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합이나 바지락과 같은 패류 건제품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의 일환으로 저장온도($4\pm2^{\circ}C$ 및 $25\pm2^{\circ}C$)에 따른 산화패턴 특히 갈변도와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갈변도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14750
조호성 ; 이강호 ; 손병일 ; 조영제 ; 이종호 ; 임상선 ; CHO HO-Sung ; LEE Kang-HO ; SON Byung-Yil ; CHO Young-Je ; LEE Jong-HO ; LIM Sang-Sun
199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6-419(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홍합이나 바지락과 같은 패류 건제품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의 일환으로 저장온도($4\pm2^{\circ}C$ 및 $25\pm2^{\circ}C$)에 따른 산화패턴 특히 갈변도와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갈변도의 ...
홍합이나 바지락과 같은 패류 건제품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의 일환으로 저장온도($4\pm2^{\circ}C$ 및 $25\pm2^{\circ}C$)에 따른 산화패턴 특히 갈변도와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갈변도의 경우, 지용성 갈변도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또한 같은 온도에서 저장했을 때에도 바지락이 홍합보다 다소 높았으나, 수용성 갈변도는 두 종 모두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홍합과 바지락 생시료의 지방산 조성 중 polyene산이 각각 $46.29\%$와 $44.79\%$로 포화산이나 monoene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두 종 모두 포화산 중에서는 16:0, monoene산의 경우에는 16:1 그리고 polyene산에서는 20:5가 가장 높았다. 특히 저장중 16:0의 증가와 20:5 및 22:6의 감소가 컸으며, 또한 $25^{\circ}C$ 저장구가 $4^{\circ}C$ 저장구보다 변화 폭이 더 컸다. 중성지질과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은 홍합의 경우 polyene산의 비율은 중성지질 ($36.90\%$)보다 인지질 ($51.70\%$)에서 더 높았으나, 포화산과 monoene산은 중성지질에서 높았다. 바지락의 경우도 홍합과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포화산에 대한 polyene산의 비율 (P/S)은 중성지질의 경우 홍합($0.92\%$)과 바지락($0.94\%$) 양자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인지질에서는 홍합($1.42\%$)보다 바지락($1.81\%$)에서 다소 높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valuate lipid oxidation in dried shellfish during storage, brown pigment formation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 were determined. Levels of brown pigment formation occurred at $25^{\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ccurred at $4^{\circ}C$ throughou...
To evaluate lipid oxidation in dried shellfish during storage, brown pigment formation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 were determined. Levels of brown pigment formation occurred at $25^{\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ccurred at $4^{\circ}C$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Especially, the formation content of lipophilic brown pigment was 9$\~$10 times higher than that of hydrophilic brown pigment in all samples.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TL) in fresh sea mussel and baby clam were $34.21\%$ and $32.83\%$ in saturated fatty acid, $19.50\%$ and $20,83\%$ in monoenoic acid, and $46.29\%$ and $46.79\%$ in polyenoic acid, respectively.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0, 16:1 and 20:5 in TL of the both samples. During storage, the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monoenoic acid were slightly increased but that of polyenoic acid was decreased. In sea mussel, the content of polyenoic acid was higher in phospholipid (PL) than in neutral lipid (NL), while saturated fatty acid and monoenoic acid content were higher in the latter. The ratios of polyenoic acid/saturated fatty acid (P/S) in NL was similar in all samples. But the ratio of P/S in PL was higher in baby clam ($1.81\%$) than that in sea mussel($1.42\%$).
게껍질에서 추출한 chitosan 필름의 이용에 관한 연구 1. 도포재로써의 chitosan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비틀대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을 이용한 Pb 및 Cr 생체흡착 및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