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스터발표 : Colorecral Cancer에서 MSI(현미부수체불안정성) 확인시 Molecular Analysis와 Immunohistochemistry 검사간의 유용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94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 경 종양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는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 종양유전자(oncogene), DNA 불일치교정유전자(DNA mismatch repair gene) 등이 있다. 이중 불일치교정유...

      배 경 종양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는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 종양유전자(oncogene), DNA 불일치교정유전자(DNA mismatch repair gene) 등이 있다. 이중 불일치교정유전자에 이상이 생길 경우 DNA복제과정 중 생기는 오류수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종양 조직에서 일정 염기서열이 반복되는 부위인 현미부수체(microsatellite)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혹은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illite instability, MSI)이라 하며, 불일치교정유전자 이상의 표현형이다. MSI는 유전성 암(대장암, 위암, 자궁암, 난소암 등)에서 많이 나타나며, 유전성 대장직장암인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의 약 90% 이상에서 발견된다. MSI가 있는 대장직장암은 수술 후 항암치료에도 상대적으로 반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임상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대장직장암의 MSI를 확인하는 검사방법인 분자유전학적 검사와 면역조직화학적 검사간의 비교를 통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해 보았다. 방 법 2007년 5월부터 2009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의료원 서울병원에서 대장직장암으로 진단되어 수술한 환자 중 검사 의뢰된 70명을 대상으로 분자유전학적 검사와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동시에 같은 조직으로 실시하였다. MSI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분자유전학적 검사는 BAT26, D5S346, BAT25, D17S250, D2S123 등 다섯 가지의 현미부수체 부위를 형광표지자로 PCR을 실시하여 종양 조직의 현미부수체 길이가 정상 조직 현미부수체와 비교하여 두가지 표지자 이상에서 길이의 차이가 있으면 MSI-High, 한가지 표지자에서 차이가 있으면 MSI-Low, 차이가 없으면 MSS로 판정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불일치교정유전자 중 MLH1, MSH2 단백의 항체를 사용하였고. 자동면역염색기(Bond-Max)로 검사하여 핵 내에 두 항체가 모두 발현이 되면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 발현이 되지 않으면 발현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1.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에 의한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 70예 중 18예(25.7%)에서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 52예(74.3%)에서 일치교정유전자 발현. 발현 이상이 있는 18예 중 14예(20.0%)에서 MLH1 단백이 발현되지 않았고 3예(4.3%)에서는 MLH1과 MSH2 단백이 모두 발현되지 않았으며 1예(1.4%)에서 MSH2 단백이 발현되지 않았다. 2.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한 MSI Analysis 결과 70예 중 16예(22.9%)가 MSI로 판정되고 그 중 9예(12.9%)가 MSI-High 판정, 7예(10.0%)가 MSI-Low로 판정됨, 54예(77.1%)는 MSS로 판정되었다. 3. 분자유전학적 검사와 면역화학적 검사간 차이 분자유전학적 검사에서 MSI-High 나 MSI-Low로 판정된 16예 중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에서 9예(56.2%)는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으로 판정되었고 주로 MLH1(7예)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7예(43.8%)에서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MSS로 판정된 54예 중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9예(16.7%)가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이상으로 나타났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에서는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으로 판정된 18예 중 9예(50.0%)에서 MSI-High, MSI-Low로 판정되었고 발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52예 중 7예에서 MSI-High, MSI-Low로 판정되었다. 고 찰 분자유전학적 검사는 일반적으로 시행하기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면역조직화학적 검사가 MSI를 확인하는 간편하고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에서 불일치교정유전자 발현 이상으로 판정된 환자중 9예와 발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환자중 7예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는 MSI-High, MSI-Low로 확인되어 두 검사간의 차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만으로 판단하기는 그 정확성과 위양성률을 감안하여야 하며 현미부수체불안정성(MSI) 확인을 위해서는 분자유전학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