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무급노동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년도 자료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시간제로 근로하는 경우 전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무급노동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년도 자료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시간제로 근로하는 경우 전업...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무급노동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년도 자료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시간제로 근로하는 경우 전업주부에 비해 약하지만 더 평등하게 무급노동을 분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제로 근로하는기혼여성이 전업주부에 비해 더 평등하게 무급노동 분배를 하는 것은 20-44세 연령대에서만 나타났다. 전체 시간제 근로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량은 10세 미만 가구원수에 의해 주요하게 달라졌으며 전업주부와 달리 배우자의 성역할 인식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시간제 근로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량은 소득 자원과 무관한 반면 무급노동 분담률은 주로 배우자의 성역할 인식이 진보적이면 감소하면서도 본인의 절대적 소득이 높으면 미비한 수준이지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분석한 결과 20-44세 시간제 근로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은 전업주부와 달리 10세 미만 가구원수, 배우자의 교육수준이나 성역할 인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분담률은 본인의 절대적 소득에 의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5세 이상 기혼여성 중 시간제 근로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량은배우자의 건강상태에 주요하게 달라졌다. 분담률은 배우자의 성역할 인식과 건강상태에 의해 주요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가족 내 무급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에 가지는 이론적 함의와 일가정양립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진, "한국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이동: 그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15 (15): 1-27, 2015
2 오지혜, "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을 넘어서 -" 한국가족학회 28 (28): 233-270, 2016
3 안미영,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2) : 14-40, 2016
4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5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6 안미영,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14 (14): 83-102, 2017
7 홍승아, "일・가정양립의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 전략적 선택인가, 젠더 함정인가?" 한국가족학회 24 (24): 135-165, 2012
8 김양희, "유통서비스업 시간제 일자리의 실제: 경력단절 여성의 판매노동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39-66, 2013
9 국미애, "유연근무제와 노동시간의 젠더 정치: 시간제근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0 (30): 3-34, 2013
10 이주희, "여성의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고용과 복지의 재구조화: 월스톤크래프트 딜레마의 극복을 위한 대안" 한국여성학회 28 (28): 35-62, 2012
1 김혜진, "한국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이동: 그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15 (15): 1-27, 2015
2 오지혜, "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을 넘어서 -" 한국가족학회 28 (28): 233-270, 2016
3 안미영,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2) : 14-40, 2016
4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5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6 안미영,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14 (14): 83-102, 2017
7 홍승아, "일・가정양립의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 전략적 선택인가, 젠더 함정인가?" 한국가족학회 24 (24): 135-165, 2012
8 김양희, "유통서비스업 시간제 일자리의 실제: 경력단절 여성의 판매노동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39-66, 2013
9 국미애, "유연근무제와 노동시간의 젠더 정치: 시간제근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0 (30): 3-34, 2013
10 이주희, "여성의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고용과 복지의 재구조화: 월스톤크래프트 딜레마의 극복을 위한 대안" 한국여성학회 28 (28): 35-62, 2012
11 문지선, "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15 (15): 43-82, 2015
12 황수경,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유연근무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13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한국여성연구소 16 (16): 321-359, 2016
14 김현경, "시간제 일자리 확산이 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15 신경아, "시간제 노동과 성평등: 박근혜 정부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여성학회 30 (30): 81-112, 2014
16 이옥진, "시간제 근로(Part-Time Jobs)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 적용가능성과 결정요인 탐색"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35-153, 2013
17 김윤호, "시간제 근로 유형화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다수사례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18 (18): 113-146, 2012
18 신경아, "시간선택제 여성노동자의 조직 내 주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31 (31): 131-179, 2015
19 김소영,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34 (34): 65-84, 2016
20 민연경, "보육정책의 이슈네트워크 분석: 무상보육정책과 양육수당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4 (24): 97-138, 2015
21 신경아, "[쟁점과 동향] 시간제 일자리에 관한 여성주의적 소고(小考)" 한국여성연구소 13 (13): 121-141, 2013
22 Stier, H., "Women’s part-time employment and gender inequality in the family" 21 (21): 390-410, 2000
23 van Berkel, M., "Who Dominates When? : Asymmetrical Patterns of Influence among Dutch Husbands and Wives" Katholieke Universiteit Nijmegen 1997
24 Bittman, M., "When does gender trump money? Bargaining and time in household work" 109 (109): 186-214, 2003
25 Horrel, S., "The Social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Househo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224, 1994
26 Batalova, J. A., "Premarital cohabitation and housework : Couples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64 (64): 743-755, 2002
27 Goldscheider, F. K., "New Families, No Families? The Transformation of the American Hom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28 Sørensen, A., "Married women’s economic dependency 1940-1980" 93 (93): 659-687, 1987
29 OECD, "Labor Statistics"
30 Bianchi, S. M.,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79 (79): 191-228, 2000
31 Blood, R. O., "Husbands & Wives: The Dynamics of Married Living" The Free Press 1960
32 Szinovacz, M., "Female retirement : Effects on spousal roles and marital adjustment" 1 (1): 423-440, 1980
33 Coverman, S., "Explaining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26 (26): 81-97, 1985
34 Presser, H. B., "Employment schedules among dual-earner spouses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by gender" 59 (59): 348-364, 1994
35 Brines, J., "Economic dependency,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100 (100): 652-688, 1994
36 Greenstein, T. N., "Economic dependence,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ome : A replication and extension" 62 (62): 322-335, 2000
37 Evertsson, M, "Dependence within families and the division of labor : Comparing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66 (66): 1272-1286, 2004
38 Gupta, S., "Autonomy, dependence, or displa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earnings and housework" 69 (69): 399-417, 2007
39 Fraser, N., "After the family wage : Gender equity and the welfare state" 22 (22): 591-618, 1994
40 Becker, G.,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41 여성가족부, "2016년 경력단절 여성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
저소득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 대상부모역할프로그램 효과성과 지역사회활용방안
기혼여성의 인력개발과 카텍식스 : 아내의 소득, 부부관계만족과 남편의 가사노동이 아내의정서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검증
성희롱 경험이 여성의 근로환경만족과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8-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42 | 1.559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