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취업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10126
2013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123-144(22쪽)
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취업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관...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취업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구조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0GOMS`` 자료를 통해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 행동, 취업 간의 관계모형 중 가장 적합모형을 찾고,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 상·하 집단에 따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경로계수를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취업 및 진로개발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분매개모형이 적합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는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와 진로준비행동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목표설정을 해서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와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에서 취업으로 가는 경로, 진로목표설정에서 취업으로 가는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진로목표설정에 영향을 미치고, 진로목표설정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두 변인을 매개로 취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형적 인과관계를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with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betwee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and is finding the structural difference on degree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with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betwee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and is finding the structural difference on degree of satisfaction. Thus, it is analyze the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relation with career goal set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through 2010GOMS data, and compares to coefficient of path by implement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At last, the study was tested to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rel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According to this result,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has been selected on this study. For the more, the study has shown the significant effect, which particip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given to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both the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give th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econd, The group, that has high satisfaction on career development program,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to route of career goal setting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ticip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to employment and career goal setting to employment. Third, the result on the test of mediation effect can be possible to make the assumption of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and career goal setting. Furthermore, it represents that the career goal sett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sequentially, it shows the possibility liner causality that the two mediation factors give th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of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난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선택 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남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3 박고운,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409-422, 2007
4 임언, "직업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5 조영하,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37-462, 2008
6 강원준,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17-36, 2008
7 김희수, "대학의 교과목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73-89, 2012
8 윤영란,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기엽,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0 (50): 177-206, 2012
1 양난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선택 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남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3 박고운,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409-422, 2007
4 임언, "직업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5 조영하,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37-462, 2008
6 강원준,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17-36, 2008
7 김희수, "대학의 교과목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73-89, 2012
8 윤영란,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기엽,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0 (50): 177-206, 2012
11 최웅용, "대학생의 진로목표 추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관계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01-121, 2010
12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13 김희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5 : 369-393, 2001
14 장기명,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연구" 19 : 101-132, 1999
15 한미희,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의 개발 및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95-113, 2011
16 허은영, "대학생 대상 진로지도 교과목 운영의 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77-94, 2009
17 최동선, "대학 재학생 희망직업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8 노경란,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회 49 (49): 63-92, 2011
19 신소영, "대학 신입생의 진로 목표 설정을 위한 blended learning program 개발 및 운영사례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19 (19): 59-74, 2006
20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21 노경란, "대졸 청년층의 대학 재학 중 경험한 교육서비스와 직장이동과의 관계 분석 -첫 직장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9-49, 2011
22 이기종, "구조방정식모형: 인과성 통계분석 및 추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2012
23 김희수, "교과목으로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2007
24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5 Lent, R.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 79-122, 1994
26 Schwab, D. P., "Theories and research job search and choice, In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5)" JAI Press 129-166, 1987
27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63 : 636-654, 2003
28 Blau, G., "Testing a two-dimensional measure of job search behavior" 59 : 288-312, 1994
29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Lawrence Erlbaum 2001
30 Sobel, M. E., "Some new results on indirect effects and their standard errors in corariance structure models, In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159-186, 1986
31 Lent, R. W., "Social cognitiv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 An overview" 44 : 310-320, 1996
32 Holzer, H. J., "Search method used by unemployed youth" 6 (6): 1-20, 1988
33 Thompson, M. N., "Perceived social status and learning experiences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80 (80): 351-361, 2012
34 Luzzo, D. A., "Perceived occupational barriers among mexican-american college student" 24 (24): 1-8, 1996
35 Lent, R. W., "On conceptualizing and assessing social cognitive constructs in career assessment : A measurement guide" 14 : 12-35, 2006
36 Locke, E. A., "New directions in goal-setting theory" 15 : 265-268, 2006
37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h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8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39 Folsom , B., "College career courses : Design and accountability" 11 (11): 421-450, 2003
40 Locke, E. A., "Building a practically useful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motivation: A 35-year odyssey" 57 : 705-717, 2002
41 Steffy, B. D.,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job search behavior" 35 : 254-269, 1989
42 MacCallum, R. C., "Alternative strategies for crossvalid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s" 29 : 1-32, 1994
43 Locke, E. A.,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Prentice Hall 1990
44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990
외국 해외현장경험 프로그램 분석 및 한국 다문화교사교육을 위한 해외현장경험 프로그램 구상에 관한 연구
접촉지대(Contact zone)에서의 갈등과 협상: 이주가정자녀교육기관 교사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3 | 1.75 | 1.963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