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정치영역 확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Political Career of Female Members of Local Counci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풀뿌리 민주주의로 대표되는 지방의회에서 여성의원들은 여성의 대표성 확대와 올바른 풀뿌리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중요성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정치영역 확대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방의회에서 여성의원들의 정치영역이 확대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초의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부터 2014년 지방선거까지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로 진출한 여성의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치영역의 확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치영역을 확대한 지방의회 여성의원들의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4회 지방선거에서부터 그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확대는 지방의회 내에서 이루어졌고 그 외에 지방자치단체나 국회로 영역을 확대하는 경우는 미비한 수준이었다. 둘째, 정치영역의 확대를 한 남성의원의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여성의원의 정치영역 확대는 남성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정치영역을 확대한 의원의 성별에 따라 연령, 학력, 출마지역, 소속정당 및 초선의원유형 등의 차이가 확인되었고, 이러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풀뿌리 민주주의로 대표되는 지방의회에서 여성의원들은 여성의 대표성 확대와 올바른 풀뿌리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중요성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정치영...

      풀뿌리 민주주의로 대표되는 지방의회에서 여성의원들은 여성의 대표성 확대와 올바른 풀뿌리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중요성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정치영역 확대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방의회에서 여성의원들의 정치영역이 확대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초의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부터 2014년 지방선거까지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로 진출한 여성의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치영역의 확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치영역을 확대한 지방의회 여성의원들의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4회 지방선거에서부터 그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확대는 지방의회 내에서 이루어졌고 그 외에 지방자치단체나 국회로 영역을 확대하는 경우는 미비한 수준이었다. 둘째, 정치영역의 확대를 한 남성의원의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여성의원의 정치영역 확대는 남성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정치영역을 확대한 의원의 성별에 따라 연령, 학력, 출마지역, 소속정당 및 초선의원유형 등의 차이가 확인되었고, 이러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여성할당제의 효과" 한국여성연구소 14 (14): 203-241, 2014

      2 엄태석, "충북지역 여성 지방의원의 정치참여와 의정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227-259, 2011

      3 이준한, "지방직 출신 국회의원의 충원과 특징"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61-85, 2009

      4 김명숙, "지방정치에서의 여성참여 현황과 확대방안: 지방선거 참여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23 (23): 77-108, 2015

      5 김용철, "지방자치제하에서 여성정치참여의 실태와 정책방향" 한국정책학회 16 (16): 307-328, 2007

      6 이혜숙,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세력화" 다산출판사 2016

      7 박의경, "지방자치 20년 : 지역 여성정치의 현황과 과제" 5.18연구소 10 (10): 197-224, 2010

      8 김원홍, "지방의회 여성의원 의원경력 지속 및 확충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9 황아란, "지방의원 선거의 여성참여와 정당공천: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7 (17): 87-108, 2007

      10 조갑련, "지방선거와 젠더정치의 활성화 방안" 4 (4): 69-83, 2010

      1 김민정,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여성할당제의 효과" 한국여성연구소 14 (14): 203-241, 2014

      2 엄태석, "충북지역 여성 지방의원의 정치참여와 의정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227-259, 2011

      3 이준한, "지방직 출신 국회의원의 충원과 특징"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61-85, 2009

      4 김명숙, "지방정치에서의 여성참여 현황과 확대방안: 지방선거 참여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23 (23): 77-108, 2015

      5 김용철, "지방자치제하에서 여성정치참여의 실태와 정책방향" 한국정책학회 16 (16): 307-328, 2007

      6 이혜숙,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세력화" 다산출판사 2016

      7 박의경, "지방자치 20년 : 지역 여성정치의 현황과 과제" 5.18연구소 10 (10): 197-224, 2010

      8 김원홍, "지방의회 여성의원 의원경력 지속 및 확충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9 황아란, "지방의원 선거의 여성참여와 정당공천: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7 (17): 87-108, 2007

      10 조갑련, "지방선거와 젠더정치의 활성화 방안" 4 (4): 69-83, 2010

      11 황아란, "지방 선출직 공직자의 경력 상향이동에 관한 연구: 제3~5회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3 (13): 165-192, 2014

      12 김현희, "여성정치할당 10년의 성과와 한계"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140-182, 2010

      13 김원홍, "여성의원 경력지속성: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1 (51): 71-102, 2012

      14 조정래, "여성의무공천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지방정치에서 여성 대표성의 확대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5 (25): 5-28, 2011

      15 엄태석, "여성의 정치참여가 지역 여성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양시의회 여성의원의 의정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정보학회 13 (13): 71-94, 2010

      16 오유석, "여성의 정치참여,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을 고민해야 하나" 6 : 6-74, 2006

      17 정연정,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 선거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 24 (24): 115-134, 2011

      18 황아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과 선거제도 효과 : 지방의원선거를 중심으로" 1 (1): 99-128, 2011

      19 황영주, "양성평등, 역량강화 및 법・제도 개선 : 지방여성의원 진출의활성화 방안" 2 (2): 63-100, 2006

      20 김영일, "세방화 시대 지방의회의 위상과 역할: 생활정치의 장(場)으로서의 지방의회" 한국시민윤리학회 21 (21): 149-176, 2008

      21 윤이화, "비례대표 여성후보 공천할당제 확산효과에 관한 연구: 프랑스 지방의회 동수법(La loi Parite)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9 (19): 345-368, 2014

      22 Francis, W. L., "Up the Political Ladder :Career Paths in US Politics" SAGE 1999

      23 Schlesinger, J. A., "Ambition and Politics : Political Careers in the United States" Rand McNally 1966

      24 황아란, "2006년 지방선거와 여성의 정치충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51-7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