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사회과 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난 비판적 반성 양상에 관한 연구 = Critical Reflection Aspects of Elementary Teachers Revealed in Their Social Studies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8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교사의 수업현상에 나타난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적, 기술적 반성에서 나아가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교사의 수업현상에 나타난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적, 기술적 반성에서 나아가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인학습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사회과 수업반성 양상을 Mezirow의 내용반성, 과정반성, 전제반성의 유형으로 분석하였고, Brookfield의 4가지 렌즈로 해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5년차 이상의 경력교사 4명을 대상으로 사회과 수업일지와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수업일기와 동료교사들의 동료일지의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 접근의 관점에서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사회과 수업에서는 내용반성, 과정반성, 전제반성 등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내용반성 내용은 수업현상에서 문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내용 반성은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수업과 교사의 학습경험에 따라 재구성된 학생들의 학습양상이 수업에서 교사의 예상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에 발생하였다. 과정반성 내용은 수업현상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전략, 방법 및 기술의 양상이다. 이는 교사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관련된 내용으로 수업활동을 구안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전제반성 내용은 교과서, 교수경험,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의문을 갖는 양상을 뜻한다. 이것은 교사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하여 초등사회과교육에 대한 신념을 점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반성내용을 Brookfield의 4가지 렌즈를 사용하여 3가지 가정 양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인 가정, 처방적인 가정, 패러다임적인 가정 등이 드러났다. 원인 가정은 교사가 자신이 예상하는 수업의 의미와 학생들의 의미 있는 학습양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전략과 방법을 결정하는 교사의 기술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처방적인 가정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사의 교수전략과 방법을 수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구적 지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교수전략과 방법을 구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패러다임적인 가정은 교사가 실천현상에 대해서 지각하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에 대한 것으로서 초등사회과교육에 대한 신념과 가치가 포함된 내용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가정에 대해서 학생들의 학습양상은 그들의 흥미와 생활세계를 반영한 수업내용과 자신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였고, 교사의 가정 내용과 어긋나는 반응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가정에 대한 동료들의 의견은 수업현상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공감, 해결방안 제안, 자신의 수업행위 반성, 수업현상 내용을 학습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동료들은 수업현상에 대해서 비판적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셋째, Mezirow의 반성유형과 Brookfield의 4가지 렌즈를 통해서 각 연구참여자들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A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긍정적 의미만을 지향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는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수업내용 구상,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수업내용 구성, 감정이입할 수 있는 소재 탐색, 부당한 사회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B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관련되지 않은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그는 교과서의 개념이나 과정을 이해한 후 구체적인 사실을 탐구하는 개념학습, 교과서에 나오지 않지만 흥미를 자극하는 내용학습, 다양한 수업방법을 적용한 교수전략을 구상한다. C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교사의 관점이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그는 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그 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주목한다. D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사회과 수업내용에 대한 교사의 가치가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가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는 학생들이 수업내용에 관심을 갖고 학습하며 정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을 사용해서 교과서의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한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들의 초등사회과 교사되기 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해서 초등사회과교육에 대한 목표를 세웠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수업현상에서 발생된 문제의 성격, 해결방안 모색의 방향은 그들의 삶의 맥락과 연관되기 때문에 그 경험의 양상은 연구참여자들의 수업현상에 대한 원인, 처방적인, 패러다임적인 가정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반면,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시민적 자질이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수업반성 양상에서는 이와 관련된 가정 내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 교사가 비판적 반성을 통해서 발달할 수 있는 존재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가 수업현상에서 발생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 의문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의 경험과 연관시키는 노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판적 반성은 교사의 관점뿐만 아니라, 수업현상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학생들의 관점, 동료들의 관점 그리고 이론적인 관점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초등사회과 교사는 자신이 살아온 삶의 경험을 통해서 초등사회과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확인하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학습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존재의 의미를 찾는 과정은 비판적 반성으로 가능하며, 나아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의 기반이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반성을 통한 교사발달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반성을 통한 교사발달 10
      • 1. 반성적 사고와 수준 10
      • 1) 반성의 개념 10
      • 2) 반성적 사고 12
      • 3) 반성의 수준 18
      • 2. 성인학습자로서의 교사의 비판적 반성 25
      • 1) 비판이론에서의 반성 26
      • 2) 반성과 비판적 반성 28
      • 3) Mezirow와 Brookfield의 비판적 반성 29
      • Ⅲ. 연구방법과 절차 34
      • 1. 비판적 반성의 연구방법 34
      • 2. 연구 설계 39
      • 1) 연구참여자 선정 39
      • 2) 연구를 위한 준비 42
      • 3) 저널쓰기 43
      • 4) 인터뷰 45
      • 5) 자료 분석과 해석 47
      • 6) 타당성 확보 50
      • Ⅳ. 초등사회과 교사의 반성 양상 52
      • 1.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 찾기 52
      • 1) 교과서 따라하기와 의문 갖기 53
      • 2) 학생들의 반응 예상하고 확인하기 59
      • 2. 수업활동에 가치부여하기 77
      • 1) 효과적인 수업과정 고민하기 77
      • 2) 학생들의 학습양상 관찰하고 반응하기 91
      • 3. 자신의 교육적 신념 점검하기 109
      • 1) 교과서에 대해 의문 갖기 110
      • 2) 자신의 교수경험에 의문 갖기 112
      • 3)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의문 갖기 114
      • Ⅴ. 초등사회과 교사되기에 드러난 비판적 반성 118
      • 1. Brookfield의 렌즈를 통한 비판적 반성 118
      • 1) 학생들의 삶과 관련된 수업실천에 대한 A교사의 가정 118
      • 2) 학생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 B교사의 가정 123
      • 3) 교사의 가치를 표현한 C교사의 가정 130
      • 4) 교사가 이끌어가는 수업실천에 대한 D교사의 가정 136
      • 2. 초등사회과 교사되기의 의미 140
      • 1) 자신의 삶을 통한 초등사회과교육의 목표 세우기 141
      • 2) 초등사회과교육의 한계 탐색하기 145
      • 3) 초등사회과 수업 실천 151
      • 4) 교사의 시민적 자질 둘러보기 155
      • Ⅵ. 요약 및 결론 160
      • 1. 요약 160
      • 2. 결론 166
      • <참고문헌> 172
      • ABSTRACT 18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홍우, "敎科의 內面化",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1). 249-271, 2000

      2 金慶熙, "전환학습과 성인교육", 한국평생교육학회, 「사회교육연구」. 4(1). 217-242, 1998

      3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006

      4 이남인(Nam-In Lee),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91-121, 2005

      5 한상훈, 박승렬, 이명자, "수업반성 연구 경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8(2). 403-422, 2008

      6 김한별, 정종원, 유기웅, 김영석,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13

      7 이윤식, "교사발달의 관점에서 본 장학", 韓國敎員敎育學會, 「한국교사교육」. 16(2). 1-27, 1999

      8 김수천, "“Dewey의 교육관과 반성적 사고”", 「춘천교육대학 논문집」. 22. 235-254, 1976

      9 김영천,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2005

      10 서경혜,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307-332, 2005

      1 이홍우, "敎科의 內面化",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1). 249-271, 2000

      2 金慶熙, "전환학습과 성인교육", 한국평생교육학회, 「사회교육연구」. 4(1). 217-242, 1998

      3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006

      4 이남인(Nam-In Lee),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91-121, 2005

      5 한상훈, 박승렬, 이명자, "수업반성 연구 경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8(2). 403-422, 2008

      6 김한별, 정종원, 유기웅, 김영석,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13

      7 이윤식, "교사발달의 관점에서 본 장학", 韓國敎員敎育學會, 「한국교사교육」. 16(2). 1-27, 1999

      8 김수천, "“Dewey의 교육관과 반성적 사고”", 「춘천교육대학 논문집」. 22. 235-254, 1976

      9 김영천,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2005

      10 서경혜,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307-332, 2005

      11 이세나, 이영석,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소고",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11(4). 229-254, 2004

      12 한숭희, "평생교육론: 평생학습 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2006

      13 한명희, "변화하는 교육패러다임과 인간상의 문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 구」. 10(2). 79-102, 2000

      14 곽현주 ( Hyun Joo Kwak ), 박찬옥 ( Chan Ok Park ),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4

      15 이남호, "“반성적 사고 실천에 기초한 교육실습”", 「교육사상연구」. 21(3). 181-200, 2008

      16 최희정, "“사회과 교사의 수업반성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51(2). 77-88, 2012

      17 Holton, E. F., Swanson, R. A., Knowles, M. S., "The Adult Learner. 최 은수 역(2010). 성인학습자", 서울: 아케데미프레스, 2005

      18 정혜정, "“초등 사회과 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9 이종일, "반성적 실행을 통한 사회과 교사자질 개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42(2). 5-27, 2003

      20 Williams, R., "The Long Revolution. 성은애 역(2007). 기나긴 혁명", 서울: 문학동네, 1961

      21 남상준, 정혜정, "“초등 사회과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 과교육연구」. 19(4). 143-158, 2012

      22 서경혜,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 연구」. 23(2). 285-310, 2005

      23 김순희,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 육연구」. 26(2). 101-121, 2009

      24 정윤경, "“논문: 반성적 교사교육에서 ‘반성’의 의미”",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 과 실천」. 12(2). 165-188, 2007

      25 조덕주, "교사의 반성적 교육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탐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44(2). 105-133, 2006

      26 Habermas, J.,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강영계 역(1996). 인식과 관심", 서울: 고려원, 1971

      27 안혜준 ( Hey Jun Ahn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저널쓰기 과정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14(4). 287-314, 2010

      28 조덕주,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 육연구」. 19(1). 131-165, 2009

      29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0 조덕주,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 교사 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9(4). 139-167, 2011

      31 김한별, "“교사발달 과정에서 학습경험 탐색: 생애사적 접근”", 한국성인교육학회, 「Andragogy Today」. 16(3). 1-34, 2013

      32 권정숙,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반성적 사고수준과 교수능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33 곽덕주, 조덕주, 진석언,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5(4). 195-223, 2007

      34 우희숙, "“예비교사의 반성적 다문화교육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5 고호경, 맹은경, 남가영,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7(3). 839-868, 2013

      36 김지선 ( Ji Sun Kim ), "수업반성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가로서의 교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9(1). 187-208, 2011

      37 송연숙, "“반성적 교수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행동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1-22, 2005

      38 엄형수, "“초등 사회과 환경교육에 대한 교수 학습 실태 조사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14(2). 193-207, 2008

      39 이화진, 임찬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업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0 이종일, "“제7차 사회과 수업에 요구되는 교사자질 형성의 제약 요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2(2). 79-103, 2005

      41 한수란, 황해익,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수준의 변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5(1). 83-101, 2006

      42 강영심, 황순영, "“모의수업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형과 수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5(4). 55-80, 2004

      43 박선미, 정지현, "“전환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의 반성에 대한 소고”",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0(6). 245-268, 2010

      44 최진영, 이경진, "교직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신념과 사회과 교수실제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13-335, 2007

      45 이진향, "수업반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과 반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6 정혜영,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교생간의 사회과 수업계획 과정 비교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4(3). 205-223, 2001

      47 박선미, "예비교사교육 방법으로서 ‘행위 중 반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49(3). 39-52, 2010

      48 천윤영, 황혜영, "“셀프 연구를 통해 알아 본 예비교사의 반성적 문제해 결과정”",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03-226, 2014

      49 신기철, 안양옥, "“체육교과교육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유 형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6(3). 1-14, 2010

      50 이영국, "“초등신임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토링 체험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1 Dewey, J., "How We Think. 정회욱 역(2010).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 의 방법과 교육", 서울: 학이시습, 1910

      52 유흥옥,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예비교사발달적 변 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3 조덕주,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411-436, 2009

      54 홍남기, "“반성적 탐구 모형의 교육적 한계와 대안적 탐구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5 강기원, "“수업 갈등과 대응 전략: 초등 사회과 5학년 네 교사의 수업 딜레마”",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6(2). 185-209, 2003

      56 안부금, "유아과학 교수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87-114, 2002

      57 김영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 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8 리순아, 김현진,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1(1). 233-255, 2013

      59 윤혜경 ( Hye Gyoung Yoon ),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03-716, 2012

      60 박수옥(Soo-Ok Park), 전병운(Byung-Un Jeon),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유아특수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유아특수교육연구」. 4(1). 135-157, 2004

      61 성은영, "“저널쓰기를 통한 반성적사고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발문의 변 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8(3). 245-267, 2004

      62 이제행, "“초등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과 지도가치신념 및 수업반성의 인 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33-47, 2013

      63 곽향림, 안경숙, "“교사 주도적 교수학습에 대한 반성적 재고: 교사와 유아의 삶의 관점에서”",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0(2). 309-338, 2010

      64 조재현 ( Jae Hyun Cho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13(2). 415-436, 2011

      65 김남희 ( Nam Hee Kim ), 손유진 ( Yoo Jin Shon ), "실천적, 반성적 유아교사교육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12(1). 193-215, 2008

      66 조성민, "“교사의 반성적 행동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01-220, 2009

      67 이보영,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반성적 자기수업장 학 모형 개발”",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68 황인주(Hwang In-Ju), 김은정(Kim, Eun-Jung),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반성적 사고가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27-253, 2010

      69 박정서, "사회과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수업실천과 그 반성 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9(3). 71-100, 2012

      70 유영의 , 유흥옥,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실습지도교사교육을 통한 실습 지도교사발달적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67-95, 2005

      71 이윤정 ( Yun Jung Lee ), 임성민 ( Sung Min Im ),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98-209, 2011

      72 배성아, 안정희,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393-417, 2014

      73 이광원, "“경제 원리의 재인식을 통한 초등교사의 사회과교육과정 전문 성 실천 사례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9(4). 45-60, 2012

      74 유솔아,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반성 유형과 특징 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5(1). 39-68, 2007

      75 정윤경, "“반성적 교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Foucault의 관점에서 Schӧn의 반성론 읽기-”", 「교육철학연구」. 42. 195-219, 2008

      76 박영식, "“초등 사회과 내용 교수학적 지식(PCK)에 대한 교사 자기평가 척도 개발과 타당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7 고문숙, "“협력적 멘토링이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반성적 실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8 석은조,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79 강기원, 오연주, "수행평가 전제들과 초등 교사의 인식간의 정합성 분석을 통한 사회과 수행평가의 함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3(2). 249-271, 2006

      80 강영심, 김지훈, 김정은, "“수업과정에서 경험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과정”",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7(2). 23-44, 2006

      81 Barbalet, J. M., "Emotions and Sociology. 박형식 역(2010). 감정과 거시사 회학: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서울: 일신사, 1998

      82 유솔아, "“PDS에서의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반성과 전문성 변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3 이상철, "“초등교사의 반성적 체육수업 교수내용지식 형성과 교수행동 변화에 관한 해석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84 한광웅(Han Kwang Wng), "사회과 교수 · 학습 과정안의 반성적 멘토링에 의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형성과정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49(3). 17-38, 2010

      85 이세나, 이영석,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수준 과 반성적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247-274, 2005

      86 강훈식 ( Hun Sik Kang ), 양찬호 ( Chan Ho Yang ),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73-389, 2013

      87 김애령,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체험연구”의 현상 학적 토대와 해석학적 확장", 「탈경계 인문학」. 2(1). 231-257, 2009

      88 박계신, "반성적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특수교육」. 11(1). 215-240, 2012

      89 고문숙, 남정희,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 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94-113, 2013

      90 양수영 ( Su Young Yang ), "교육실습 연계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17(3). 177-200, 2013

      91 Brookfield, S.,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기영화 외 공역(2009).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서울: 학지 사, 2005

      92 채희태, "“마이크로티칭 분석에 기초한 예비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실 과 수업관찰 및 반성적 평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실과교육연구」. 19(4). 1-23, 2013

      93 정병종 ( Byeong Jong Jeong ), "교육실습 기간 중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가 반성적 사고 수준 변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5(3). 303-320, 2014

      94 송연숙, "“반성적 교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45-63, 2006

      95 김애화, 유현주, 김의정,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 의 사회과 교수 학습에 관한 일반초등교사의 인식”",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습장애연 구」. 9(2). 29-52, 2012

      96 이혜원, 임수진, "유아교사의 교수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변인(반성적 사고, 정서적 적응성,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7(4). 401-419, 2007

      97 Illouz, E., "Cold Intimacies: Making of Emotional Capitalism. 김정아 역 (2007). 감정 자본주의: 자본은 감정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서울: 돌베개, 2010

      98 유솔아, "“교사 반성에 대한 관점 정립을 위한 재고(再考): 교육과정 실 행 주체자로서의 교사 역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4(3). 173-197, 2006

      99 곽신권, 남호엽, "“협력적 사회과 수업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실행 연구: 교생의 반성적 수업실천을 사례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 구」. 12(2). 373-402, 2005

      100 Kessels, J., Wubbels, T., Lagerwerf, B., Koster, B., Korthagen, F.,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 Linking Practice and Theory. 조덕주 외 공역(2007). 반성적 교사교육 - 실제와 이론", 서울: 학지사, 2001

      101 최진영 ( Jin Young Choi ), "학교맥락, 교사능력 및 의지, 교사학습기회 요인들이 초등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3). 349-375, 2007

      10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조흥식 외 공역(2010).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07

      103 홍미화,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교사의 사회 수업 변 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8(2). 125-142, 2011

      104 송경오, 최진영,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 실태 분석 – 사 회과에 대한 교사학습기회의 형식적ㆍ실질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 교육연구」. 15(3). 223-244,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