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기획서 쓰기와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Writing and Speaking Teaching Pla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he study sought to evalu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a survey of colleges and utilizing the PBL proposal in writing a letter to find a training plan to try to apply actual classes, case studies and lessons learners. Specific teaching model is' ①incentives: Team Efficacy Test→②problem presented:problem questions→③problem identification:Problem understanding and analysis, action planning, and seeking solutions → ④ data coll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 data integration and configuration, solutions → ⑤ problem deriving solutions and reaffirms solutions: End-derived solutions, announced the scenario creation and feedback and review → ⑥ problem solving and presentation: presentation → ⑦ Organize and evaluate learning result: Evaluation and presentation was composed of self-analysis.
      Results tried to apply this model to the real class first class, was an ability to communicat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class. Second, through a coordinated team effort of different opinions, and it was an ability to cooperate and resolve conflicts. Third, it could improve the literacy of resources,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to leverage a variety of technologies, and the experience of other techniques utilizing technology team to deliver convincing yourself you configure planning information. Fourth, starting from the problem and create new ideas, planning, configuration, and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delivering coherent.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the study sought to evalu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a survey of colleges and utilizing the PBL proposal in writing a letter to find a training plan to try to apply actual classes, case studies and lessons learners. Specifi...

      This research is the study sought to evalu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a survey of colleges and utilizing the PBL proposal in writing a letter to find a training plan to try to apply actual classes, case studies and lessons learners. Specific teaching model is' ①incentives: Team Efficacy Test→②problem presented:problem questions→③problem identification:Problem understanding and analysis, action planning, and seeking solutions → ④ data coll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 data integration and configuration, solutions → ⑤ problem deriving solutions and reaffirms solutions: End-derived solutions, announced the scenario creation and feedback and review → ⑥ problem solving and presentation: presentation → ⑦ Organize and evaluate learning result: Evaluation and presentation was composed of self-analysis.
      Results tried to apply this model to the real class first class, was an ability to communicat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class. Second, through a coordinated team effort of different opinions, and it was an ability to cooperate and resolve conflicts. Third, it could improve the literacy of resources,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to leverage a variety of technologies, and the experience of other techniques utilizing technology team to deliver convincing yourself you configure planning information. Fourth, starting from the problem and create new ideas, planning, configuration, and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delivering coher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11-, 1997

      2 김영아, "문학 기반 융복합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5

      3 신희선,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37-169, 2011

      4 성숙자, "문제중심학습(FBL; Problem-Based Learning)을 이용한 논증적 글쓰기 지도" 한국어문학회 79 : 133-166, 2003

      5 권은미, "대학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과 팀 성과 간 상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7-42, 2014

      7 Carol Laurizen,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학이당 2007

      8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2005

      9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7

      10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22, 2009

      1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11-, 1997

      2 김영아, "문학 기반 융복합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5

      3 신희선,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37-169, 2011

      4 성숙자, "문제중심학습(FBL; Problem-Based Learning)을 이용한 논증적 글쓰기 지도" 한국어문학회 79 : 133-166, 2003

      5 권은미, "대학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과 팀 성과 간 상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7-42, 2014

      7 Carol Laurizen,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학이당 2007

      8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2005

      9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7

      10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22, 2009

      11 Bandura, A,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477-, 1997

      12 우경애, "SNS를 활용한 PBL 수업의 학습효과 연구" 동국대 2015

      13 손혜숙, "PBL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227-249, 2016

      14 박선옥,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의 실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0) : 33-64, 2016

      15 최상민,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 연구 ―집단인지와 개별인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대학작문학회 (9) : 11-33, 2014

      16 남진숙,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모델과 그 의의-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83-110, 2013

      17 최정임,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0

      18 김현우,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9 "2016학년 1학기 한남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의 자료"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K-CESA 성과 및 활용 방안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의 활성화 논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