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용린(1997) 의 정서 지능 이론과 GROW 코칭 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98358
2025
Korean
청소년 ; 감정코칭 ; 프로그램 개발 ; adolescents ; emotion coaching ; program development
KCI등재
학술저널
121-13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용린(1997) 의 정서 지능 이론과 GROW 코칭 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용린(1997) 의 정서 지능 이론과 GROW 코칭 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정서 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 활용의 다섯 가지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총 5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중⋅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예비 적용되었다. 활동지, 감정 일기, 체크리스트, 소감문 등의 자료를 통해 청소년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감정을 보다 명확히 인식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공감적대화와 감정 조절 전략에 대한 실천 의지도 향상되었다. 특히 GROW 모델 기반의 자기 탐색 활동은 감정에 대한 주체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본 연구는 청소년의 통합적 정서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향후 프로그램의 효과성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motion coaching program to enhance adolesc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Based on Moon Yong-rin’s (1997) the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Whitmore's (2009) GROW coaching model, th...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motion coaching program to enhance adolesc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Based on Moon Yong-rin’s (1997) the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Whitmore's (2009) GROW coaching model, the program was structured into five sessions focusing on the five key component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utilizat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preliminarily applied to 2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ctivity sheets, emotional diaries, checklists, and reflection notes to analyze the participants’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became more accurate in recognizing their emotions and more willing to express them honestly. They also demonstrated an increased willingness to engage in empathetic communication and to appl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rticular, the GROW model-based self-exploration activities helped foster a more proactive and self-directed approach to emotions.
This study lays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ive emotion coaching program to strengthen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i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mpirically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STEAM 영유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일반 영유아교사와의 비교
어린이집 2세 반 재원아의 기질이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맞벌이 부모의 부모역할신념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어머니와 아버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우울과 집행기능 곤란의 관계: 부모 및 또래 애착의 조절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