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한시(漢詩)에 나타난 전통음식문화 연구 -김려의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 중 김치 소재 열매채소 시를 중심으로- = Traditional Food Culture Shown in the Chinese Poetry of Joseon Dynasty - Focusing on poems about fruit vegetables in Manseonwainggo written by Kim Rye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fruit vegetables as kimchi materials including eggplants, white gourd, and cucumber among food materials and food-related contents described in Manseonwainggo written by Kim Ryeo (1766-1821). In addition, it is to compare ...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fruit vegetables as kimchi materials including eggplants, white gourd, and cucumber among food materials and food-related contents described in Manseonwainggo written by Kim Ryeo (1766-1821). In addition, it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m with recipes and food-related records described in other cookbooks and documents in the same period. This is for examining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od history and cooking history study of the food-related records in the literature work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o summarize and contemplate the value of the Chinese poetry in the Joseon Dynasty, shown therein for food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does not provide just description and recipes intented in previous food studies for old literature works, but an expansion of objects, scope and extension of viewpoint for the study by combining natural science with the humanities to present a new methodology for food study in more diverse manner and detail. Previous studies for traditional food culture have focused on recipe description and story telling with old cookbooks because of difficulties in access to the data and interpretation of it.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describes the Chinese poetry and other records in addition to cookbooks, and conduct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onsideration. The description is for summarizing the Chinese poetry and other records in addition to cookbooks to provide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onsideration to know the overall dietary culture at the time, for example, cultivation and harvesting of materials, food consumption areas and circumstances, folklore factors at the time, feeling and sentiment of people contemporary with authors. This is a scientific study describing food culture about using vegetables in the Joseon Dynasty in records shown in other Chinese poetry and collection thereof than cookbook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d attempt a new method for studying food culture by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through combination of methods including details belonging to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areas for food. The results of diverse and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described above can be useful for the industry and scientifically. For exampl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culture contents can enrich the resources useful for reproduction and as historical evidence. As the white watery eggplant was identified as a raw material for seokbakji, it is useful where used for reproduction and exhibi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contrary, the auxiliary data can be significant as the resources related to food contents with stories by verifying the type of foods mentioned in the poems through cookbooks, farming books and pictures. It is because the Chinese poetry, farming books, cookbooks in text and pictures as image resources can be integrated into the reproduced food. Because the main production area of white gourd seokbakji is mentioned, it can be used as local tourism contents. The information about the village Maeup known well for seokbakji kimchi and white gourd seokbakji based on white watery eggpla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dentified, but it is hard to find the information through other cookbooks and farming books. Moreover, it is identified how much the cucumber and the white gourd as various raw materials, for example, Tang(湯), Jeon(煎), and Jeok(炙) in addition to kimchi, was used in the classical scholars’di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려(1766-1821)의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에 나오는 여러 식재료와 음식 관련내용들 중 김치 재료로 사용 된 열매채소류(果菜類) 가지, 동아, 외를 발췌, 정리한 후 동시대의 조리서 ...

      본 연구는 김려(1766-1821)의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에 나오는 여러 식재료와 음식 관련내용들 중 김치 재료로 사용 된 열매채소류(果菜類) 가지, 동아, 외를 발췌, 정리한 후 동시대의 조리서 및 기타 문헌들에 나오는 조리법 및 음식 관련 기록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문학작품 속 음식관련 기록들의 음식사적, 조리학적 의미와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조선시대 한시들이 갖는 음식학적 가치를 찾아 정리 및 고찰 한 것이다. 아울러서, 기존의 고문헌을 대상으로 한 음식 연구 방법들이 지니고 있었던 단순한 자료의 정리 및 조리법 탐색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융복합적 차원에서의 연구대상 및 범위의 확장과 관점의 확대를 통해 좀 더 깊이 있고 다양하며 세밀하게 음식학을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론도 제시하였다. 기존의 전통시대 음식문화 연구들은 자료의 접근과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고조리서 중심의 조리법 정리와 스토리 기술 등에 치중되었던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극복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료의 재배와 확보. 취식 장소와 상황, 당대의 민속적 요소 등은 물론 작자와 동시대 사람들의 느낌과 감상 등 당시의 식생활문화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조리서 외에 한시와 기타의 기록물들을 찾아 정리하고 다차원적인 분석과 고찰을 실시하였다. 조리서가 아닌 한시와 문집의 기록을 통해 조선시대 채소류의 이용과 관련 된 음식문화를 정리한 학술연구 작업인 것이다. 이 연구가 지닌 의의는 음식의 자연과학적 영역과 인문학적 영역에 속하는 내용은 물론 연구방법론의 융합을 통한 다차원적 연구라는 새로운 음식문화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 시도했다는 점이다. 이렇게 다양한 영역 다차원적인 연구의 결과물들은 학문적으로는 물론 산업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통 식생활문화 콘텐츠 개발 시 재현과 고증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더 풍부해 질 수 있는데, 가지의 경우 흰색물가지가 섞박지의 식재료였다는 사실을확인함에 따라 전통음식 재현과 전시 활용 시 유용하며, 반대로 詩에 언급된 음식이 어떤 형태였는지 조리서나 농서, 그림 등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보조 자료들 자체가 풍부한 스토리를 지닌 음식콘텐츠 자원으로 의미를 지니게 된다. 텍스트로서 한시와 농서, 조리서, 그리고 이미지 자원으로는 그림과 재현 음식이 접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아섞박지의 경우 명산지가 언급되어 있어지역 관광콘텐츠로 활용가치도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리서와 농서를 통해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조선후기 흰색의 물가지를 주원료로 한 섞박지김치, 동아섞박지로 이름나 있던 마읍(馬邑)이라는 고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김치 외에 탕, 전, 적 등 다양한 조리재료로 활용되었던 동아와 오이가 선비들의 식생활에서 어떤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지 정황도 파악할 수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묵,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한국한시학회 (18) : 29-54, 2010

      2 김상보, "화폭에 담긴 한식 : 조선시대 풍속화에 그려진 우리 음식" 한림출판사 2015

      3 심사정, "화채호접(花菜蝴蝶)"

      4 농촌진흥청, "현대식으로 다시 보는 수문사설" 128-130, 2010

      5 서호수, "해동농서(海東農書)"

      6 황위주, "한시 표현의 문법적 특징 : 생략" 31 : 63-71, 2017

      7 김정옥, "한국의 식재료 중 채소, 과일류의 유입과 실크로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10-17, 2008

      8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128-130, 2010

      9 안대회, "한국 蟲魚草木花卉詩의 전개와 특징" (2) : 2001

      10 성대중, "태상지(太常志)"

      1 이종묵,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한국한시학회 (18) : 29-54, 2010

      2 김상보, "화폭에 담긴 한식 : 조선시대 풍속화에 그려진 우리 음식" 한림출판사 2015

      3 심사정, "화채호접(花菜蝴蝶)"

      4 농촌진흥청, "현대식으로 다시 보는 수문사설" 128-130, 2010

      5 서호수, "해동농서(海東農書)"

      6 황위주, "한시 표현의 문법적 특징 : 생략" 31 : 63-71, 2017

      7 김정옥, "한국의 식재료 중 채소, 과일류의 유입과 실크로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10-17, 2008

      8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128-130, 2010

      9 안대회, "한국 蟲魚草木花卉詩의 전개와 특징" (2) : 2001

      10 성대중, "태상지(太常志)"

      11 최헌섭, "최초의 물고기 이야기" 지앤유 2017

      12 신사임당, "초충도(草蟲圖)"

      13 정혜경, "채소의 인문학" 따비 98-149, 2017

      14 "진연의궤(進宴儀軌)"

      15 "진연의궤(進宴儀軌)"

      16 유중임,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17 "주찬(酒饌)"

      18 "주식시의"

      19 박윤묵, "존재집(存齋集)"

      20 강혜선, "조선후기 한시 속의 일상의 양태와 의미" 한국한시학회 (15) : 167-196, 2007

      21 김미혜, "조선후기 漢詩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 紀俗詩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528-543, 2007

      22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35-236, 2006

      23 고경희, "조선시대 한국풍속화에 나타난 식생활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211-225, 2003

      24 박채린, "조선시대 김치의 탄생" 민속원 2013

      25 "정일당잡지(貞一堂雜識)"

      26 서유구,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27 이종호, "이옥 小品에 나타난 기층민의 삶과 의식 연구" 고려대학교 2016

      28 장계향, "음식디미방"

      29 김홍석, "우해이어보와 자산어보 연구" 한국문화사 2008

      30 박준원, "우해이어보" 다운샘 933-962, 2004

      31 이성우, "우리나라 채소의 역사적 고찰" 3 (3): 359-367, 1988

      32 고전문학연구회, "완역 李鈺全集" 휴머니스트 2009

      33 이응희, "옥담사집(玉潭私集)"

      34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35 권오돈, "예기(禮記)" 홍신문화사 1990

      36 "영접도감연향색의궤(迎接都監宴享色儀軌)"

      37 "시의전서(是議全書)"

      38 김유, "수운잡방(需雲雜方)"

      39 차경희, "쇄미록(鎖尾錄)을 통해본 16세기 동물성 식품의 소비 현황"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703-719, 2007

      40 이서우, "송파집(松坡集)"

      41 최북, "소채도(蔬菜圖)"

      42 박채린, "설하멱적을 통해서 본 쇠고기 구이 조리법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I - 1950년대 이전의 문헌을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599-613, 2011

      43 "산릉향수책(山陵享需冊)"

      44 전순의, "산가요록(山家要錄)"

      45 이옥, "백운필(白雲筆)"

      46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헌으로 보는 고래시대 민속" 2005

      47 이색, "목은시고(牧隱詩藁) 제24권, 제34권"

      48 곽종석, "면우집(俛宇集)"

      49 김려,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

      50 심상규, "두실존고(斗室存稿)"

      51 최한기, "농정회요(農政會要)"

      52 김창업, "노가재집(老稼齋集)"

      53 차경희, "노가재공댁「Jusikbangmun (주식방문)」과 이본(異本)의 내용 비교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269-285, 2016

      54 "내외진연등록(內外進宴謄錄)"

      55 이학규, "낙하생집(洛下生集)"

      56 오희복, "김려작품집" 문예출판사 1990

      57 강혜선, "김려의 『만선와잉고』에 나타난 일상성" (20) : 32-64, 2007

      58 "기해진연의궤(己亥進宴儀軌)"

      59 오희복, "글짓기 조심하소" 보리 2006

      60 이만수, "극원유고(屐園遺稿)"

      61 주영하, "그림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역사" 사계절 2005

      62 빙허각 이씨, "규합총서"

      63 김일권, "거가필용역주-음식편" 세계김치연구소 134-135, 2015

      64 허경진, "韓國의 漢詩 33-담정 김려 시선" 평민사 1997

      65 "詩經 BC 600"

      66 奥原晴翠, "菜蔬"

      67 王象晋, "羣芳譜"

      68 吳其濬, "植物名實圖考" 北京大學圖書館 1848

      69 이종묵, "李應禧가 시로 쓴 백과사전 <萬物篇>에 대하여" 국문학회 16 (16): 133-164, 2007

      70 고경희, "朝鮮後期 耆老宴 繪畵에 나타난 食文化에 관한 硏究"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 (20): 144-151, 2005

      71 白尾國柱, "成形圖說 27卷" 日本國立國會図書館 1804

      72 寺島良安, "和漢三才圖會 99卷" 日本國立國會図書館 1712

      73 박준원,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 연구" 우리한문학회 18 (18): 933-962, 2008

      74 김미혜, "『眉巖日記』분석을 통한 16세기 사대부가(士大夫家) 음식문화 연구- 丁卯年(1567年) 10月~戊辰年(1568年) 9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425-437, 2013

      75 박채린, "「주초침저방(酒酒酒酒酒)」에 수록된 조선 전기(前前) 김치 제법 연구 - 현전 최초 젓갈김치 기록 내용과 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2 (32): 333-360, 2017

      76 "19세기, 주식방문(노가재공본)"

      77 "19세기, 음식방문(飮食方文)"

      78 한국 18세기학회, "18세기의 맛 : 취향의 탄생과 혀끝의 인문학" 문학동네 2014

      79 "18세기, 음식보(飮食譜)"

      80 이숙인, "18세기 조선의 음식 담론" 한국실학학회 (28) : 233-267, 2014

      81 고경희, "18世紀 朝鮮時代 回甲宴과 回婚禮 繪畵에 나타난 食生活 文化에 관한 硏究"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536-543, 2003

      82 안대회, "18·19세기의 음식취향과 미각에 관한 기록 - 沈魯崇의 『孝田散稿』와 『南遷日錄』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69) : 167-192, 2015

      83 "17세기, 주초침저방(酒醋沈菹方)"

      84 "17세기, 주방문(酒方文)"

      85 "17세기, 요록(要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6-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민속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39 1.04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