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응노(1904~1989)의 회화론과 1950년대 앵포르멜 미술에 대한 인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the paintings of Goam Lee Ungno (1904-1989), his works of the 1960s in Paris have been evaluated as his most avant-garde works of experimenting with and innovating objects as an artist. At that time, his works, such as Papier Colle and Abstract ...

      Among the paintings of Goam Lee Ungno (1904-1989), his works of the 1960s in Paris have been evaluated as his most avant-garde works of experimenting with and innovating objects as an artist. At that time, his works, such as Papier Colle and Abstract Letter, were influenced by abstract expressionism and Western Art Informel, illustrating his transformation from a traditional artist into a contemporary artist. An exhibition, which was held prior to his going to Paris in March 1958, has received attention because it exhibited the painting style of his early Informel art.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terpreting his work from two perspectives; first, that his works of 1958 were influenced by abstract expressionism and Art Informel, and, second, that he expressed Xieyi (寫意) as literati painting, focusing on the fact that Lee Ungno first started his career adopting this style. In this paper, I aimed to confirm Lee Ungno's recognition of Art Informel and abstract painting, which can be called abstract expressionism. To achieve this, it was necessary to study Lee's painting theory at that time, so I first considered Hae-gang Kim Gyu-jin whom Lee Ungno began studying painting under, and his paintings during his time in Japan.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escape from stereotypical paintings, deep contemplation of nature while painting was his first important principle. This principle, also known as Xieyi (寫意), lasted until the 1950s. In addition, it is highly probable that he understood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bstract painting, i.e., the meaning of extracting shapes from nature according to the ideas which became important to him after studying in Japan, rather than the theory of abstract painting realized in Western paintings. Lee Ungno himself also stated that the shape of nature was the basis of abstract painting. In other words, abstractive painting and abstract painting are different concepts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intings of Lee Ungno. Finally, I questioned the view that Lee Ungno's abstract paintings of the 1950s were painted as representative of the Xieyi (寫意) mind of literary art painting. Linking traditional literary art painting theory directly to Lee Ungno, who had been active in other worlds in space and time , may minimize Lee Ungno's individuality and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al paintings and contemporary paintings obscure. Lee Ungno emphasized Xieyi (寫意) in his paintings; however, this might have been an emphasis signifying a great proposition. This is actually because his works produced in the 1950s, such as Self-Portrait (1956), featured painting styles with boldly distorted forms achieved by strong ink brushwork, a style which Lee Ungno defined as 'North Painting.' This is based on the view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Xieyi (寫意) and 'the way of Xieyi (寫意) painting' as an important aspect of literary art painting. Therefore, his paintings need a new interpre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viewpoint that
      he represented abstract paintings according to his own Xieyi (寫意) way, rather than the view that his paintings were representations of Xieyi (寫意), or rather a succession of traditional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암 이응노(1904~1989)의 회화 전개에서 1960년대의 파리 시절은 미술가로서 가장 전위적인 방식으로 매체의 실험 및 혁신을 이룬 시기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파리로 건너가기 직전에 개최된 ...

      고암 이응노(1904~1989)의 회화 전개에서 1960년대의 파리 시절은 미술가로서 가장 전위적인 방식으로 매체의 실험 및 혁신을 이룬 시기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파리로 건너가기 직전에 개최된 이응노의 《도불》전(1958. 3)은 이응노가 앵포르멜 미술을 처음 수용할 때의 회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아왔다. 이를 주목한 이응노 관련 연구는 1958년의 작품들을 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으로 해석하는 관점과 이응노가 문인화로 처음 화업을 시작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문인화의 사의(寫意) 정신의 발현으로 보는 관점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고는 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를 통칭할 수 있는 ‘추상회화’에 대한 이응노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시 이응노의 회화론을 되짚어보는 것이 필요하기에 이응노가 회화를 처음 학습했던 해강 김규진 문하와 일본 유학 시절의 회화론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응노는 매너리즘에 빠진 문인화풍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연을 깊이 관조하는 것을 회화 제작의 첫 번째 원칙으로 삼았다. 그의 이러한 사생론은 195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는 ‘추상(抽象)’을 서양 미술사조의 ‘추상회화’라는 고유 개념이 아니라 일본 유학 시절 이후 강화된 사생론에 따라‘(자연에서) 형상을 추출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로 이해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응노 본인도 추상회화의 근간에는 자연의 형태가 있다고 밝힌 바가 있다. 즉 추상적인 회화와 ‘추상회화’는 다른 개념이기에 이를 구분하여 당시 이응노의 회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응노의 1950년대 추상회화를 문인화의 사의(寫意) 정신이 발현된 것으로 해석하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전통 문인화론을 현대의 이응노에게 직접 연결하는 것은 오히려 이응노 회화의 개성을 가리게 하고 전통서화와 현대회화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이응노는 회화 제작에서 사의를 강조하긴 했지만 이는 대명제로서의 언사(言辭)였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정작 1950년대에 제작한 작품들은 <자화상>(1956)처럼 이응노가 스스로 ‘북화(북종화)’라고 규정했던 회화 양식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은 문인화의 대명제로서의 ‘사의’와 ‘사의적 화법’을 구분해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점의 근거가 된다. 따라서 당시 그의 회화는 사의의 발현, 전통 문인화의 계승이라는 측면으로 보기보다 사의적 화법을 구사한 이응노식 추상회화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을 필요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무정, "한국미술에 있어서 ‘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2) : 54-70, 2011

      2 정무정, "파리의 앵포르멜 미술과 아시아"

      3 이응노미술관, "파리 앵포르멜 미술을 만나다: 이응노, 한스 아르퉁, 피에르 술라주, 자오우키"

      4 김병기, "추상회화의 문제" 6 : 175-176, 1953

      5 강영주, "조선시대 묵란화 연구" 고려대학교 2017

      6 이중희, "일본 근현대 미술사" 예경 109-, 2010

      7 김학량, "이응노 회화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8 이응노미술관, "이응노 대나무 그림전"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2002

      9 도미야마 다에코, "이응노 - 서울·파리·도쿄" 삼성미술문화재단 69-166, 1994

      10 황빛나, "신문매체를 통해 본 한국 근대화단과 ‘南畵’: 용어, 작가, 그리고 단체" 한국미술연구소 (38) : 237-261, 2014

      1 정무정, "한국미술에 있어서 ‘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2) : 54-70, 2011

      2 정무정, "파리의 앵포르멜 미술과 아시아"

      3 이응노미술관, "파리 앵포르멜 미술을 만나다: 이응노, 한스 아르퉁, 피에르 술라주, 자오우키"

      4 김병기, "추상회화의 문제" 6 : 175-176, 1953

      5 강영주, "조선시대 묵란화 연구" 고려대학교 2017

      6 이중희, "일본 근현대 미술사" 예경 109-, 2010

      7 김학량, "이응노 회화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8 이응노미술관, "이응노 대나무 그림전"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2002

      9 도미야마 다에코, "이응노 - 서울·파리·도쿄" 삼성미술문화재단 69-166, 1994

      10 황빛나, "신문매체를 통해 본 한국 근대화단과 ‘南畵’: 용어, 작가, 그리고 단체" 한국미술연구소 (38) : 237-261, 2014

      11 최경현, "석재 서병오(1862-1936)의 1889년작난죽석도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51 (51): 4-23, 2018

      12 이응노미술관, "서독으로 간 에트랑제, 이응노"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2014

      13 정형민, "서구 모더니즘 수용과 전개에 따른 한국 전통회화의 변모" 조형연구소 17 : 10-, 1994

      14 김병기, "상파울루 비엔날레 첫 한국인 심사위원"

      15 변영섭, "문인화, 그 이상과 보편성" 북성재 65-74, 2013

      16 문정희, "모더니즘 ‘서체추상’과 이응노" 한국미술연구소 (47) : 231-254, 2018

      17 박정욱, "만남과 화해의 미학, 이응노의 작품세계" 얼과알 1 : 91-123, 2001

      18 이응노, "동양화의 감상과 기법" 문화교육출판사 10-43, 1956

      19 이응노미술관, "기록의 조각 시간의 퍼즐: 고암 이응노 자료전"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2008

      20 정형민, "근현대 한국미술과 동양 개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02-104, 2011

      21 박은수, "근대기 동아시아의 문인화 담론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 : 29-51, 2009

      22 김영기, "고암의 인간과 그 예술: 그의 도불전에 즈음하여"

      23 김학량, "고암 이응로의 삶과 그림 : 도불 이전의 전기그림세계"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5

      24 고암미술연구소,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얼과알 2000

      25 김학량, "고암 이응노(1904~89)의 前期 그림 세계(1923~58)"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 : 159-, 1995

      26 서정희, "고암 이응노 대나무 그림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27 김상엽, "경매된 서화" 시공아트 371-373, 2005

      28 김소연, "首雲 金龍洙와 한국 근대 신남화풍 도입" 한국미술연구소 (25) : 151-175, 2007

      29 김소영, "東岡 鄭雲葂의 生涯와 繪畵世界" 호남학연구원 1 (1): 139-174, 2008

      30 黃빛나, "小室翠雲의 생애와 화풍" 한국미술연구소 (22) : 243-277, 2006

      31 홍선표, "‘한국화’의 현대화 담론과 이응노" 한국미술연구소 (44) : 59-77, 2017

      32 박지혜, "‘新南畵’의 성립과 전개: 1910년대 일본화단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32) : 247-272, 2017

      33 황빛나, "‘南畵’ 탄생 : 용어의 성립 시기 및 개념 변천에 관한 小考" 한국미술연구소 (41) : 191-211, 2015

      34 이응노미술관, "60년대 이응노 추상화"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2001

      35 이응노미술관, "42년 만에 다시 보는 이응노 도불전"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2000

      36 김현화, "20세기 미술사 - 추상미술의 창조와 발전" 한길아트 9-, 1999

      37 김경연, "1950년대 한국 수묵화의 추상적 경향"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3

      38 박파랑, "1950년대 동양화단의 앵포르멜 미술과 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5 : 255-284, 2018

      39 박파랑, "1950~60년대 한국 동양 화단의 추상미술 수용과 전개: 전후 일본 미술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7

      40 김병기, "1930년대 일본 화단과 전위미술"

      41 강민기, "1930~1940년대 한국 동양화가의 일본화풍 일본화풍의 전개와 수용" 한국미술연구소 (29) : 223-248, 2009

      42 박지혜, "1910年代 日本 近代 畵壇의 新南畵 談論과 實際"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