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 Preliminary Study on a Social-Enterprise-centered Model of Welfare Technology Eco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9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복지기술 산업을 활성화하는 전략으로서 기술기반의 사회적기업을 위한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기반의 혁신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 한국 사회적기업들은 인력, 기 술, 자금, 연계기관의 지원 등 기술혁신을 위한 제반여건이 부실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 적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돌파기제로서 사회서비스 제공에 적용되는 복지기술의 확대와 산업화에 주목하 였다.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로서의 복지기술은 복지국가전략과 관련된 제도적 상보성(institutional complementarity)을 지니고 있다. 복지국가의 사회서비스 확대과정에서 복지기술은 사회적기업에 새로운 사업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은 시장에서 산업화가 지지부진한 복지기술의 공급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을 공급자로 하고 다면적인 민관협력을 통해 재정 및 지식 자본이 수혈되며 소셜 리빙랩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연결되는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복 지기술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 모델은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임팩트와 경제적 수익을 동시적으로 추구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또 사회적기업의 혁신에 관한 후속 연구들을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복지기술 산업을 활성화하는 전략으로서 기술기반의 사회적기업을 위한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복지기술 산업을 활성화하는 전략으로서 기술기반의 사회적기업을 위한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기반의 혁신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 한국 사회적기업들은 인력, 기 술, 자금, 연계기관의 지원 등 기술혁신을 위한 제반여건이 부실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 적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돌파기제로서 사회서비스 제공에 적용되는 복지기술의 확대와 산업화에 주목하 였다.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로서의 복지기술은 복지국가전략과 관련된 제도적 상보성(institutional complementarity)을 지니고 있다. 복지국가의 사회서비스 확대과정에서 복지기술은 사회적기업에 새로운 사업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은 시장에서 산업화가 지지부진한 복지기술의 공급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을 공급자로 하고 다면적인 민관협력을 통해 재정 및 지식 자본이 수혈되며 소셜 리빙랩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연결되는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복 지기술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 모델은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임팩트와 경제적 수익을 동시적으로 추구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또 사회적기업의 혁신에 관한 후속 연구들을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cial-enterprise-centered ecosystem model of welfare technology.’ The discussion on the model is basedon the three dimensions - a review on Korean social enterprises technologicalinnovation capabilities, a study on the meaning of welfare technology in socialpolicy, and an examination on the possibility of linking welfare technology andsocial enterprise.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it isnecessary for a social enterprise to develop innovative capabilities base ontechnology. However, many social enterprises have limitations of associatedworkforce, skills, funding, and support of related institutions. The technological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s could be driven by welfare technology which isapplied to th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Welfare technology can suggest newbusiness opportunities accompanying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socialenterprises can enable the industrialization of welfare technologies. It is neededto build the new ecosystem model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theplatform which connects consumers and providers, financial capital andknowledge capital. It will contribu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comitantgrowth of both social enterprises and welfare technology by connecting socialimpact and economic profi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cial-enterprise-centered ecosystem model of welfare technology.’ The discussion on the model is basedon the three dimensions - a review on Korean social enterprises technologicalinnovation cap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cial-enterprise-centered ecosystem model of welfare technology.’ The discussion on the model is basedon the three dimensions - a review on Korean social enterprises technologicalinnovation capabilities, a study on the meaning of welfare technology in socialpolicy, and an examination on the possibility of linking welfare technology andsocial enterprise.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it isnecessary for a social enterprise to develop innovative capabilities base ontechnology. However, many social enterprises have limitations of associatedworkforce, skills, funding, and support of related institutions. The technological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s could be driven by welfare technology which isapplied to th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Welfare technology can suggest newbusiness opportunities accompanying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socialenterprises can enable the industrialization of welfare technologies. It is neededto build the new ecosystem model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theplatform which connects consumers and providers, financial capital andknowledge capital. It will contribu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comitantgrowth of both social enterprises and welfare technology by connecting socialimpact and economic prof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규, "한국형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차이분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15 (15): 25-43, 2011

      2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09-238, 2011

      3 김동우, "크라우드펀딩 현황 및 파급효과, KB daily 지식 비타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2

      4 이철선, "친서민정책으로서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전략 Ⅲ: 사회서비스 산업-제3섹터-고용창출 연계모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5 고용기,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3

      6 김선우, "중소기업 유형별 연구개발인력 수요 현황 분석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0 : 2012

      7 서지영, "우리나라 사회기반 강화를 위한 고령화 대응 과학기술정책 방향" 21 (21): 49-59, 2011

      8 장석인, "사회혁신기업의 임팩트 투자와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사례연구: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 (20): 253-273, 2017

      9 임홍탁,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발전방안" 보건복지부 2015

      10 곽관훈, "사회책임투자(SRI)와 기관투자자의 역할"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465-494, 2006

      1 안영규, "한국형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차이분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15 (15): 25-43, 2011

      2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09-238, 2011

      3 김동우, "크라우드펀딩 현황 및 파급효과, KB daily 지식 비타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2

      4 이철선, "친서민정책으로서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전략 Ⅲ: 사회서비스 산업-제3섹터-고용창출 연계모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5 고용기,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3

      6 김선우, "중소기업 유형별 연구개발인력 수요 현황 분석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0 : 2012

      7 서지영, "우리나라 사회기반 강화를 위한 고령화 대응 과학기술정책 방향" 21 (21): 49-59, 2011

      8 장석인, "사회혁신기업의 임팩트 투자와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사례연구: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 (20): 253-273, 2017

      9 임홍탁,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발전방안" 보건복지부 2015

      10 곽관훈, "사회책임투자(SRI)와 기관투자자의 역할"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465-494, 2006

      11 이진민,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2 (22): 123-142, 2017

      12 강혜규, "사회적기업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실태 및 운영구조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3 조상미,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주요쟁점 및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을 향하여"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4) : 209-259, 2017

      14 장홍근, "사회적기업과 인적자원전략" 한국노동연구원 2011

      15 이인재,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 평가 및 개선 과제: 창업 단계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7) : 111-137, 2016

      16 전병유, "사회적기업 실태 조사 연구보고서" 고용노동부․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2

      17 여예원, "사회적기업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7 (7): 11-36, 2014

      18 김종선, "사회적경제의 혁신능력 향상 방안: 혁신연계조직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19 이인재, "사회적경제의 이해와 전망" 아르케 143-172, 2014

      20 주성수, "사회적경제: 이론, 제도, 정책"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0

      21 김혜원,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공공구매" 국민경제자문회의 민생분과 2014

      22 송위진, "사회적경제 조직의 혁신활동 특성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 2014

      23 송위진, "사회적 혁신정책 –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기술혁신정책" Seoul R&BD 2011

      24 장용석, "사회적 혁신 생태계 3.0" CS컨설팅&미디어 2015

      25 김학실, "사회적 서비스 공급 특성과 사회적기업 연계방안" 3 (3): 39-69, 2014

      26 전수욱, "사회적 기업의 창업기회와 창업성공의 요소들"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8 (8): 177-215, 2015

      27 라준영,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 한국중소기업학회 13 (13): 129-161, 2010

      28 이시원, "사회적 기업에 대한 학문적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학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639-671, 2015

      29 박노윤,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의 흡수능력 : 딜라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8 (8): 39-75, 2015

      30 라준영, "사회적 기업 생태계와 정책 혁신: 진화론적 관점" 한국협동조합학회 32 (32): 27-57, 2014

      31 김갑래, "사회성과연계채권(SIB) 활용방안: 자본시장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 자본시장연구원 2012

      32 안상훈, "사회서비스형 복지국가전략의 지속가능성" 50 (50): 263-293, 2011

      33 이준영, "사회서비스 제공과 사회적기업"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57-281, 2010

      34 김혜원,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적기업은 지속가능한가" 27 : 31-50, 2007

      35 송위진,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기술: 사회기술 - 특성과 정책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9 : 2011

      36 유근춘, "복지와 기술융합(W-Tech)체계 구축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37 김민희, "보건의료 R&D 혁신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ʻLiving Lab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38 이재연, "덴마크의 사회복지 디지털화 전략" 38 : 16-, 2016

      39 홍장표, "기업의 연결망 특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산업개발연구소 32 (32): 1-29, 2016

      40 안상훈, "기술혁신형 新복지서비스모델 기획 연구" 미래창조과학부·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41 송위진, "기술집약형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

      42 손호성, "기술기반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 특성에 관한 연구" 5 (5): 39-64, 2012

      43 서지영, "과학기술정책에서 복지는 어떻게 인식되어지고 있는가?" 22 (22): 62-75, 2012

      44 김왕동, "과학기술을 통한 창조 복지국가실현 방안: 함께하는 혁신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45 오상록, "과학기술 및 ICT등 대융합 기반 제품·서비스 혁신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미래창조과학부 2013

      46 유상현, "공적 연기금의 사회책임투자 방안" 국민연금연구원 2006

      47 장인봉, "공동생산자(Co-producer)로서 지방정부와 사회적 기업의 파트너십(Partnership) 형성과 전망"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299-320, 2008

      48 조황희, "고령자의 삶의 질 증대를 위한 과학기술활용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49 강예원, "‘사회적기업 생태계’ 접근을 통한 연구경향 분석" 6 (6): 93-139, 2013

      50 Mason, C. A., "Using Technology to Improve Delivery of Care" 29 (29): 70-72, 2005

      51 Tansley, A. G., "The Use and Abuse of Vegetational Concepts and Terms" 16 (16): 284-307, 1935

      52 Nielsen, C., "Technology and the welfare system" IDA & LGDK’s Discussion paper on welfare technology 2008

      53 OECD,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istics: Government budget appropriations or outlays for RD" OECD ‘Science, Technology and R&D Statistics’ 2016

      54 백흥기, "OECD 국가 비교를 통해 본 국내 사회서비스 산업의 현황과 육성과제" 2014

      55 송위진,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9 : 2012

      56 Salamon, L. M., "Leverage for Good: An Introduction to the New Frontiers of Philanthropy and Social Invest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57 Søndergård, D., "Future Challenges and the Role of Welfare Technology" KIHASA, STEPI & Nordic Centre for Welfare and Social Issues 2014

      58 Hoenig, H., "Does assistive technology substitute for personal assistance among the disabled elderly?" 93 (93): 330-337, 2003

      59 Børner, T., "Digital Welfare-economics, efficiency and quality" KIHASA, STEPI & Nordic Centre for Welfare and Social Issues 2014

      60 CASE, "Developing the Field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Skoll Foundation 2008

      61 Affleck, A., "Community Development Finance: A Neo-Market Solution to Social Exclusion?" 35 (35): 303-319, 2006

      62 Akubue, A., "Appropriate Technology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ird World Countries" 26 (26): 33-43, 2000

      63 안상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복지전략"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적기업연구(Social Enterprise Studies) ->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cial Value and Enterpris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