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매체가 갖는 치료효과에 대해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2020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집단미술치료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800228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학위논문(박사) --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경기도
229 ; 26 cm
지도교수: 정여주
I804:41065-20000036838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매체가 갖는 치료효과에 대해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2020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집단미술치료 연...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매체가 갖는 치료효과에 대해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2020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집단미술치료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는 Study 1에서 이론중심 체계적 문헌고찰을, Study 2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한 결과를 종합 하는 통합 방법(Mixed-method)을 적용했다. 본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 절차는 Cochrane Handbook(2019)에 근거하였다.
연구 대상문헌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3종류의 서지정보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2020년 7월1일~7월14일, 10월1일~10월8일에 중복하여 검색했다. 본 연구에서 분류한 미술매체 주제어를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 PRISMA Flow Diagram을 따라 대상 문헌을 선정한 결과 국내에서는 종이매체, 수채화매체, 한국화매체, 사진, 콜라주, 점토 및 점성매체, 자연물매체, 섬유매체, 멀티미디어 9개의 매체를 중심으로 실험연구가 수행돼 왔음을 확인했다.
Study 1의 이론중심 체계적 문헌고찰의 결과 9개의 매체를 중심으로 총 184개의 문헌에서 294개의 종속변인이 추출됐다. 매체의 종속변인 전체를 종합 고찰한 결과 도출된 18개의 주제 중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상위 5개 주제는 정서, 자아, 특성, 스트레스, 표현이었다. 또한 Study 1에서 연구자들이 제시한 이론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적 요인을 고찰한 결과 9개 매체에서 총 19개의 치료적 요인이 도출됐다.
Study 2의 대상문헌은 총 64편으로 한국화매체, 콜라주, 점토 및 점성매체, 자연물매체 4가지 매체에서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사회성, 공격성, 스트레스, 표현 8가지의 종속변인이 추출됐다. 메타분석을 실시해 효과크기를 도출한 결과 한국화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크기에 있어, 우울은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자아효능감, 불안, 스트레스, 표현은 큰 효과크기가 도출됐다.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우울, 스트레스, 사회성에 대해 큰 효과크기가 확인됐다. 점토 및 점성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에서 공격성은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우울,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스트레스는 큰 효과크기가 도출됐다. 자연물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자아존중감에대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토 및 점성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한국화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보다 우울완화에 효과적이었다.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는 한국화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보다 우울완화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점토 및 점성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보다 스트레스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연구 전체를 고찰해 매체, 종속변인, 치료적 요인의 상관성을 고찰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론중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병용하는 과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해 종합적 결과와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