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未可與權”說에 나타난 孔子 經權觀의 미학적 구조 분석 = The Changeable above the Unchangeable: An Aesthetic Analysis of Analects 9.3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Confucius raised the concept of quan 權, there have been two branches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content, there was a branch involving the moral or 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practicing quan, and there was also a distinction in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between the Han 漢 and Song 宋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Confucius did not unconditionally maintain the absolute nature of the moral code because, in context, the logic of political philosophy overwhelmed the logic of moral philosophy. Confucian scholars of the Han Dynasty used fan jing 反經 (the violation of principles) to explain quan in this context. On the other hand, Cheng Yi 程頤 asserted that, aside from outcomes, if moral principles are violat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quan, then quan is fundamentally unjust. Thus, said Cheng Yi, quan is rendered machinations only. Zhu Xi 朱熹, understood quan as a higher concept than jing. “Gong xue 共學 (studying together)”, “shi dao 適道 (going on to principles)”, “yu li 與立 (getting established together)”, and “yu quan 與權 (practicing quan together)”—points in the topic sentence of Analects 9.30—are each an independent step, and they have a gradual upward structure rather than a parallel structure. This structure is analogous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four-class system of art in East Asian aesthetics. In this gradual upward structure, xue 學 is the start, shi dao 適道 is the process of completion, li 立 is the state of completion or establishment, and finally, quan 權 is the ultimate state of yi-ge 逸格 after completion. In this framework, quan deviates from the instruction manual of jing, and, in doing so, realizes the meaning and value of jing on a more transcendent level.
      번역하기

      Since Confucius raised the concept of quan 權, there have been two branches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content, there was a branch involving the moral or 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practicing quan, and there was also a distinction ...

      Since Confucius raised the concept of quan 權, there have been two branches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content, there was a branch involving the moral or 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practicing quan, and there was also a distinction in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between the Han 漢 and Song 宋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Confucius did not unconditionally maintain the absolute nature of the moral code because, in context, the logic of political philosophy overwhelmed the logic of moral philosophy. Confucian scholars of the Han Dynasty used fan jing 反經 (the violation of principles) to explain quan in this context. On the other hand, Cheng Yi 程頤 asserted that, aside from outcomes, if moral principles are violat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quan, then quan is fundamentally unjust. Thus, said Cheng Yi, quan is rendered machinations only. Zhu Xi 朱熹, understood quan as a higher concept than jing. “Gong xue 共學 (studying together)”, “shi dao 適道 (going on to principles)”, “yu li 與立 (getting established together)”, and “yu quan 與權 (practicing quan together)”—points in the topic sentence of Analects 9.30—are each an independent step, and they have a gradual upward structure rather than a parallel structure. This structure is analogous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four-class system of art in East Asian aesthetics. In this gradual upward structure, xue 學 is the start, shi dao 適道 is the process of completion, li 立 is the state of completion or establishment, and finally, quan 權 is the ultimate state of yi-ge 逸格 after completion. In this framework, quan deviates from the instruction manual of jing, and, in doing so, realizes the meaning and value of jing on a more transcendent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자가 『論語⋅子罕』에서 “未可與權”을 말한 것은 儒學史上 최초의 經權觀에 관한 거론이다. 『論語』에서 權의 개념이 제기된 이래 行權의 의미에 대한 해석에 두 가지 방향의 분기가 나타났다. 내용상으로는 行權의 문제를 도덕철학의 범주로 이해할 것이냐 아니면 정치철학의 방향으로 이해할 것이냐의 분기가 있었고, 시대상으로는 漢儒와 宋儒의 구분이 있었다. 당시의 상황에선 정치철학의 논리가 도덕철학의 논리를 압도했기 때문에 공자는 도덕규범의 절대성을 무조건 견지하지는 않았다. 漢儒는 이러한 맥락을 고려하여 “反經”으로써 權을 말하였다. 반면 程頤는 결말 혹은 결과를 차치하고, 일단 行權의 과정 중에 윤리강상을 위배한 이상 그것은 원인론적 不義이기 때문에 그 權은 그저 權術일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朱熹는 權을 經보다 더 상위의 개념으로 이해했다. “共學”⋅“適道”⋅“與立”⋅“與權”은 점층상향식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동아시아미학의 四品格 체계와 매우 유사하다. 이 三句四言의 상향식 구조에서, ‘學’은 출발이고, “可與適道”까지는 완성해 가는 과정이며, ‘立’은 완성 혹은 정립의 상태를 말하고, 마지막으로 ‘權’은 완성 후의 逸格의 경지를 말한다. 이때 權은 經이라는 매뉴얼로부터 벗어나 더 궁극적인 차원에서 經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함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공자가 『論語⋅子罕』에서 “未可與權”을 말한 것은 儒學史上 최초의 經權觀에 관한 거론이다. 『論語』에서 權의 개념이 제기된 이래 行權의 의미에 대한 해석에 두 가지 방향의 분기가...

      공자가 『論語⋅子罕』에서 “未可與權”을 말한 것은 儒學史上 최초의 經權觀에 관한 거론이다. 『論語』에서 權의 개념이 제기된 이래 行權의 의미에 대한 해석에 두 가지 방향의 분기가 나타났다. 내용상으로는 行權의 문제를 도덕철학의 범주로 이해할 것이냐 아니면 정치철학의 방향으로 이해할 것이냐의 분기가 있었고, 시대상으로는 漢儒와 宋儒의 구분이 있었다. 당시의 상황에선 정치철학의 논리가 도덕철학의 논리를 압도했기 때문에 공자는 도덕규범의 절대성을 무조건 견지하지는 않았다. 漢儒는 이러한 맥락을 고려하여 “反經”으로써 權을 말하였다. 반면 程頤는 결말 혹은 결과를 차치하고, 일단 行權의 과정 중에 윤리강상을 위배한 이상 그것은 원인론적 不義이기 때문에 그 權은 그저 權術일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朱熹는 權을 經보다 더 상위의 개념으로 이해했다. “共學”⋅“適道”⋅“與立”⋅“與權”은 점층상향식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동아시아미학의 四品格 체계와 매우 유사하다. 이 三句四言의 상향식 구조에서, ‘學’은 출발이고, “可與適道”까지는 완성해 가는 과정이며, ‘立’은 완성 혹은 정립의 상태를 말하고, 마지막으로 ‘權’은 완성 후의 逸格의 경지를 말한다. 이때 權은 經이라는 매뉴얼로부터 벗어나 더 궁극적인 차원에서 經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함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朱熹, "論語集註"

      2 何晏, "論語集解"

      3 荻生徂徠, "論語徵1" 소명출판 2010

      4 丁若鏞, "論語古今註"

      5 李澤厚, "論語今讀" 生活ㆍ讀書ㆍ新知三聯書店 2005

      6 "論語"

      7 임태승, "아이콘과 코드" 미술문화 2006

      8 임태승, "아름다움보다 더 아름다운 추함" B2 2017

      9 임태승, "逸: 禪宗의 미학적 유산" 한국유교학회 (61) : 249-270, 2015

      10 皇侃, "論語義疏"

      1 朱熹, "論語集註"

      2 何晏, "論語集解"

      3 荻生徂徠, "論語徵1" 소명출판 2010

      4 丁若鏞, "論語古今註"

      5 李澤厚, "論語今讀" 生活ㆍ讀書ㆍ新知三聯書店 2005

      6 "論語"

      7 임태승, "아이콘과 코드" 미술문화 2006

      8 임태승, "아름다움보다 더 아름다운 추함" B2 2017

      9 임태승, "逸: 禪宗의 미학적 유산" 한국유교학회 (61) : 249-270, 2015

      10 皇侃, "論語義疏"

      11 劉寶楠, "論語正義"

      12 王劍, "論先秦儒家解決道德兩難問題的經權智慧 - 中西比較的視域" (3) : 111-117, 2013

      13 "說文解字"

      14 嶽天雷, "經權思想的邏輯進路 - 以漢儒、宋儒和明儒爲中心的考察" 29 (29): 53-59, 2013

      15 "漢書"

      16 劉增光, "漢宋經權觀比較析論 - 兼談朱陳之辯" (3) : 84-94, 2011

      17 朱熹, "朱子語類"

      18 董仲舒, "春秋繁露"

      19 吳震, "從儒家經權觀的演變看孔子“未可與權”說的意義" 48 : 23-33, 2016

      20 田豐, "從“春秋決獄”到“四書升格” - 從“反經合道”爲“權”透視漢宋學分野" 39 (39): 85-89, 2012

      21 "廣雅"

      22 "左傳"

      23 云告, "宋人畵評" 湖南美術出版社 2004

      24 "孟子"

      25 韓伯, "周易注疏"

      26 王鳳陽, "古辭辨" 吉林文史出版社 1993

      27 "公羊傳"

      28 임태승, "儒家의 審美機制: 참여의지와 초월의지의 共有" 한국철학회 72 : 57-76, 2002

      29 葛榮晉, "中國古代經權說的曆史演變" (2) : 23-29, 1987

      30 張錫勤, "中國傳統道德舉要" 黑龍江大學出版社 2009

      31 張晶, "“逸”與“墨戱”: 中國繪畵美學中的主體價値升位" (3) : 101-110, 2002

      32 吳建萍, "“經權”之辯的邏輯發展" 23 (23): 77-79, 2004

      33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19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철학연구(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 동양철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39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