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스타일에 관한 연구 동향의 특질에 해명함에 있어서, 스타일 개념상의 이해를 그 기본에 두고, 스타일과 동향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의·식·주 분야와 스타일 연구의 상관성 규명�...
본 논문은 스타일에 관한 연구 동향의 특질에 해명함에 있어서, 스타일 개념상의 이해를 그 기본에 두고, 스타일과 동향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의·식·주 분야와 스타일 연구의 상관성 규명을 통해 스타일에 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타일에 관한 연구 동향의 분석 : 2000년~2001년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라고 제목하고 제 1장 서론, 제 2,3,4장의 본론 및 제 5장을 결론으로 구성 된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관해서 논한다. 또한, 본 논문의 시대적 대상이 되는 2000년부터 2011년까지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에 대하여, 그 기초적 이해 및 개념, 선행 연구에 관한 제설,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나누어 논술한다. 2000년 이후 스타일에 관한 논문은 사회적 위치와 문화적 정체성이 개인의 개성적인 가치 표현과 기업의 특정적인 양식(樣式)으로 연구 평가되었다. 사회적 문화 현상에서 개인적인 문화 현상이 두드러진 2004년대 이후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스타일의 연구가 한 분야에 편중되기 보다는 여러 복합적인 분야에서 다양하게 배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매년, 학술 논문 및 학위 논문에서 스타일에 연구 논문은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여 의·식·주 관련학과에서의 스타일 수업 및 연구 자료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차적 조사 분석에 관한 양적 선행논문의 연구 결과를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 향상과 관련학과 스타일에 관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제 2 장 스타일과 동향에 관한 이해>에서는 스타일의 기초가 되는 시대적 상황 및 사상적 배경을 논하고, 스타일의 사전적, 개념적 정의에 수반되는 동향에 관하여 제 1절, 제 2, 3절에서 각각 고찰하며 제 4절에서 제 2장 전체를 정리 한다.
제 1절 스타일과 동향에 관한 이해의 경우, 스타일의 정의와 개념을 스타일의 어휘망과 스타일 유사 개념용어를 동시에 파악함으로써 의·식·주 스타일의 각 분야별 정의에 대해 논하고 있다.
제 2절 동향 이해의 경우, 동향의 개념을 파악함과 동시에 동향 주기를 논하고 있다.
제 3절에서는 스타일 주기와 의·식·주 관련 분야의 동향 주기를 논하고 있다.
제 4절에서는 제 1절과 제 2,3절에서의 고찰 내용을 중심으로 의·식·주 분야의 주기와 동향을 정리하여 본장 전체를 마무리하고 있다.
<제 3 장 스타일 연구의 동향 조사 분석>은, 상술한 제 2장에 근저한 본론으로 제1절, 제2절에 있어서 연구대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의·식·주 연구대상에 있어서 연구대상의 분석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0년 1월 1일 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로 정하고 이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의·식·주 스타일 관련 주제와 전공 학과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에 의한 사례와 페티ㆍ클라크의 법칙(Petty-Clark-法則)에 의거한 산업의 구조와 연관 지어 의·식·주 스타일 관련학과 및 전공학과와 그 주제에 연관된 스타일의 사전적, 개념적 유의어가 사용된 논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 조사대상으로서 한정 한다. 스타일의 특성을 분류, 분석하기 위해 ①연도별 의·식·주 스타일, ②분야별 의·식·주 스타일, ③용어별 의·식·주 스타일로 유형을 나누어 그 고찰대상을 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제1절에서는 의·식·주 스타일 연구 대상 전제조건 여기서의 의·식·주는 헤어, 메이크업, 미용, 패션, 의상, 텍스타일, 푸드, 제품과 용품, 실내디자인과 건축, 주거를 의미한다. 주 키워드 스타일, ‘∼스타일’, 규범적 양식과 기술적 양식의 용어 검색과 패션, 의복, 텍스타일, 헤어, 푸드스타일, 제품디자인, 실내, 건축으로 생활공간 안에서 표현되는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검색하여 자료로 활용 하였다. 제2절에서는 의·식·주 스타일 연구대상 방법으로 나누어 각각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 고찰을 밟아, 본 연구의 관점으로부터 보는 의·식·주 스타일 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을 첫째로,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 분석을 둘째로 조사 분석인 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제4절에서는 본장전체를 마무리 짖고 있다.
<제 4 장 스타일 연구의 동향유형 및 파악>에서의 사례조사의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특히, 스타일 연구의 동향에 있어서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 유형 이라는 점에서 의·식·주 분야의 유형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고 사료됨으로 의·식·주 스타일의 분야 고찰 밸런스를 고려하고 있다. 나아가 ‘의(衣)’분야, ‘식(食)’분야, ‘주(住)’분야로 나누어 조사대상을 선정하고 스타일 특성 유형과 스타일 동향 파악측면에서 조사를 행하여, 그 서베이 내용을 ①의·식·주 스타일의 연도별 분석결과 시대적, 문화적, 사회적인 영향과 밀접한 관련으로 ‘복합정보요소’의 특성을 ②의·식·주 스타일의 분야별 분석결과 예술·체육 분야의 연구결과 ‘이미지요소'의 특성과 ③의·식·주 스타일의 용어별 분석 결과로, ‘~스타일’의 기술적 용어사용이 가장 많은 ‘행동표현요소’로 유형특성 등으로 나타났다. 특성별로 분류하여 시각자료를 첨부, 제1절에, 제2절에 의·식·주 스타일 연구에 있어서의 사례조사를 각각 정리한다. 그리고 같은 장 3절에서는 스타일에 관한 연구 동향파악에 있어서 유형별 분류와 분석이 의·식·주 스타일 연구 동향에 대한 사례조사연구의 추출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결과를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 5 장 결론>에서는 ①스타일과 동향에 관한 이해, ②스타일에 관한 연구 동향 조사 분석, ③스타일 연구의 동향 특성 ④스타일 연구의 동향 예측 등을 본 논문의 결론을 위의 세 가지 스타일의 특성 요소와 2000년부터 2011년까지의 의·식·주스타일과 연관된 선행논문 중 학술논문 75개와 학위논문 85개를 대입하여 분석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나타난 스타일 연구에 관한 동향은 사회, 문화, 경제와 연결되어 의(衣)·식(食)·주(住)분야별로 각각 유행과 트렌드로 나타나고, 발전되어 ‘식(食)’분야에서 종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논하며, 유형과 표현 특성을 도출하는 연구로서의 논지 집중 및 연구의 순차성에 따라 전반적 사항의 차원에서 정리하며, 과거의 동향이 어떠한지,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통하여 검증한 것에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그 연장선상의 연속적인 차후 연구에서 다루어질 스타일의 분야와 용어간의 상관성, 특성 및 관계성과 해외 사례 등의 연구범위 확장성에 심층적 분석이라는 향후 순차적 연구 과제를 남기고, 본 논문의 전체를 맺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