부지역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이용하여 제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금강과 만경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인은 서로 다른 곳의 원료를 수입?채굴해서 청동기를 제작하거나 다른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청동기를 수입하여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13점은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거나 중국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을 것이다. 이는 대외적 교류를 통해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던 초기철기시대의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미세조직의 관찰 결과 대체로 같은 유물에서 같은 형태의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유물별로 제작방법의 틀은 같았으며, 이는 목적에 따라 청동기의 성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강도나 문양의 섬세함을 취했기 때문일 것이다. 산지추정 결과 만경강 유역은 한반도 자체적인 청동기 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지만 금강유역은 중국 북부와 활발한 교류를 통해 청동기를 수입하거나 원료를 수입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 연구 2
      • Ⅱ. 연구 배경 3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 연구 2
      • Ⅱ. 연구 배경 3
      • 1. 원료 3
      • 1) Cu-Sn 상태도 3
      • 2) 구리, 주석, 납 광석 7
      • 2. 동검과 동경의 형태학적 분류 9
      • 1) 동검과 동경의 형태학적 개요 9
      • 2) 동검(세형동검) 10
      • 3) 동경 11
      • Ⅲ. 연구 대상 14
      • 1. 유적 개요 14
      • 1) 완주 덕동 유적 14
      • 2) 익산 오룡리 유적 15
      • 3) 군산 관원리 Ⅱ-가 유적 15
      • 4) 전주 효자동 4 유적 16
      • 2. 분석 대상 18
      • Ⅳ. 연구 방법 20
      • 1.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 20
      • 2. DAS(Dendrite Arm Spacing) 측정 20
      • 1) DAS 측정방법 20
      • 2) DAS 활용방법 22
      • 3. 납동위원소비 분석 23
      • Ⅴ. 연구 결과 24
      • 1. 청동유물의 미세조직 24
      • 1) 완주 덕동 유적 24
      • (1) D-1호 토광묘 출토 동검(No.1) 24
      • (2) D-1호 토광묘 출토 동사(No.2) 28
      • (3) D-1호 토광묘 출토 동경(No.3) 32
      • (4) D-2호 토광묘 출토 동사(No.4) 35
      • (5) F-2호 토광묘 출토 동과(No.5) 38
      • (6) G2-1호 토광묘 출토 동경(No.6) 40
      • 2) 익산 오룡리 유적 44
      • (1) 3-1호 토광묘 출토 동검(No.11) 44
      • 3) 전주 효자동 4 유적 48
      • (1) 적석목관묘 출토 동경(No.13) 48
      • 2. 전자현미분석기(EPMA) 분석 52
      • 3. 납동위원소비 분석 54
      • 1) 한중일 방연석 납동위원소비 분포 56
      • 2) 한국 남부 방연석 납동위원소비 분포 58
      • 3) 중국 방연석 납동위원소비 분포 59
      • Ⅵ. 고 찰 63
      • 1. 동검과 동경의 형태학적 분류 63
      • 1) 분석대상 유물의 형태학적 분류 63
      • 2) 형태학적 분류에 따른 지역 설정 64
      • 2. 제작기술에 따른 고찰 65
      • 3. 이차생성구리의 생성 매커니즘 68
      • 4. 산지추정을 위한 고찰 72
      • 1) 동검(세형동검) 74
      • 2) 조세문경(B형) 75
      • 3) 세문경(C형) 75
      • 4) 동사, 동과, 동모 76
      • Ⅶ. 결 론 79
      • 참고문헌 82
      • ABSTRACT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