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82) : 2012
2 정우열, "창덕궁 동인에 대한 소고" 16 (16): 1994
3 문화재청, "조선왕실의 어보"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 1 고려말 조선초" 2009
5 전나나, "조선왕릉 석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은선, "조선시대 묘 석인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 In 세우다 새기다 쓰다" 수원박물관 2010
7 김혜림, "조선시대 동자석인 연구 : 16∼18세기 서울·경기지역 원과 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8 최윤정, "조선시대 금관조복형 문인석 연구 : 중종대~정조대까지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5
9 조영서, "조선 전기 왕릉 무석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민규, "조선 왕릉 장명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82) : 2012
2 정우열, "창덕궁 동인에 대한 소고" 16 (16): 1994
3 문화재청, "조선왕실의 어보"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 1 고려말 조선초" 2009
5 전나나, "조선왕릉 석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은선, "조선시대 묘 석인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 In 세우다 새기다 쓰다" 수원박물관 2010
7 김혜림, "조선시대 동자석인 연구 : 16∼18세기 서울·경기지역 원과 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8 최윤정, "조선시대 금관조복형 문인석 연구 : 중종대~정조대까지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5
9 조영서, "조선 전기 왕릉 무석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민규, "조선 왕릉 장명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1 김동욱, "정조·순조연간 관영공사에서 별간역 정우태의 조영활동"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115-131, 2007
12 김이순, "융릉(隆陵)과 건릉(健陵)의 석물조각" 미술사학연구회 31 (31): 63-100, 2008
13 안대회, "영조시대 기술자 최천약" 2006
14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전시도록"
15 경기도박물관, "경기 묘제 석조 미술 - 조선후기" 2008
16 경기도박물관, "경기 묘제 석조 미술" 주자소 2007
17 최완수, "겸재 정선" 현암사 2010
18 "長陵遷陵時山陵都監儀軌"
19 "朝鮮王朝實錄"
20 김은선, "朝鮮後期 王陵 石人 彫刻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49) : 113-139, 2006
21 "承政院日記"
22 李奎象, "崔天若傳, In 韓山世稿 卷30"
23 김기욱, "『銅人腧穴鍼灸圖經』의 침구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1 (21): 41-60, 2008
24 김은선, "17세기 인·숙종기의 왕릉 조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1) : 153-175, 2008
25 "(肅宗·仁敬·仁顯·仁元王后)尊崇都監儀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