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조선어문》의 창간호로부터 2018년 제6호까지 실린 의미론과 어휘론 관련한 론문은 모두 89편이다. 의미론연구에서는 의미마당, 의미소와 관련한 론문; 단어의미 및 의미변화와 관련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29858
2019
Korean
학술저널
6-21(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조선어문》의 창간호로부터 2018년 제6호까지 실린 의미론과 어휘론 관련한 론문은 모두 89편이다. 의미론연구에서는 의미마당, 의미소와 관련한 론문; 단어의미 및 의미변화와 관련된...
《중국조선어문》의 창간호로부터 2018년 제6호까지 실린 의미론과 어휘론 관련한 론문은 모두 89편이다. 의미론연구에서는 의미마당, 의미소와 관련한 론문; 단어의미 및 의미변화와 관련된 론문; 의미의 문체론적 고찰; 개별적 단어들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 등 35편의 론문이 있다. 어휘론과 관련한 론문에서는 고유어연구와 관련한 론문; 한자어연구와 관련한 론문; 외래어, 혼종어, 신어와 뉴스표제어, 인터넷닉네임, 조리동사 낱말밭, 민요어휘와 관련한 론문; 동의어, 반의어와 관련된 론문; 성구, 속담, 은어, 속어, 수수께끼와 관련한 론문; 준말과 관련된 론문; 어휘비교와 관련한 론문; 전문용어 및 인명지명과 관련한 론문; 어휘사용과 관련한 론문 등 54편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조한 대조언어학의 현황과 과제 - 《중국조선어문》(1990년-2018년)에 게재된 론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