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혁신학교의 수업공개연구와 학생들의 학습 경험 탐색 = Open-class in innovative school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69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article examine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student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open-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pen-class' in two schools modelled learning-community which emphasizes on involvement and ...

      The current article examine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student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open-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pen-class' in two schools modelled learning-community which emphasizes on involvement and cooperation, and students also recognized them. Second, members in school joined open-less study without full-participation and full-cooper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the purposes and meanings of open-class research, and couldn't voice their opinions enough. Third, There was attribution of interaction, which means students was controlling their behavior with considering others' expectation. Teachers thought they have to join open-class study as a norm. Students were managing their own image and internalizing how desirable learner should be through open-class. Fourth, new matter of alienation occurred in ‘lesson without alienation’. Although teachers paid more attention to students who got alienated in lesson, there was limitation. Som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enduring 'isolation in group' and still remained alienated in lesson.
      This research has two meaning in educational study and practice. First, lesson study in two schools can be characterized wish 'collective action research' focusing on 'reflection'. It has contribution to overcome the gap between daily-lesson and open-class. Second, we need to see lesson as 'process' and focus on students' involvement and cooper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ird, comparing to alienation from social-economic status and under-achievement thos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lationship' have been less paid attention. From now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should be process of lesson study paying more attention to students' voice and learning alienation with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두 혁신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의 특징과 수업공개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학교에서 ‘공개되는 수업’은 배움의 공동체를 모델로 하는 ...

      이 연구는 두 혁신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의 특징과 수업공개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학교에서 ‘공개되는 수업’은 배움의 공동체를 모델로 하는 참여와 협력의 학습 구조였으며 학생들에게 ‘인식되는 수업’ 역시 이와 유사했다. 둘째, 수업공개연구는 구성원의 불완전한 참여와 협력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수업공개연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으며 공개한 수업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셋째, 타인의 기대를 고려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상호작용적 특성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수업공개연구에서 ‘함께하는 나’로서 공동의 규범에 따르고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공개에서 ‘보여지는 나’로서 ‘이미지 관리’를 관리하며 바람직한 학습자의 모습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넷째, ‘소외 없는 수업’ 속에서 새로운 소외의 문제가 드러났다. 교사들은 학습에서 소외되는 학생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돌봄의 태도를 보였지만 한계가 있었다. 타인과 ‘관계’ 맺기에 어려운 소수의 학생들은 ‘모둠 속의 외로움’을 견디면서 지속적인 ‘수업 소외’ 상태에 놓여있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천적 의미가 있다. 첫째, 두 학교의 수업연구는 교사의 성찰을 중요시하는 ‘집단적 실행 연구’의 성격을 보였다. 이는 공개되는 수업과 일상의 수업의 단절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생의 참여와 협력에 주목하는 ‘과정적 시선’이 필요하다. 셋째, 그동안 사회 경제적 배경과 학습부진과 같은 소외 문제에 비해 ‘관계 맺기’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향후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생들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학습 소외의 문제를 더욱 깊이 연구하면서 학생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연구과정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제남, "혁신학교 수업연구회를 통한 교사 수업전문성 사례 연구-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하는 수업연구회 탐색 -"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75-204, 2017

      2 박종철, "혁신학교 교사의 민주적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17-241, 2016

      4 이혁규, "한국의 수업 혁신, 현황과 전망"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8

      5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연구소 25 (25): 57-82, 2019

      6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교총 50년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1997

      7 조영달, "한국교실수업의 이해" 집문당 1999

      8 김영천, "한국 다문화아동 가르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4

      9 이형빈,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5-51, 2014

      10 김도기, "학교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1 홍제남, "혁신학교 수업연구회를 통한 교사 수업전문성 사례 연구-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하는 수업연구회 탐색 -"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75-204, 2017

      2 박종철, "혁신학교 교사의 민주적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17-241, 2016

      4 이혁규, "한국의 수업 혁신, 현황과 전망"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8

      5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연구소 25 (25): 57-82, 2019

      6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교총 50년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1997

      7 조영달, "한국교실수업의 이해" 집문당 1999

      8 김영천, "한국 다문화아동 가르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4

      9 이형빈,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5-51, 2014

      10 김도기, "학교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11 주철안, "학교공동체만들기" 에듀케어 2004

      12 진동섭, "학교 컨설팅 :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방법" 학지사 2003

      13 이승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85-113, 2016

      14 곽덕주,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학지사 [전국] 2011

      15 김병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8, 2003

      16 이혜영, "중등학교 교사들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2001

      17 박소영, "중등학교 교사 문화 비교 분석: 2001년과 2011년 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01-222, 2011

      18 하연섭, "제도분석 : 이론과 쟁점" 다산출판사 2013

      19 나은영, "정신 자아 사회" 한길사 2010

      20 김미숙, "일반 고등학교 내 대안교실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31-58, 2016

      21 사토마나부,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살림터 2010

      22 사토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2003

      23 의정부여자중학교, "수업을 비우다 배움을 채우다" 에듀니티 2015

      24 성열관, "수업시간에 자는 아이들의 마음과 깨우는 교사의 심정: 수업의 사회학적질서 탐구" 89-92, 2019

      25 김효수, "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81-107, 2017

      26 성열관, "수업 시간에 자는 아이들 : 교실사회학 관점" 학이시습 2018

      27 사토마나부, "사토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에듀니티 2016

      28 포남초등학교, "배움의 공동체를 만들다 학교를 바꾸다" 에듀니티 2016

      29 손우정, "배움의 공동체" 해냄 2012

      30 사토마나부,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북코리아 2003

      31 유경훈,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351-380, 2012

      32 진동섭,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7

      33 노종희, "교육개혁을 위한 학교공동체 구축" 14 (14): 64-79, 1996

      34 Hatch, J. A,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16

      35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학지사 2015

      36 고연주,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29-457, 2017

      37 정진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8 김이경, "교사의 학습공동체가 수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4 (14): 87-107, 2019

      39 이수민, "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실천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184-216, 2019

      40 사토마나부, "교사의 배움" 에듀니티 2014

      41 김민조, "교사들의‘반(半) 자발성’에서 출발한학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23-248, 2016

      42 박현숙, "교사는 수업으로 성장한다" 맘에 드림 2012

      43 김미숙, "‘학습부진아’의 배움"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31-61, 2014

      44 이재덕,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 세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97-324, 2013

      45 DiMaggio, P. J, "The iron cage revisited :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48 (48): 147-160, 1983

      46 Meyer, J. W,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83 : 340-363, 1977

      47 Hargreaves, A, "Inclusive and exclusive educational change : emotional responses of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leadership" 24 (24): 287-310, 2004

      48 Rowan, B, "In The New Institutionalism in Education" SUNY Press 2006

      49 Coburn, C. E, "Beyond decoupling :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he classroom" 77 (77): 21-44,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