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에서의 성희롱 경험이 여성의 근로환경만족과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도 제4차 근로환경조사에 응답한 20세 이상 55세 이하인 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에서의 성희롱 경험이 여성의 근로환경만족과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도 제4차 근로환경조사에 응답한 20세 이상 55세 이하인 여성...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에서의 성희롱 경험이 여성의 근로환경만족과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도 제4차 근로환경조사에 응답한 20세 이상 55세 이하인 여성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순서형 로짓모델과 다항로짓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분석대상자11,244명 중에서 성희롱을 경험한 여성은 전체의 2.0%인 228명이었으며, 성희롱을 중첩적으로경험한 여성은 전체의 0.5%인 54명이었다. 분석결과 성희롱을 경험한 여성은 성희롱을 경험하지않은 여성에 비해 근로환경만족도가 낮았으며, 성희롱을 중첩하여 경험할수록 근로환경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성희롱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그리고 성희롱을 중첩하여 경험한 여성일수록 현재 하고 있는 일을 60세까지 지속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할 가능성이 높았다. 즉, 성희롱을 경험한 여성일수록 적극적으로 자신의 경력을 전환할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장에서의 성희롱 경험은 여성의 직장생활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리, "한국과 유럽의 근로환경 부당 대우 : 차별, 성희롱, 폭력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2 한주원, "직장 내 성희롱이 조직유효성 및 개인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국문초록" 한국비서학회 15 (15): 29-48, 2006
3 송민수, "직장 내 성희롱은 왜 발생하는가? 그리고 피해자들은 어떤 어려움에 처하는가?" 51-80, 2018
4 최병우, "직무만족에 있어서 조직ㆍ직무특성, 대인적 환경특성의 영향 - 남ㆍ여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1195-1214, 2004
5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25-153, 2010
6 김수한,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자의 성희롱 피해 경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4 (94): 3-35, 2017
7 조동훈, "정년제도와 중고령자 은퇴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7 (37): 101-122, 2014
8 원숙연, "여성이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차원과 그 영향요인: 차별인식과 일-가정양립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57-81, 2015
9 김엘림, "성희롱의 법적 개념에 관한 고찰" 6 (6): 4-37, 2015
10 윤정숙, "성희롱 실태분석과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1 김규리, "한국과 유럽의 근로환경 부당 대우 : 차별, 성희롱, 폭력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2 한주원, "직장 내 성희롱이 조직유효성 및 개인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국문초록" 한국비서학회 15 (15): 29-48, 2006
3 송민수, "직장 내 성희롱은 왜 발생하는가? 그리고 피해자들은 어떤 어려움에 처하는가?" 51-80, 2018
4 최병우, "직무만족에 있어서 조직ㆍ직무특성, 대인적 환경특성의 영향 - 남ㆍ여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1195-1214, 2004
5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25-153, 2010
6 김수한,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자의 성희롱 피해 경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4 (94): 3-35, 2017
7 조동훈, "정년제도와 중고령자 은퇴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7 (37): 101-122, 2014
8 원숙연, "여성이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차원과 그 영향요인: 차별인식과 일-가정양립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57-81, 2015
9 김엘림, "성희롱의 법적 개념에 관한 고찰" 6 (6): 4-37, 2015
10 윤정숙, "성희롱 실태분석과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11 장명선, "성희롱 2차 피해의 법적 쟁점과 과제" 젠더법학연구소 8 (8): 187-224, 2016
12 김준영, "노동시간 미스매치와 노동자의 근로환경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32 (32): 229-257, 2016
13 한혜림,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족 내 역할 인식 및 부부친밀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일-가정양립 인식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연구" 대한가정학회 55 (55): 263-274, 2017
14 안세연, "기혼 여성관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통합적 고찰: 가족상황,직무상황,조직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5-48, 2009
15 이용원, "근로환경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건학회 27 (27): 210-220, 2017
16 송민수, "근로환경 특성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센터 15 (15): 37-71, 2017
17 김영흥,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101-118, 2018
18 이나영, "공공기관 근로자의 성희롱 인식 수준과 예방적 개입의 중요성" 사회복지연구소 41 : 33-58, 2014
19 서효민, "골프장 여성 캐디의 고객 성희롱 경험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1 (21): 21-34, 2016
20 Carr, E., "Working conditions as predictors of retirement intentions and exit from paid employment : A 10-year follow-up of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13 (13): 39-48, 2016
21 Xin, J., "Work-family spillover and crossover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 The moderating role of work-home segmentation preference" 147 : 619-629, 2018
22 Gupta, N. 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employee health : Panel evidence from Denmark, France and Spain, 1994-2001" 9 (9): 51-61, 2008
23 Fitzgerald, L., "Why didn’t she just report him? The psychological and legal implications of women’s responses to sexual harassment" 51 (51): 117-138, 1995
24 Gelfand, M., "The structure of sexual harassment : A confirmatory analysis a crosscultures and settings" 47 : 164-177, 1995
25 Long, C. S.,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harass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retailing industry in China" 6 (6): 1-19, 2016
26 Laband, D. N., "The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on job satisfaction, earnings, and turnover among female lawyers" 51 (51): 594-607, 1988
27 McLaughlin, H., "The economic and career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on working women" 31 (31): 333-358, 2017
28 Adams, J. W., "Sexual harassment of university students" 24 : 484-490, 1983
29 Hersch, J.,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 Despite being illegal, costly, and an affront to dignity, sexual harassment is pervasive and challenging to eliminate" 2015 (2015): 1-10, 2015
30 O’Leary-Kelly, A. M., "Sexual harassment at work : A decare(plus)of progress" 35 (35): 503-536, 2009
31 Uggen, C., "Sexual harassment as a gendered expression of power" 69 : 64-92, 2004
32 Newman, M. A., "Sexual harassment and productivity : It’s not just a U. S. problem" 19 (19): 172-186, 1995
33 Hutagalung, F., "Sexual harassment : a Predictor to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among women employees" 65 : 723-730, 2012
34 Muson, L., "Longitudinal analysis of dispositional influences and sexual harassment : Effects on job and psychological outcomes" 53 : 21-46, 2000
35 Schneider, K. T., "Job-related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 empirical evidence from two organizations" 82 (82): 401-415, 1997
36 Welsh, S., "Gender and sexual harassment" 25 : 169-190, 1999
37 Hassell, K., "Comparing the workplace experiences of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Examining workplace problems, stress, job satisfaction and consideration of career change" 13 (13): 37-53, 2011
38 Fitzgerald, 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exual harassment in organizations : A test of an integrated model" 82 (82): 578-589, 1997
39 Willness, C. R., "A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60 (60): 127-162, 2007
저소득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 대상부모역할프로그램 효과성과 지역사회활용방안
기혼여성의 인력개발과 카텍식스 : 아내의 소득, 부부관계만족과 남편의 가사노동이 아내의정서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검증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와 가족 내무급노동 분배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8-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42 | 1.559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