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자가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침해금지청구권은 일반적으로 특허의 침해가 발생하면 인정되는 권리였다. 그러나 특허권의 행사라 할지라도 특허제도는 산업발전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47623
대전: 忠南大學校 特許法務大學院, 2015
학위논문(석사) -- 忠南大學校 特許法務大學院 , 특허법무학과 특허법무 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346.048 판사항(22)
대전
(A) Study on Regulation about Patent Misuse : focus on restriction of infringement claims by counter-argument of the abuse of right
2, 67 p.: 삽화; 26 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동준
참고문헌: p. 66-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특허권자가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침해금지청구권은 일반적으로 특허의 침해가 발생하면 인정되는 권리였다. 그러나 특허권의 행사라 할지라도 특허제도는 산업발전이...
특허권자가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침해금지청구권은 일반적으로 특허의 침해가 발생하면 인정되는 권리였다. 그러나 특허권의 행사라 할지라도 특허제도는 산업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무제한적인 권리의 행사는 남용으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허권 남용의 법리는 미국의 연방대법원이 발전시킨 것으로 산업발전과 함께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면서 변화하여 왔다.
특허권 남용의 법리는 특허침해의 중지 또는 특허실시료의 지급을 청구하는 소송에서 피고가 제출하는 적극적 항변에서 비롯된 것으로, 특허권자의 특허권 행사가 경쟁법을 위반하거나 또는 특허법에 의해 부여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러한 지적재산권의 행사는 권리남용에 해당하여 행사할 수 없다는 형평법상의 원칙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민법에도 형평법과 같은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이 규정되어 있는데, 미국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법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중요성이 더욱 더 강조되고 있는 표준특허의 정의, 표준특허에서 발생하는 권리남용의 유형과 더불어 특허괴물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