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협력 경험과 지원요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4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협력 경험과 이에 대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협력 경험과 이에 대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치원에서 완전통합학급을 3년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일반유아교사 및 유아특수교사 각각 2명, 총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면담자료를 전사하였다. 이를 유목화한 자료를 통해 협력의 경험에서는 2개의 상위범주, 5개의 하위범주, 30개의 주요 내용과 지원요구에 대해서는 1개의 상위범주, 2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주요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는 완전통합학급을 함께 운영하며 처음에는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낯설고 불안한 정서를 경험하였으나 양측 교사가 함께 협력을 하는 과정을 통해 점점 하나가 되어가는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또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는 협력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고 보다 효과적인 완전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더 많은 서로의 노력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협력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협력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and necessary supports by analyzing in-depth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the implementati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and necessary supports by analyzing in-depth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at public kindergartens. Metho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 tw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wo general education teachers – were conducted. They had all experienced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at public kindergartens for three years or more. Through the transcribed and nomadic data of the interview data, 2 upper categories, 5 lower categories, and 30 main contents abou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and 1 upper categories, 2 lower categories, and 15 main contents about the necessary supports were derived. Resul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ed a full inclusive classroom together, and at first they experienced an unfamiliar and uneasy emotions about full inclusive education, but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y gradually became ‘one’.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they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tried to solve them through various ways, and recognized that teachers" efforts and appropriate supports were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Conclusion: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prepare the direction and supports for future full inclusive classroom of public kindergartens by looking a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at public kindergarte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숙, "특수학급 운영과 통합교육"

      2 이소현,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현황 및 지원 요구: 통합유치원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36, 2019

      3 김정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관계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4 권현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41-468, 2010

      5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03-128, 2010

      6 안형숙,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내러티브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5 (35): 43-65, 2019

      7 류영지,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29-250, 2016

      8 강유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실태 및 개선방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진달님, "초등학교 완전통합학급의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10 박지은, "중등학교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 강경숙, "특수학급 운영과 통합교육"

      2 이소현,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현황 및 지원 요구: 통합유치원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36, 2019

      3 김정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관계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4 권현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41-468, 2010

      5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03-128, 2010

      6 안형숙,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내러티브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5 (35): 43-65, 2019

      7 류영지,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29-250, 2016

      8 강유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실태 및 개선방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진달님, "초등학교 완전통합학급의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10 박지은, "중등학교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1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

      12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4개년 계획(’13~’17)"

      13 유수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의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22 (22): 111-133, 2002

      14 김경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91-319, 2006

      15 오유정, "일반학교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 실태조사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6

      16 최미진,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협력교수에 대한 경험과 의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51-69, 2017

      17 양진희,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관한 의미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9-175, 2005

      18 김미령, "유치원 통합학급 역할 수행에 대한 일반학급 담임교사의 인식" 24 : 67-89, 2011

      19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유엔아동권리협약"

      20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고사항 : 한국이 지켜야 할 어린이를 위한 약속"

      21 박은정,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 인식과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32 (32): 1-28, 2017

      22 문연심,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체제의 협력적 운영" 한국보육학회 17 (17): 163-185, 2017

      23 백경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93-214, 2005

      24 윤영신,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 간 협력교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323-343, 2015

      25 김현정, "유아교사 요구에 기초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프로그램이교사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67-193, 2007

      26 박진영,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실태 및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27 이윤수, "완전통합교육의 실현 근거와 과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조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8 김정민, "성공적인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23 (23): 143-160, 2018

      29 양진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71-201, 2008

      30 홍정숙, "미국 통합교육의 역사-메인스트림과 일반교육주도 의 역사적 전개와 사회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89-212, 2006

      31 김철,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본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논쟁" 한독교육학회 22 (22): 37-54, 2017

      32 Bogdan, R. C., "교육 연구의 새 접근: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1

      33 박미지, "교수적 수정을 위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실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34 전은영,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실태 및 지원요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573-597, 2015

      35 Denzin, N. K., "The research act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McGraw-Hill 1978

      36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Teachers College Press 2006

      37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38 이병인, "2004년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IDEA) 개정안 주요 내용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21-4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