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폴라니(M. Polanyi)의 지식의 통합성에 기초한 놀이 중심교육 고찰 = A Study of Play-Centered Education based on M. Polanyi's Integrity of Knowl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1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lay-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ity of knowledge, which is Polanyi's theory of knowledge,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his theory for pla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lay-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ity of knowledge, which is Polanyi's theory of knowledge,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his theory for pla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elementary school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with information on the successful and systematic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on play-centered education. According to Polanyi's knowledge theory, the play-centered education is based on four aspects the concept, effectiveness, integration, and significance of play- centered education. Play-centered education is child-centered education considered a child being the owner of learning and it is the integrated statu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for child to acquire knowledge through play. Through this study, it proves that Polanyi's knowledge theory values children's interests and motivation and ultimately supports child- and play-centered education considering a child as being an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Polanyi's knowledge theory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on play-based education as to connect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Polanyi의 지식이론은 초·중등의 통합교육과정에는 많이 등장하지만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거의 거론되지 않고 있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Polanyi의 지식이론인 지식의 통합성에 근거하여 놀이 ...

      Polanyi의 지식이론은 초·중등의 통합교육과정에는 많이 등장하지만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거의 거론되지 않고 있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Polanyi의 지식이론인 지식의 통합성에 근거하여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해 고찰해보고 그것이 놀이중심 교육 활동에 미치는 시사점을 통해 유아교육자들에게는 물론 초등 교육자들에게도 체계적인 유·초 연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Polanyi의 주요문헌을 통해 Polanyi가 주장하는 암묵지와 자득지의 성격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식과 초점식을 통해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지식의 통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지식의 통합성을 바탕으로 한 Polanyi의 이론이 놀이 중심 교육과의 연계성 및 실제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Polanyi의 지식이론은 아동의 흥미와 동기 유발을 중요시하고 능동적이며 자발적 참여로서의 아동을 중요시하는 놀이 중심 교육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Polanyi의 지식이론은 놀이 중심 교육을 통해 유·초 연계를 실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진영, "활동 중심 교육에 대한 고찰 – 존 듀이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장현우, "프뢰벨의 놀이 理論 考察"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김만희, "폴라니의 인식론에 근거한 과학교수의 내러티브적 성격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재현, "폴라니의 인격적 인식론 : 교육적 함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애리, "폴라니의 개인적 지식에 함의된 지식학습의 성격"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7 박종석, "폴라니(M. Polanyi) 인식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8 문민지, "폴라니 인식론에 비추어 본 역량교육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9 부성희, "폴라니 인식론에 기초한 교사 지식의 성격 탐구 : 이론-실천 간의 통합적 발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0 안효일, "지식의 내면화과정에 비추어 본 설명과 발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 노진영, "활동 중심 교육에 대한 고찰 – 존 듀이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장현우, "프뢰벨의 놀이 理論 考察"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김만희, "폴라니의 인식론에 근거한 과학교수의 내러티브적 성격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재현, "폴라니의 인격적 인식론 : 교육적 함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애리, "폴라니의 개인적 지식에 함의된 지식학습의 성격"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7 박종석, "폴라니(M. Polanyi) 인식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8 문민지, "폴라니 인식론에 비추어 본 역량교육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9 부성희, "폴라니 인식론에 기초한 교사 지식의 성격 탐구 : 이론-실천 간의 통합적 발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0 안효일, "지식의 내면화과정에 비추어 본 설명과 발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최승복, "제4차 산업혁명은 학교교육에 무엇을 요청하는가?"

      12 이미란,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의 미래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유아교육 방향 탐색"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13 Patrick Griffin,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 교육"

      14 강연미, "유아의 다중지능개발을 위한 융합교육연구: 한국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8

      15 하순련, "유아놀이지도" 양서원 2010

      16 오영희, "유아교육의 이해" 동문사 2006

      17 김희연, "유아교육에서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21-544, 2013

      18 유경애,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2008

      19 위영희, "유아교육개론" 오래 2011

      20 김정래, "암묵적 영역" 박영사 2015

      21 민정선, "민쌤의 유아임용 웹지도" 에프엠 2019

      22 민정선, "민쌤의 유아교육개론" 에프엠 2017

      23 민정선, "민쌤의 누리과정" 에프엠 2017

      24 임부연,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발전연구소 27 (27): 59-78, 2017

      25 윤영순, "듀이의 경험개념에서 본 지식의 총체성과 교과의 의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26 김소향, "놀이중심의 통합교육을 통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 연계방안-누리과정과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을 중심으로-" 3 (3): 99-121, 2011

      27 정현심, "놀이중심 교과과정" 시그마프레스 2018

      28 신은수, "놀이와 유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29 안준희, "놀이 중심 교육의 토착화와 딜레마: 한국 유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73-107, 2016

      30 경기도 교육청, "놀이 2018 유아교육, 놀이로 풀다"

      31 곽향림,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수학습법" 공동체 2015

      32 안효일, "교실 수업에서의 아동 참여의 의미 : 통합적 지식의 획득과정으로서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93-110, 2009

      33 경기도 교육청,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유치원 교육과정"

      34 Polanyi, M, "과학, 신념, 사회" 범양사출판부 1990

      35 Polanyi, M, "개인적지식 후기 비판 적 철학을 향하여" 아카넷 2001

      36 Polanyi, M., "The study of ma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9

      37 안효일, "Polanyi의 통합교육과정 이론" 원미사 2009

      38 안효일, "Polanyi의 지식이론에 비추어 본 통합교육과정의 성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39 유연상, "Polanyi의 인식론에 함의된 교수의 성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40 강현석,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에서 지식의 재해석 :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회 (38) : 1-34, 2009

      41 교육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42 경기도 교육청, "2019 경기유아교육 정책 추진 기본계획 경기유아교육 이렇게 실천합니다"

      43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안) 신구대조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