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 공업화와 유업률 감소 -1930,1940년 국세조사의 검증과 해방 후와의 비교- = Employment Ratio`s Reduction during Colonial Korea`s Industrialization: Verification of Census in 1930 and 1940 with Comparing to 195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0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established by recent studies that the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of colonial Korea in the 1930s. The outcomes of these studies led to the view that the colonial industrialization should be evaluated by analyzing how it was correlated to the assent composition, income, consumption, and statu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mployment opportunity as an important additional standard of evaluation. Previous studies concerning employment in the 1930s do not accept the results from the censuses that exhibit a decline in the overall employment during the 1930s. This rejection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re were errors in census enumerations and aggregations, and that survey methods changed over time. This paper suggests there is no solid foundation to deny the reliability of the censuses, although the reason for the decline in employment during the 1930s cannot be determined. In the discussions of colonial industrialization in Korea, therefore, the census results showing diminished employment should be accepted.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1930s to the reconstruction in the 1950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y.
      번역하기

      It has been established by recent studies that the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of colonial Korea in the 1930s. The outcomes of these studies led to the view that the colonial industrialization should be evaluated by ana...

      It has been established by recent studies that the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of colonial Korea in the 1930s. The outcomes of these studies led to the view that the colonial industrialization should be evaluated by analyzing how it was correlated to the assent composition, income, consumption, and statu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mployment opportunity as an important additional standard of evaluation. Previous studies concerning employment in the 1930s do not accept the results from the censuses that exhibit a decline in the overall employment during the 1930s. This rejection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re were errors in census enumerations and aggregations, and that survey methods changed over time. This paper suggests there is no solid foundation to deny the reliability of the censuses, although the reason for the decline in employment during the 1930s cannot be determined. In the discussions of colonial industrialization in Korea, therefore, the census results showing diminished employment should be accepted.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1930s to the reconstruction in the 1950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통계청, KOSIS"

      2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통계조사현황" 경제기획원 1985

      3 김종한, "한국전쟁과 부산의 인구 및 노동자 상태 변화" 한국지역사회학회 14 (14): 29-65, 2006

      4 이대근, "한국의 공업화와 노동력(I)―노동통계의 정비 해설편" 한국경제연구원 1990

      5 김낙년, "한국의 경제성장"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7 허수열, "전시기 조선의 공장공업의 변화" 2009

      8 김낙년, "일제하 한국경제" 해남 2003

      9 김경일, "일제하 조혼문제에 관한 연구" 41 : 363-395, 2007

      10 허수열, "일제하 조선의 산업구조: 고용기준 분석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36 : 255-278, 1992

      1 "한국통계청, KOSIS"

      2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통계조사현황" 경제기획원 1985

      3 김종한, "한국전쟁과 부산의 인구 및 노동자 상태 변화" 한국지역사회학회 14 (14): 29-65, 2006

      4 이대근, "한국의 공업화와 노동력(I)―노동통계의 정비 해설편" 한국경제연구원 1990

      5 김낙년, "한국의 경제성장"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7 허수열, "전시기 조선의 공장공업의 변화" 2009

      8 김낙년, "일제하 한국경제" 해남 2003

      9 김경일, "일제하 조혼문제에 관한 연구" 41 : 363-395, 2007

      10 허수열, "일제하 조선의 산업구조: 고용기준 분석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36 : 255-278, 1992

      11 김낙년, "일제시기 우리나라 GDP의 도별 분할" 경제사학회 45 : 3-43, 2008

      12 권태환,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13 한국통계청, "인구 및 주택센서스" 1980

      14 박기주, "신민지 조선의 공장생산액과 노동생산성 증가" 경제사학회 40 : 83-117, 2006

      15 김낙년, "식민지기 조선의 유업자: 호구조사와 국세조사" 경제사학회 48 : 125-166, 2010

      16 최성진, "식민지기 신장변화와 생활수준" 경제사학회 40 : 57-82, 2006

      17 박이택, "식민지 조선의 인구와 노동력" 2007

      18 보건사회부, "사업장노동실태조사보고서"

      19 보건사회부, "보건사회통계연보1955-57"

      20 주익종, "민간소비지출의 추계, in: 한국의 경제성장" 서울대학교출판부 193-213, 2006

      21 박섭, "농업성장, 1912-1960, in: 한국경제성장사" 서울대학교출판부 33-76, 2001

      22 남조선과도정부노동부통계실, "남조선노동통계조사결과보고" 1948

      23 류승현, "구한말-일제하 여성조혼의 실태와 조혼폐지사회운동" (16) : 1-79, 1998

      24 박기주, "광업 제조업, in: 한국의 경제성장" 서울대학교출판부 71-106, 2006

      25 차명수, "경제성장, 소득분배, 구조변화, in: 한국의 경제성장" 서울대학교출판부 299-341, 2006

      26 金哲, "韓国の人口と経済" 岩波書店 1965

      27 溝口敏行, "韓国(戦前『朝鮮』を含む)長期経済統計の作成方針" 1996

      28 一橋大学経済研究所, "解説 日本経済統計―特に戦後の分析のために―" 岩波書店 1961

      29 한국통계청, "総人口調査" 1955

      30 朝鮮總督府, "統計年報" 1942

      31 朝鮮總督府, "簡易國勢調査" 1925

      32 한국통계청, "簡易人口調査" 1949

      33 総務省統計局統計研修所, "第19章 労働・賃金, 日本の長期統計系列"

      34 朝鮮總督府, "朝鮮勞動技術統計調査結果報告" 1943

      35 河野節夫, "昭和五年國勢調査施行에就하야" 14 (14): 2-8, 1930

      36 溝口敏行, "旧日本植民地経済統計" 東洋経済新報社 1988

      37 허수열, "日帝下 朝鮮의 失業率과 失業者數 推計" (17) : 1-27, 1993

      38 劉怡怜, "戦前台湾における有業人口の新推計" 49 (49): 145-153, 1998

      39 內閣統計局, "工場,鑛山,運輸事業場,事務所商店數及其ノ所属勞務者,技術者数" 1941

      40 內閣統計局, "國勢調査" 1940

      41 朝鮮總督府, "國勢調査" 1940

      42 內閣統計局, "勞動統計實地調査報告" 1924

      43 朝鮮總督府, "人口調査結果報告" 1944

      44 Goldin, Claudia, "The U-Shaped Female Labor Force Function in Economic Development and Economic History, Investment in Women’s Human Capita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90, 1995

      45 Durand, John D., "The Labor Force in the United States 1890-1960"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1948

      46 溝口敏行, "Korea長期経済統計データベースの作成" 1999

      47 Kim, Duol, "Colonialism and Industrialisation: Factory Labour Productivity of Colonial Korea, 1913–37" 48 (48): 26-46, 2008

      48 朝鮮總督府, "1940년 조선국세조사 종사원의 신고서 기입 주의사항" 1940

      49 장지용, "1930년대 조선의 가내공업" 부산대학교 1999

      50 朝鮮總督府, "1930년 조선국세조사 종사원의 신고서 기입 주의사항" 1930

      51 宣在源, "1920・30年代日本と朝鮮の人口移動と工業労働者" 63 (63): 21-38,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6 1.01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