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진입·영업행위·공시규제의 적용 방안 연구 -관련 민사판례의 실무 동향과 한계 및 입법 방안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egislative Approaches for the Application of Entry, Business Practices, and Disclosure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Investors -Focusing on Practical Trends, Limitations, and Legislative Approaches with reference to Per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2023. 7.에 제정되어 2024. 7.에 시행될 예정이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그동안 견해가 대립되었던 투자자 보호 여부에 대하여 이를 긍정하는 것으로 입법적 결단을...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2023. 7.에 제정되어 2024. 7.에 시행될 예정이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그동안 견해가 대립되었던 투자자 보호 여부에 대하여 이를 긍정하는 것으로 입법적 결단을 내린 의의가 있다. 다만 위 법은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하여 영업행위규제 중 일부 및 불공정거래규제에 대하여만 규율하고 있고 장래에 투자자 보호를 위한 2단계 입법이 예정되어 있는바, 2단계 입법에서 진입규제, 영업행위규제, 공시규제를 추가적으로 규정함으로써 투자자 보호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는지, 효과가 있다면 그 법률적 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하여 위 각 규제를 가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하여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업자와 비교하여 고찰한 다음, 위 각 규제가 아직 존재하지 않은 현재의 실무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동안의 법원판결과 결정들을 모아 동향과 한계를 위 각 규제별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① 진입규제와 관련하여 가상자산상장폐지 효력정지가처분 사건에서 인허가제와 같은 진입규제가 규율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소의 상장폐지 판단에 대한 재량권을 인정할 법적 근거가 충분히 도출될 수 있는지, 그 도출과정이 타당한지 검증해 보았다. 그리고 진입규제에 수반되는 물적 설비 요건을 규정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물적 설비 미비로 인하여 발생한 거래소 전산장애 사태나 해킹 사건에서 투자자를 보호하고 거래소의 과실을 인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도 살펴보았다.
      나아가 ② 영업행위규제의 경우 투자권유단계에서의 투자자보호의무가 문제 된 사안들이 있었는데 이 경우 민사상 신의칙으로 적합성 원칙이나 설명의무를 인정할 여지는 있었으나 금융소비자보호법을 적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투자자 보호를 위한 해석을 할 여지가 적어지는 부분도 관찰할 수 있었다.
      ③ 공시규제의 경우 발행공시 관련 사건에서 백서 기재 내용에 대한 발행인의 법적 책임이 문제 된 사안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유통공시와 관련하여 공시체계의 불비가 가상자산 상장 관련 실무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위 분석 내용과 함께 MICA 등 외국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가상자산시장에 대하여 규율할 수 있는 진입규제, 영업행위규제, 공시규제의 각 방안을 합리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때 그 입법적 개선방안은 증권시장과의 규제차익을 최대한 줄이는 것을 염두에 두되, 가상자산시장의 독자성과 개별성을 아울러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uly 2023,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Users is slated for enactment with implementation scheduled for the following year in South Korea. The legislative significance here lies in its decisive stance on the contentious matter of inve...

      In July 2023,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Users is slated for enactment with implementation scheduled for the following year in South Korea. The legislative significance here lies in its decisive stance on the contentious matter of investor protection. However, this legislation primarily governs select aspects of business practices and unfair trade practices among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Furthermore, an additional legislative phase designed to bolster investor protection is on the horizon. In this contextual backdrop, we aim to ascertain the viability of achieving investor protection goals by subjecting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to entry regulations, disclosure regulations, and business practice regulations. Should these regulations prove effective, we endeavor to scrutinize the legal mechanisms available.
      To this end, we embark on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and financial investment entities within the purview of the Capital Market Act, thereby determining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se regulations to the former. Additionally, we undertak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trends and limitations of civil rulings by court inherent in each regulation by aggregating jurisprudential decisions and determinations to shed light on the practical challenges encountered in the absence of these regulatory provisions Concerning market entry regulations, an examination of the complexities and intricacies in protecting investors during critical events, such as exchange system failures or hacking incidents, is conducted. This scrutiny takes into account the absence of clearly defined infrastructure requirements.
      The assessment of business operation regulations also highlights cases where concerns have arisen regarding the duty of investor protection at the investment solicitation stage. It underscores that while there is a potential for recognizing principles like good faith and the duty to explain in civil law, the interpretation for investor protection is more restricted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Lastly, the analysis delves into disclosure regula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responsibilities of issuers regarding the contents of whitepapers. The article underscores how deficiencies in the disclosure system can have detrimental effects on practical matters associated with virtual asset listings.
      In conclusion, this comprehensive analysis aims to explore rational and effective approaches to regulate the virtual asset market. It draws from legislative examples such as MICA and other foreign regulations, with a focus on minimizing regulatory disparities between virtual assets and traditional securities markets. Simultaneously, it acknowledg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distinct nature of the virtual asset marke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