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11-, 1997
2 김영아, "문학 기반 융복합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5
3 신희선,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37-169, 2011
4 성숙자, "문제중심학습(FBL; Problem-Based Learning)을 이용한 논증적 글쓰기 지도" 한국어문학회 79 : 133-166, 2003
5 권은미, "대학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과 팀 성과 간 상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7-42, 2014
7 Carol Laurizen,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학이당 2007
8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2005
9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7
10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22, 2009
1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11-, 1997
2 김영아, "문학 기반 융복합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5
3 신희선,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37-169, 2011
4 성숙자, "문제중심학습(FBL; Problem-Based Learning)을 이용한 논증적 글쓰기 지도" 한국어문학회 79 : 133-166, 2003
5 권은미, "대학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과 팀 성과 간 상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7-42, 2014
7 Carol Laurizen,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학이당 2007
8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2005
9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7
10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22, 2009
11 Bandura, A,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477-, 1997
12 우경애, "SNS를 활용한 PBL 수업의 학습효과 연구" 동국대 2015
13 손혜숙, "PBL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227-249, 2016
14 박선옥,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의 실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0) : 33-64, 2016
15 최상민,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 연구 ―집단인지와 개별인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대학작문학회 (9) : 11-33, 2014
16 남진숙,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모델과 그 의의-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83-110, 2013
17 최정임,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0
18 김현우,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9 "2016학년 1학기 한남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의 자료"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K-CESA 성과 및 활용 방안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의 활성화 논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