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 Jinwi youth association of organization and activities in Japapnese coloni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제강점기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인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는 진위청년회의 조직 과정과 이후 참여한 주요 인물들의 사회적 역할, 둘째는 진위청년회의 사회활동과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3.1운동 이후 식민지배 정책의 변화로 각지에서 청년단체를 비롯하여 각종 사회단체가 조직되었다. 평택지역의 청년단체의 움직임은 1917년 진위청년체육구락부가 모태가 되었다. 건전한 체육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체육구락부는 3.1운동 이후 1921년 5월 진위청년회로 재조직되었다. 진위청년회는 1930년대 초 진위청년동맹으로 조직체를 전환하였다. 그렇지만 진위청년동맹의 실제적 활동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명맥만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진위청년회의 활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 활동이었다. 이는 청년회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활동이었기 때문에 회원을 유지하고 일정한 월연금 즉 회지를 징수하였다. 둘째는 지역과의 사회활동이었다. 이는 주로 청년회의 초기에 전개되었던 활동으로 보통학교 학생의 연합운동회를 개최한 바 있었다. 이러한 운동회 개최는 진위청년회 초기 결성의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활동으로 평가된다. 이외에도 청년회는 척사대회를 개최하여 지역 사회와 소통을 하고자 하였다. 셋째는 대외활동이었다. 이는 당시 대부분 청년회와 대동소이한 활동이었지만, 조선청년총동맹과 조선청년당에 가입하여 연대활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넷째는 체육행사였다. 체육행사로는 일반저긴 운동회와 척사대회를 개최하였지만, 본격적인 체육행사로 중선정구대회를 주최하였다. 중선정구대회는 평택소년회에서 주최하였던 것이었지만 이를 인계를 받아 1920년대 중후반 개최하였다. 다섯째는 교육활동이다. 청년회의 교육활동은 야학부와 진청학원의 운영이었다. 초기에 운영하였던 야학부를 평택지역 무산아동의 유일한 교육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는 진청학원으로 발전하였다. 진청학원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1933년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지만 지역 여론의 도움으로 다시 개교할 수 있었다.
      진위청년회는 일제강점기 1920년대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로서 활동하였다. 진위청년회는 평택이라는 지역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근대적 단체로서 조직되었으며, 평택지역에서 근대문명을 수용하여 확산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에 청년회 임원뿐만 아니라 회원 역시 지역의 유지들이었다. 일제 식민기관인 면사무소 면장을 포함하여 교원, 지역 상공인, 지역 언론인 등으로서 경제력도 상당한 계층이었다. 이들은 청년회를 통해 평택지역의 여론과 경제활동의 중심 역할을 하였으나 1930년대 전시체제기가 형성되면서 일제 식민지배에 협력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일제강점기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인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는 진위청년회의 조직 과정과 이후 참여한 주요 인물들의 ...

      본고는 일제강점기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인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는 진위청년회의 조직 과정과 이후 참여한 주요 인물들의 사회적 역할, 둘째는 진위청년회의 사회활동과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3.1운동 이후 식민지배 정책의 변화로 각지에서 청년단체를 비롯하여 각종 사회단체가 조직되었다. 평택지역의 청년단체의 움직임은 1917년 진위청년체육구락부가 모태가 되었다. 건전한 체육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체육구락부는 3.1운동 이후 1921년 5월 진위청년회로 재조직되었다. 진위청년회는 1930년대 초 진위청년동맹으로 조직체를 전환하였다. 그렇지만 진위청년동맹의 실제적 활동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명맥만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진위청년회의 활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 활동이었다. 이는 청년회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활동이었기 때문에 회원을 유지하고 일정한 월연금 즉 회지를 징수하였다. 둘째는 지역과의 사회활동이었다. 이는 주로 청년회의 초기에 전개되었던 활동으로 보통학교 학생의 연합운동회를 개최한 바 있었다. 이러한 운동회 개최는 진위청년회 초기 결성의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활동으로 평가된다. 이외에도 청년회는 척사대회를 개최하여 지역 사회와 소통을 하고자 하였다. 셋째는 대외활동이었다. 이는 당시 대부분 청년회와 대동소이한 활동이었지만, 조선청년총동맹과 조선청년당에 가입하여 연대활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넷째는 체육행사였다. 체육행사로는 일반저긴 운동회와 척사대회를 개최하였지만, 본격적인 체육행사로 중선정구대회를 주최하였다. 중선정구대회는 평택소년회에서 주최하였던 것이었지만 이를 인계를 받아 1920년대 중후반 개최하였다. 다섯째는 교육활동이다. 청년회의 교육활동은 야학부와 진청학원의 운영이었다. 초기에 운영하였던 야학부를 평택지역 무산아동의 유일한 교육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는 진청학원으로 발전하였다. 진청학원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1933년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지만 지역 여론의 도움으로 다시 개교할 수 있었다.
      진위청년회는 일제강점기 1920년대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로서 활동하였다. 진위청년회는 평택이라는 지역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근대적 단체로서 조직되었으며, 평택지역에서 근대문명을 수용하여 확산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에 청년회 임원뿐만 아니라 회원 역시 지역의 유지들이었다. 일제 식민기관인 면사무소 면장을 포함하여 교원, 지역 상공인, 지역 언론인 등으로서 경제력도 상당한 계층이었다. 이들은 청년회를 통해 평택지역의 여론과 경제활동의 중심 역할을 하였으나 1930년대 전시체제기가 형성되면서 일제 식민지배에 협력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various social organizati ons, including youth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in various regions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colonial rule policy. The movement of the youth group in Pyeongtaek was the birth of the Jinwi Youth Sports Club in 1917. The sports club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sound sports activities was reorganized into the Jinwi Youth Club in May 1921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Jinwi Youth Association switched its organization to the Jinwi Youth Alliance in the early 1930s. However, since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alliance between the young and the young are rarely revealed, it seems that the alliance has only maintained its reputation.
      The activities of the True Youth Conference can be arranged in five categories. The first was internal activity to maintain the organization. Because this was a basic activity to maintain the youth association, the members were retained and a certain monthly pension, or bulletin, was collected. The second was social activity with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mainly an activity that developed in the early days of youth meetings, and held an association of ordinary school students. The hosting of these sports events is considered an important activity that shows the nature of the initial determination of the youth group. In addition, the youth association held a meeting of judges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ird, it was an external activity. Most of the activiti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youth association at the time, but it was intended to carry out joint activities by joining the Chosun Youth League and the Chosun Youth Party. Fourthly, it was a sports event. As a general sports event, it held a general sports meeting and a masquerade competition, but as a full-fledged sports event, it hosted a mid-term tennis competition. The fifth is educational activity. The youth council'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the operation of the night school and the Jincheong academy.
      Pyeongtaek youth in the 1920s, the Japanese occupation areas represent authenticity as a youth club. Members as well as youth association executives were local maintainers. The economic power of teachers, local businessmen and local journalists, including the head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otton office, was also considerable. They are in Pyeongtaek areas through the Young Men's Association of opinion as well as of the central role of economic activity but war in the 1930s is shaping up, to cooperate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Not not know.
      번역하기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various social organizati ons, including youth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in various regions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colonial rule policy. The movement of the youth group in Pyeongtaek was the birth of the Jinwi 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various social organizati ons, including youth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in various regions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colonial rule policy. The movement of the youth group in Pyeongtaek was the birth of the Jinwi Youth Sports Club in 1917. The sports club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sound sports activities was reorganized into the Jinwi Youth Club in May 1921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Jinwi Youth Association switched its organization to the Jinwi Youth Alliance in the early 1930s. However, since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alliance between the young and the young are rarely revealed, it seems that the alliance has only maintained its reputation.
      The activities of the True Youth Conference can be arranged in five categories. The first was internal activity to maintain the organization. Because this was a basic activity to maintain the youth association, the members were retained and a certain monthly pension, or bulletin, was collected. The second was social activity with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mainly an activity that developed in the early days of youth meetings, and held an association of ordinary school students. The hosting of these sports events is considered an important activity that shows the nature of the initial determination of the youth group. In addition, the youth association held a meeting of judges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ird, it was an external activity. Most of the activiti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youth association at the time, but it was intended to carry out joint activities by joining the Chosun Youth League and the Chosun Youth Party. Fourthly, it was a sports event. As a general sports event, it held a general sports meeting and a masquerade competition, but as a full-fledged sports event, it hosted a mid-term tennis competition. The fifth is educational activity. The youth council'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the operation of the night school and the Jincheong academy.
      Pyeongtaek youth in the 1920s, the Japanese occupation areas represent authenticity as a youth club. Members as well as youth association executives were local maintainers. The economic power of teachers, local businessmen and local journalists, including the head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otton office, was also considerable. They are in Pyeongtaek areas through the Young Men's Association of opinion as well as of the central role of economic activity but war in the 1930s is shaping up, to cooperate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Not not kno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외일보"

      2 "중앙일보"

      3 "조선치안상황"

      4 "조선중앙일보"

      5 "조선일보"

      6 "시대일보"

      7 "매일신보"

      8 "동아일보"

      9 "개벽"

      10 "朝鮮靑年總同盟加盟團體第二回 發表ノ件"

      1 "중외일보"

      2 "중앙일보"

      3 "조선치안상황"

      4 "조선중앙일보"

      5 "조선일보"

      6 "시대일보"

      7 "매일신보"

      8 "동아일보"

      9 "개벽"

      10 "朝鮮靑年總同盟加盟團體第二回 發表ノ件"

      11 성주현, "1920년대 금산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역사와교육학회 16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0-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교육학회 역사와교육 -> 역사와교육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