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 분석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daptive practices of science teachers in their classroom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se practices within science subjects. Our analysis comprised 339 cases from 128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nationwide, and 199 ca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disciplines.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adaptive practice in science disciplines pertained to experimental procedures. Within the 'suggestion of additional materials/activities' category, the most frequently cited adaptive practice, teachers incorporated demonstrations to either facilitate student comprehension or enhance motivation. Additionally, 'experimental equipment manipulation or presentation of inquiry skills' emerged as the second most common adaptive practice related to experiments. Notably, over 50% of teacher respons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pertained to experiment guidance. Second, many adaptive practices involv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learning situations were presented, particularly in areas such as numeracy and literacy. Many cases were related to the basic ability of mathematics used as a tool in science learning and understanding scientific terms in Chinese characters. Third, beyond 'experiment guidance', the characteristic adaptive practices of science subjects were related to 'connections between scientific theory and the real world', 'misconception guidance in science', 'cultivation of scientific thinking', and 'convergence approaches'. Fourth, the cases of adaptive practice presented by the science teachers differed by school level and maj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chool level or major in future research related to adaptive practice. Fifth, most of the adaptive action items with a small number of cases were adaptive actions execute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so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lated professionalis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daptive practices of science teachers in their classroom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se practices within science subjects. Our analysis comprised 339 cases from 128 middle and high schoo...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daptive practices of science teachers in their classroom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se practices within science subjects. Our analysis comprised 339 cases from 128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nationwide, and 199 ca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disciplines.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adaptive practice in science disciplines pertained to experimental procedures. Within the 'suggestion of additional materials/activities' category, the most frequently cited adaptive practice, teachers incorporated demonstrations to either facilitate student comprehension or enhance motivation. Additionally, 'experimental equipment manipulation or presentation of inquiry skills' emerged as the second most common adaptive practice related to experiments. Notably, over 50% of teacher respons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pertained to experiment guidance. Second, many adaptive practices involv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learning situations were presented, particularly in areas such as numeracy and literacy. Many cases were related to the basic ability of mathematics used as a tool in science learning and understanding scientific terms in Chinese characters. Third, beyond 'experiment guidance', the characteristic adaptive practices of science subjects were related to 'connections between scientific theory and the real world', 'misconception guidance in science', 'cultivation of scientific thinking', and 'convergence approaches'. Fourth, the cases of adaptive practice presented by the science teachers differed by school level and maj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chool level or major in future research related to adaptive practice. Fifth, most of the adaptive action items with a small number of cases were adaptive actions execute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so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lated professionalis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 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 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우 ; 최은동, "한자어의 뜻풀이를 이용한 학습이 학생들의 물리용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리학회 57 (57): 114-119, 2008

      2 김희경 ; 이봉우, "학생들이 물리를 재미없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한 분석" 한국물리학회 52 (52): 521-529, 2006

      3 김영한 ; 최용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 개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51-171, 2013

      4 윤혜경,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74-84, 2004

      5 홍옥수 ; 김경미 ; 이재영 ; 김율, "지능형 과학실의 개념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42 (42): 177-184, 2022

      6 정진우 ; 이근준 ; 김진국,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64-373, 2006

      7 강동승 ; 이봉우,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관련 내용 분석" 한국물리학회 70 (70): 39-49, 2020

      8 김희경, "중등 과학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43 (43): 295-306, 2023

      9 박성만 ; 이봉우,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내용체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수준 및 적용 실태 분석 -역학 단원 중심으로-" 한국물리학회 59 (59): 442-449, 2009

      10 김민환 ; 김성훈 ; 노태희,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441-456, 2019

      1 이봉우 ; 최은동, "한자어의 뜻풀이를 이용한 학습이 학생들의 물리용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리학회 57 (57): 114-119, 2008

      2 김희경 ; 이봉우, "학생들이 물리를 재미없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한 분석" 한국물리학회 52 (52): 521-529, 2006

      3 김영한 ; 최용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 개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51-171, 2013

      4 윤혜경,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74-84, 2004

      5 홍옥수 ; 김경미 ; 이재영 ; 김율, "지능형 과학실의 개념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42 (42): 177-184, 2022

      6 정진우 ; 이근준 ; 김진국,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64-373, 2006

      7 강동승 ; 이봉우,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관련 내용 분석" 한국물리학회 70 (70): 39-49, 2020

      8 김희경, "중등 과학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43 (43): 295-306, 2023

      9 박성만 ; 이봉우,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내용체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수준 및 적용 실태 분석 -역학 단원 중심으로-" 한국물리학회 59 (59): 442-449, 2009

      10 김민환 ; 김성훈 ; 노태희,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441-456, 2019

      11 조헌국 ; 송진웅, "불일치 상황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관찰 유형과 학습자의 과학의 관점이 관찰 활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405-414, 2011

      12 엄채윤, "교사의 변화능력에 대한 의미와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91-215, 2012

      13 유은정 ; 변태진 ; 백종호 ; 심현표 ; 유금복 ; 이동원, "과학교육에서 탐구 관련 국외 연구 동향 -탐구의 인식과 관점, 전략과 지원, 교사 전문성의 관점에서-" 한국과학교육학회 41 (41): 33-46, 2021

      14 손정우 ; 최재혁 ; 노현아 ; 심규철 ; 차정호 ; 이기영 ; 이봉우, "과학 중점학교의 성과에 대한 교사와 전문가 인식 조사" 한국물리학회 71 (71): 142-149, 2021

      15 이세연 ; 이봉우, "고등학교 물리 교사들이 교과서 탐구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519-526, 2018

      16 Fullan, M. G., "Why teachers must become change agents" 50 (50): 12-17, 1993

      17 Orgill, M.,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using analogies to teach chemistry" 5 (5): 15-32, 2004

      18 Martin, A. J., "The role of adaptability in promoting control and reducing failure dynamics : A mediation model" 38 : 36-43, 2015

      19 Abd-El-Khalick, F.,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 Making the unnatural" 82 : 417-436, 1998

      20 Helsby, G., "The life and work of teachers" Routledge 93-108, 2005

      21 Sachs, J., "The life and work of teachers" Routledge 75-87, 2000

      22 Ministry of Education,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3 Ministry of Education, "The 2022 revised national highschool curriculum"

      24 Collie, R. J., "Teachers’ sense of adaptability : Examining links with perceived autonomy support, teachers’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students’ numeracy achievement" 55 : 29-39, 2017

      25 Loughland, T., "Teacher adaptive practices : A key factor in teachers’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44 (44): 18-30, 2019

      26 Loughland, T., "Teacher Adaptive Practices : Examining Links with Teacher Self-Efficacy,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Teachers’ Sense of Adaptability" 40 (40): 55-70, 2018

      27 Collie, R. J., "Students’ adaptability in mathematics : Examining self-reports and teachers’ reports and links with engagement and achievement outcomes" 49 : 355-366, 2017

      28 Kirk, J., "Resilience and loss in work identities : a narrative analysis of some retired teachers’ work-life histories" 36 (36): 627-641, 2010

      29 Guskey, T. 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change" 8 (8): 381-392, 2003

      30 Cullen, K. L., "Employees’ Adaptability and Perceptions of Change-Related Uncertainty : Implications f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29 (29): 269-280, 2014

      31 Zook, K. B., "Effects of analogical processes on learning and misrepresentation" 3 (3): 41-72, 1991

      32 Glaser, B.,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Routledge 2017

      33 Darling-Hammond, L., "Constructing 21st-Century Teacher Education" 57 (57): 300-314, 2006

      34 윤혜경 ; 김희경, "COVID-19 상황에서 과학교사의 온라인 수업 실행: ‘브리콜라주’ 개념을 통한 해석"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27-246, 2021

      35 Thiele, R. B., "An interpretive examination of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analogical explanations" 31 (31): 227-242, 1994

      36 Pulakos, E. D.,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adaptive performance" 85 (85): 612-624, 2000

      37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hn Wiley & Sons 2009

      38 박상유 ; 최원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능’ 기반 탐구 수업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43 (43): 87-98, 20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