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 -김천택본 ≪청구영언≫ 음식소재 작품을 대상으로- = Seaching for Food Culture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For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Kim Cheontae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5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ecure our unique food culture contents, it is necessary to study food culture contents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poetry is a literary style appealing to the emotional attraction of human beings, so it seeks universal human e...

      In order to secure our unique food culture contents, it is necessary to study food culture contents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poetry is a literary style appealing to the emotional attraction of human beings, so it seeks universal human emo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nobles did not enjoy the poem with literary text, but sang it with songs. The Sijo were both literature and singing.
      The perception that classical poetry is simply the product of intellectuals and some writers is wrong. Classical poetry is a song of life and reveals the value of their life through it. “Sijo” was the abbreviation of “Sijeolgajo” which was the most popular song of the time. Many of today's songs are also based on life, and from this common point of view, classical poetry is no different from our modern sentiment.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food culture in the classical poetry yet,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ood culture contents in search of sources related to food culture. There is something in literature that is not recorded in history. This is the value of literature and we have conducted basic research to develop it as content.
      This research was the first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food culture contents, and it found out the works of food and material among the works appearing in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Among them, there are many works related to food and materials such as mandarin fish, Red Bean Porridge, Kimchi, crab preserved in soy sauce, soy sauce, And presented the first work to utilize it as food culture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가 필요하다. 고전시가는 인간의 정서적 감흥에 호소하는 문학양식이기에 인간의 보편적 ...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가 필요하다. 고전시가는 인간의 정서적 감흥에 호소하는 문학양식이기에 인간의 보편적 정서를 지향한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문학텍스트로 시조를 향유한 것이 아니라 노래로 시조를 불렀다. 시조는 문학이면서 동시에 노래였다.
      고전시가가 단순히 지식인이나 일부 문학인들의 소산이라는 인식은 잘못된 것이다. 시가는 생활의 노래이며, 그 노래를 통해 그들 삶의 가치를 드러낸다. ‘시조’는 ‘시절가조’의 줄임말로 그 당시의 가장 인기가 있는 노래였다. 현재의 수많은 노래 역시 삶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편적인 관점에서 고전시가를 바라보면 현대인의 정서와 별반 다르지 않다.
      고전시가에서 음식문화와 관련하여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는 아직 없기에 이 연구는 고전시가에서 음식문화와 관련된 소스를 찾아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진행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문학에는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는 무엇인가가 있다. 이것이 문학의 가치이며 이를 콘텐츠로 개발하게 밑거름이 되는 기초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첫 번째 연구로 김천택본 ≪청구영언≫에 등장하는 작품 중 음식 소재 작품을 찾아내고 그 중 쏘가리, 팥죽, 절이김치, 게젓, 청장 등을 동시기의 조리서 및 기타 음식관련 여러 기록들을 제시해 음식문화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1차 작업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쥬식방문"

      2 "조선요리제법"

      3 박채린, "조선시대 한시(漢詩)에 나타난 전통음식문화 연구 -김려의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 중 김치 소재 열매채소 시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42) : 5-45, 2018

      4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5 "점필재집"

      6 "자손보전"

      7 "부인신보"

      8 임재욱,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 한국고전문학회 (39) : 67-102, 2011

      9 백순철,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한국시가문화학회 (34) : 217-250, 2014

      10 "목은선생문집"

      1 "쥬식방문"

      2 "조선요리제법"

      3 박채린, "조선시대 한시(漢詩)에 나타난 전통음식문화 연구 -김려의 <만선와잉고(萬蟬窩賸藁)> 중 김치 소재 열매채소 시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42) : 5-45, 2018

      4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5 "점필재집"

      6 "자손보전"

      7 "부인신보"

      8 임재욱,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 한국고전문학회 (39) : 67-102, 2011

      9 백순철,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한국시가문화학회 (34) : 217-250, 2014

      10 "목은선생문집"

      11 "동국세시기"

      12 "다산시문집"

      13 권순회, "김천택편 ≪청구영언≫ 주해편" 국립한글박물관 2017

      14 "규합총서"

      15 조성진, "고전시가에 나타난 음식 이념의 양상과 그 의미 - 시조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연구학회 (32) : 221-254, 2015

      16 "경도잡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4 0.507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