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검사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Screening test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for the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Sta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969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the screening test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hich will be used at 'the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for every three years since 2011, following by S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the screening test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hich will be used at 'the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for every three years since 2011, following by Special Education Ac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For this study, 10 co-researchers who are specialist of each disabilities in the law, analyzed operational definition and diagnostic and screening test materials used at prior researches, documents. And based on those analyzed results, th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questionnaire on each disabilities for the screening test were developed.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Definition on 10 Disabilities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definition is based on 10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law, and is to become to judge eligibility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For this study, before developed a draft, We analyzed definitions according to law in each nations and in documents used at prior researches, books, and articles, etc. The draft came under reviews by outside experts and academic societies. The draft accepted of the terms offered from reviewers, and modified more accurate for the purpose.
      2. The Development of the Screening Test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he development of the screening test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as analyzed in validity and reliability aft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screening test results used at the survey of 'the Numbers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three times up to now. For this, questionnaires was developed through screening test analysis used at documents analysis, prior researches and survey. Also, external experts review, preliminary test, and actual test were implemented to rais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Their details are as follows;
      External experts review was made as specialist review, societies review, and on-site teacher review in order. Specialists reviewed focusing on appropriateness of question selection, and societies reviewed whether questions reflected the definition for each field and the validity of using terms. On-site teachers reviewed questions understanding degree, test using time, and easiness of special education non-specialists. The result of external experts review was revised by reflecting to the draft of screening test.
      Preliminary test was implemented for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questions which were revised by reflecting external reviews. Preliminary test was implemented to 385 children for special education and 740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test was made by class charging teachers,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or students' parents. But, children with blind and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small in integrated, and therefore, even special teachers of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Blind and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Deaf participated to the test.
      The data of preliminary test was analyzed as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through Cronbach's coefficient alpha,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non-disability judging degree through judging analysis, and construct validity of questions through factor analysis. As a result,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for 10 questionnaires was indicated more than .86. However, in some fields, there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questions, and therefore, they were removed or revise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judging analysis to preliminary test data, it was indicated as a tool for judging disabilities with 97 to 100% results. Also, the data showed strong condensation to the factors which were divided at first except the questionnaire for mental retardation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t the kindergarten children.
      While the results of preliminary test were revised by reflecting to test questions. In particular, in test used at this study, we made best efforts to secure more higher contents validity based on the fact that judging degree of screening test used at the '2008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Status' research was more than 70%.
      This test was implemented to obtain reliability and validity to questions revised by reflecting preliminary test results. 1,816 children for special education participated to this test, and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tincluding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 who are supporting children implemented the test. Also, for securing public validity, it was implemented only limited to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disturbance, autism, learning disability, and developmental delays screening test which similar types of test with same age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test, the data was analyzed in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through Cronbach's coefficient alpha, reliability among testers throu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response among testers, additional test for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disturbance, autism,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elays, and public validity among screening tests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test, 16 kinds quesfionnaire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ere indicat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by distributing between .54 to .98(p <.05) For reliability between testers, it was indicated statistically high significant difference up to .51 to 1.0(p<.05) Therefore, in test results between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which were most attentioned from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it is indicated that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test can be said that even non-specialist for special education uses this, the reliability can be assured.
      While, for mental retard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public validity in this test,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test result of KISE-SAB was indicated as .80, .80, .82, .51 for young childr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each. For eemotional and behavioral disturbance, correlation with screening test of KISE-emotional and behavioral disturbance students was indicated as .38(p=.05) for 2n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as .46(p<.05) for 5th grade, a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very high bu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idity.
      For autism,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CA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indicated as .50, .71, .68, and .80 for each. For learning disabilities, that with learning disability screening Scales(LDSS) was indicated as .69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s .91 for 3rd to 6th grade. For developmental delays,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K-CDR was indicated as .86(p<.01), a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se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idity.
      When searching through above study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creening test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is easy to screen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special education status research by non-specialist for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is a test secu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sufficie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1년 이후 3년마다 실시될 특수교육 실태조사에서 사용할 특수교육대상자의 조작적 정의와 선별 검사를 개발하그l자 수행되었다. 본 검사를 위하여 10개 장애 영역의 전문가들로 ...

      이 연구는 2011년 이후 3년마다 실시될 특수교육 실태조사에서 사용할 특수교육대상자의 조작적 정의와 선별 검사를 개발하그l자 수행되었다. 본 검사를 위하여 10개 장애 영역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공동연구지들은 국내외 문헌과 선행조사에서 사용되었던 조작적 정의와 선별검시들을 분석하고, 관련한 현장의 요구와 외국의 사례들을 조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조작적 정의와 선별검사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조작적 정의의 개발
      장애 영역별 조작적 정의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나타난 10가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을 근간으로 하되 특수교육대상자의 적격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한 정의를 개발한 후 전문가 검토, 학회 검토 등을 실시한 후 제안된 수정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나. 선별검사의 개발
      특수교육대상자 선별검사는 지금까지 3회에 걸쳐 실시된 ‘특수교육요구아동’ 조사에서 사용하였던 선별검사의 내용을 보완 수정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0가지 장애 영역 전문가 및 해외 특수교육전문가로 구성된 공동연구자 협의회에서는 운헌분석, 선행 조사에서 시용한 선별검사 분석 등을 통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문항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외부 겸토, 예비 검사, 본검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검토는 전문가 검토와 학회 검토, 현장교사 검토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전문가 검토는 문항 선정의 적절성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학회 검토는 각 장애 영역별 정의를 정확하게 반영한 문항 여부와 사용 용어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였다. 현장 교사 검토는 특수교육비전문가의 문항 이해 정도와 검사 소요 시간, 기타 검사의 용이성 등에 대한 검토를 설시하였다. 외부 검토 결과는 선별검사 초안에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예비 검사는 외부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한 검사문항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예비 검사는 특수교육대상아동 385명과 비장애 아동 7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아동이 통합된 학급의 담임교사 또는 교과담임교사, 학부모가 실시하였다. 단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아동은 통합된 인원수가 적어 서울맹학교와 서울농학교의 특수교사들도 검사에 참여하였다.
      예비 검사의 자료는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통한 문항내적일치도, 판별분석을 통한 장애와 비장애 판별정도, 요인분석을 통한 문항의 구인타당도 등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장애 영역별 문항내적일치도는 .86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장애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문항이 있어 삭제하거나 수정하였다.
      예비 검사 자료에 대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97-100% 정도로 장애와 비장애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요인분석 결과 각각의 문항은 정해진 요인들에 강한 응집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요인으로 묶을 수 없는 문항은 삭제하거나 수정하였다. 한편 예비 검사의 결과는 검사문항에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지는 지난 2008년 실시된 특수교육 실태조사에서 사용한 선별검사의 판별 정도가 70% 이상이나 되는 것에 기반하여 보다 높은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본검사는 예비 검사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한 검사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검사는 특수교육대상아동 1,816명이 참여하였으며, 검사는 아동을 지원하고 있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학부모, 특수교육보조원 포함)가 실시하였다. 또한 공인타당도를 구하기 위하여 동일 연령의 비숫한 유형의 검사지가 개발되어 있는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발달지체 선별 검사에 한하여 실시하였다.
      본검사의 자료는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계수를 통한 문항내적일치도, 검사자간 응답의 상관계수를 통한 검사자간 신뢰도,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학습장애, 발달지체 영역의 별도 검사지와 특수교육대상자 선별검사간의 공인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본검사의 자료 처리 결과 전체 검사지 16종의 Cronbach's α 계수는 .54~.98(p<.05) 사이에 분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문항내적일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자 간 신뢰도의 경우에도 .51-1.0(p<.05)까지 높은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어 검사의 문항개발에서부터 특히 주의를 기울였던 특수교육전문가와 특수교육비전문가의 검사 결과가 신뢰할 수 있는 일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겸시는 특수교육 비전문가가 시용하는 경우라도 그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공인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정신지체의 경우 KISE-SAB의 검사결과와의 상관계수가 유·초·중·고등학생이 각각 .80, .80, .82, .51로, 정서·행통장애의 경우 KISE-정서·행동장애학생 선별척도와의 상관이 초등학교 2학년생의 경우 .38(p=.05), 5학년의 경우에는 .46(p<.05)으로 나타나 매우 높지는 않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타당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자폐성장애의 경우 유·초·중·고등학생의 CARS와의 상관계수가 각각 .50, .71, .68, .80으로, 학습장애 3~6학년용의 경우 학습장애 선별검사 3~6학년용과의 상관계수가 읽기 .51, 쓰기 .49 , 수학 .43, 구어 기억·주의 지각과 추론 .35로 나타났다. 또한 1~2학년용과의 상관계수는 읽기 .20, 쓰기 .41, 수학 .59, 구어·기억 주의·지각과 추론 .56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체의 경우 K-CDR과의 상관계수가 .86(p<.01)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타당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검사는 특수교육 실태조사에서 특수교육비전문가가 ‘특수교육대상아동’을 선별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뢰도와 타당도를 충분히 확보한 검사지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부 개관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3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내용 5
      • 제1부 개관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3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내용 5
      • 4.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 1. 조작적 정의 7
      • 2. 선별 14
      • 제2부 조작적 정의 및 선별검사 개발
      • Ⅲ. 조작적 정의의 개발
      • 1. 개발 절차 및 방법 21
      • 2. 최종안 확정 22
      • Ⅳ. 선별검사의 개발
      • 1. 검사 문항 작성 기준 26
      • 2. 초안의 개발 28
      • 3. 예비 검사 29
      • 4. 본검사 36
      • 5. 공인타당도 42
      • Ⅴ. 요약 및 제언
      • 1. 요약 46
      • 2. 제언 49
      • 참고문헌 50
      • 부록 1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검사 55
      • 부록 2 장애 영역별 조작적 정의의 초안 123
      • 부록 3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검사 문항 초안 129
      • 부록 4 장애 영역별 예비검사의 내용타당도 검토 결과 143
      • 부록 5 미국 IDEA 상의 특수교육대상자 정의 및 진단 1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