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집 2세 반 재원아의 기질이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emperament in Two-Year-Old Class Members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of Childcare Centers,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98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세 반 재원아의 기질이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한 7개의 어린이집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16부를 연구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4.2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기질 하위요인 중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 교실에서의 놀이성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기질 하위요인 중 외향성은교실에서의 놀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기질 하위요인 중 의도적 통제는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세 반 재원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이교실에서의 놀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놀이성 증진을위해 기질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교수⋅상호작용 전략과 함께 교사와의 안정적인 관계 형성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세 반 재원아의 기질이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한 7개의 어린이집에서 설문조사를 실...

      본 연구는 2세 반 재원아의 기질이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한 7개의 어린이집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16부를 연구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4.2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기질 하위요인 중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 교실에서의 놀이성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기질 하위요인 중 외향성은교실에서의 놀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기질 하위요인 중 의도적 통제는 교실에서의 놀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교실에서의 놀이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세 반 재원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 안정성이교실에서의 놀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놀이성 증진을위해 기질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교수⋅상호작용 전략과 함께 교사와의 안정적인 관계 형성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emperament in two-year-old class members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in seven selected childcare centers, and a total of 116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4.2.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specifically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and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Second, extravers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bu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hird, effortful control had both a direct effect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and an indirect effect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mperament and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on the development of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among two-year-old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teaching and interaction strategies that consider temperament while emphasizing the formation of secur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o enhance children’s playfuln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emperament in two-year-old class members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in seven selected childcare centers, and a t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emperament in two-year-old class members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in seven selected childcare centers, and a total of 116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4.2.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specifically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and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Second, extravers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bu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hird, effortful control had both a direct effect on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and an indirect effect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mperament and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teacher on the development of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among two-year-old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teaching and interaction strategies that consider temperament while emphasizing the formation of secur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o enhance children’s playfulne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