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문가 사사 R&E에서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를 지원하는 교수적 특성 -교수자와 학생의 위치짓기를 중심으로- = Pedagogical Characteristics Supporting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the Scientist-led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Focusing on the Positioning of Instructors an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cientist-led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aims to strengthen gifted science students’ research capabilities under the guidance of scientists. Students' actual research experiences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range from understanding how scientists conduct research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research. To develop R&E that promotes student agency, i.e., student particip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supported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the scientist-led R&E program.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scientists in three teams undertaking R&E activities every three months. The interview covered their perceptions of R&E activities, student participation, and scientists’ support for the activities. The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the interviews were used as primary data sources for the analysis. The trajectory of each team’s activities, as well as the learners’ and scientists’ dynamic positioning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analysis, we inductively identified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from classes in which the scientists supported the students’ learning and engagement in research. Regarding agency, three types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1) the sustained exercise of agency, 2) the initial exercise and subsequent discouragement of agency, and 3) the continuous non-exercise of agency. Two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supported the learners’ agentic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1)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research management and 2) scientist-student interactions encouraging learners to present expert-level idea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pedagogies that foster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번역하기

      The scientist-led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aims to strengthen gifted science students’ research capabilities under the guidance of scientists. Students' actual research experiences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range from understanding...

      The scientist-led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aims to strengthen gifted science students’ research capabilities under the guidance of scientists. Students' actual research experiences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range from understanding how scientists conduct research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research. To develop R&E that promotes student agency, i.e., student particip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supported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the scientist-led R&E program.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scientists in three teams undertaking R&E activities every three months. The interview covered their perceptions of R&E activities, student participation, and scientists’ support for the activities. The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the interviews were used as primary data sources for the analysis. The trajectory of each team’s activities, as well as the learners’ and scientists’ dynamic positioning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analysis, we inductively identified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from classes in which the scientists supported the students’ learning and engagement in research. Regarding agency, three types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1) the sustained exercise of agency, 2) the initial exercise and subsequent discouragement of agency, and 3) the continuous non-exercise of agency. Two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supported the learners’ agentic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1)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research management and 2) scientist-student interactions encouraging learners to present expert-level idea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pedagogies that foster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R&E 활동은 과학영재 학생이 이공계 전문 연구자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실제 전문가 사사R&E 활동에서 학생의 연구 경험은 과학자 주도의 연구 이해부터직접적인 연구 참여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와같은 R&E 활동 참여를 학생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로 보는 관점하에서,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를 지원한 교수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학교에서 운영된 R&E 활동에서 형성된 4개 팀에 속한 학생, 교수, 조교를 대상으로 면담을 약 3개월 간격으로 실시했다. 면담에서는 R&E 활동에 대한 인식, R&E 활동에서의학생 활동, 지도 교수 및 조교의 지원 등을 다루었고, 면담 내용은녹음 및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면담 항목들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각 팀의 활동 과정을 정리하고, 활동 과정에서의 교수자와 학생의 위치짓기 변화 과정과 행위주체성의 발현 양상을 도출했다. 그리고 학생의 행위주체적 연구참여를 지원한 교수 에피소드로부터 나타나는 교수적 특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했다.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성 발현은 행위주체성의 지속적발현, 행위주체성의 발현 및 좌절, 행위주체성의 지속적 미발현으로3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각 유형의 행위주체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친 교수적 특성은 과학영재의 연구 운영 참여 기회 개방, 학생이전문성 있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학생 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R&E 활동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지원하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R&E 활동은 과학영재 학생이 이공계 전문 연구자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실제 전문가 사사R&E 활동에서 학생의 연구 경험은 과학자 주도의 연구 이...

      R&E 활동은 과학영재 학생이 이공계 전문 연구자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실제 전문가 사사R&E 활동에서 학생의 연구 경험은 과학자 주도의 연구 이해부터직접적인 연구 참여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와같은 R&E 활동 참여를 학생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로 보는 관점하에서,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를 지원한 교수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학교에서 운영된 R&E 활동에서 형성된 4개 팀에 속한 학생, 교수, 조교를 대상으로 면담을 약 3개월 간격으로 실시했다. 면담에서는 R&E 활동에 대한 인식, R&E 활동에서의학생 활동, 지도 교수 및 조교의 지원 등을 다루었고, 면담 내용은녹음 및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면담 항목들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각 팀의 활동 과정을 정리하고, 활동 과정에서의 교수자와 학생의 위치짓기 변화 과정과 행위주체성의 발현 양상을 도출했다. 그리고 학생의 행위주체적 연구참여를 지원한 교수 에피소드로부터 나타나는 교수적 특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했다.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성 발현은 행위주체성의 지속적발현, 행위주체성의 발현 및 좌절, 행위주체성의 지속적 미발현으로3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각 유형의 행위주체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친 교수적 특성은 과학영재의 연구 운영 참여 기회 개방, 학생이전문성 있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학생 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R&E 활동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지원하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주, "학생의 행위주체적 탐구 실행을 위한 도전적 과제- 생명과학 영역에서의 학생 주도 R&E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48 (48): 504-520, 2020

      2 이민주 ; 김희백,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371-387, 2016

      3 정현철 ; 채유정 ; 류춘렬,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한국영재학회 22 (22): 597-617, 2012

      4 최호성 ; 태진미,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의미: 졸업생 면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51-79, 2015

      5 Siry, C., "Young students’ diverse resources for meaning making in science : Learning from multilingual contexts" 42 (42): 2364-2386, 2020

      6 Barton, A. C., "We be burnin’! Agency, identity, and science learning" 19 (19): 187-229, 2010

      7 Polkinghorne, D. E., "Validity issues in narrative research" 13 (13): 471-486, 2007

      8 Ramirez, J. J., "The intentional mentor : Effective mentorship of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11 (11): A55-A63, 2012

      9 Jung, H. C., "The Study of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7

      10 Jung, H. C., "The Study of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6

      1 이민주, "학생의 행위주체적 탐구 실행을 위한 도전적 과제- 생명과학 영역에서의 학생 주도 R&E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48 (48): 504-520, 2020

      2 이민주 ; 김희백,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371-387, 2016

      3 정현철 ; 채유정 ; 류춘렬,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한국영재학회 22 (22): 597-617, 2012

      4 최호성 ; 태진미,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의미: 졸업생 면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51-79, 2015

      5 Siry, C., "Young students’ diverse resources for meaning making in science : Learning from multilingual contexts" 42 (42): 2364-2386, 2020

      6 Barton, A. C., "We be burnin’! Agency, identity, and science learning" 19 (19): 187-229, 2010

      7 Polkinghorne, D. E., "Validity issues in narrative research" 13 (13): 471-486, 2007

      8 Ramirez, J. J., "The intentional mentor : Effective mentorship of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11 (11): A55-A63, 2012

      9 Jung, H. C., "The Study of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7

      10 Jung, H. C., "The Study of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6

      11 Lidar, M.,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 The interplay between teachers’ epistemological moves and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y" 90 (90): 148-163, 2006

      12 Duschl, R. A.,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38 (38): 39-72, 2002

      13 Connelly, F. M.,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14 Lave, J.,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5 Hammer, D., "Responsive teaching and the beginnings of energy in a third grade classroom" 6 (6): 51-72, 2012

      16 Robnett, R. D., "Research mentoring and scientist identity : Insights from undergraduates and their mentors" 5 : 41-, 2018

      17 최종근 ; 김찬종, "R&E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에 따른 과학영재학교 졸업생들의 인식 차이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71-586, 2022

      18 강성주 ; 김현주 ; 이길재 ; 권영식 ; 김명희 ; 김연숙 ; 김윤화 ; 신호심 ; 임희영 ; 하지희,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626-638, 2009

      19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20 Richmond, G., "Moving from outside to inside : High school students’ use of apprenticeships as vehicles for entering the culture and practice of science" 36 (36): 677-697, 1999

      21 Sadler, T. D., "Learning science through research apprenticeships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47 (47): 235-256, 2010

      22 Ritchie, S. M., "Laboratory apprenticeship through a student research project" 33 (33): 799-815, 1996

      23 Holland, D., "Identity and agency in cultural worl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24 Clandinin, D. J.,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Sage 2007

      25 Hunter, A. B., "Becoming a scientist : The role of undergraduate research in students’ cognitiv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91 (91): 36-74, 2007

      26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