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의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Creative Home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integrates perspectives from published literature of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s and implicit theorie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children and 40 parents living Seoul. Seventy three children and thirty five parents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five children and five par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bout creativity,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environments and a survey on implicit theories o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it was proposed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ould conceptualized with the following general areas: space and time for creative performance, creative activity tools, creative role model, variety of experience, respect and acceptance, encouragement and absence of excessive press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perception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integrates perspectives from published literature of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s and implicit theorie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subjects 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integrates perspectives from published literature of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s and implicit theorie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children and 40 parents living Seoul. Seventy three children and thirty five parents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five children and five par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bout creativity,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environments and a survey on implicit theories o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it was proposed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ould conceptualized with the following general areas: space and time for creative performance, creative activity tools, creative role model, variety of experience, respect and acceptance, encouragement and absence of excessive press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perception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을 통해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창의적 가정환경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는 환경과 저해하는 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서울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73명과 부모 35명이 질문조사에 답하였고, 아동 5명과 부모 5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응답은 연구자가 유사한 응답끼리 범주로 묶은 뒤 해당 범주의 응답 빈도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 및 선행 연구결과들과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가정환경을 창의적 활동공간 및 시간, 창의적 활동도구, 창의적 롤 모델, 다양한 경험, 존중 및 수용, 다양한 사고 격려, 과도한 억압 부재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이라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 가정환경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알려주며, 향후 창의적 가정환경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을 통해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을 통해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창의적 가정환경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는 환경과 저해하는 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서울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73명과 부모 35명이 질문조사에 답하였고, 아동 5명과 부모 5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응답은 연구자가 유사한 응답끼리 범주로 묶은 뒤 해당 범주의 응답 빈도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 및 선행 연구결과들과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가정환경을 창의적 활동공간 및 시간, 창의적 활동도구, 창의적 롤 모델, 다양한 경험, 존중 및 수용, 다양한 사고 격려, 과도한 억압 부재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이라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 가정환경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알려주며, 향후 창의적 가정환경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순미, "환경은 창의성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67-188, 2006

      2 성은현,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367-390, 2008

      3 최인수, "한국·중국·일본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비교"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1): 27-47, 2011

      4 강현숙,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5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6 金鍾安,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7 김소정, "초등학생의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원 25 (25): 47-67, 2014

      8 김동만,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65-90, 2015

      9 이건남,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29-248, 2009

      10 정진현, "초등학교 학생의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감성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6 (26): 57-77, 2015

      1 한순미, "환경은 창의성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67-188, 2006

      2 성은현,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367-390, 2008

      3 최인수, "한국·중국·일본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비교"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1): 27-47, 2011

      4 강현숙,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5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6 金鍾安,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7 김소정, "초등학생의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원 25 (25): 47-67, 2014

      8 김동만,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65-90, 2015

      9 이건남,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29-248, 2009

      10 정진현, "초등학교 학생의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감성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6 (26): 57-77, 2015

      11 안종혁,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소진 비교 및 관계 분석" 한국영재학회 24 (24): 169-189, 2014

      12 김청자, "청소년의 환경변인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159-181, 2008

      13 유영길, "첨단과학기술 체험 및 이해를 통한 초등학교 과정에서의 창의성 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18, 2008

      14 김미숙, "창의적 환경 유형별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205-224, 2014

      15 최인수, "창의적 인물의 특성과 직업군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인의 암묵적 지식 비교" 한국영재학회 23 (23): 615-632, 2013

      16 성은현,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 개발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107-124, 2012

      17 한순미, "창의적 가정 및 학교 환경에 대한 한·미 대학생의 암묵적 개념과 현실 환경"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151-168, 2008

      18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쌤엔파커스 2011

      19 최인수,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모델" 3 : 441-464, 2000

      20 강현숙, "창의성과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371-404, 2014

      21 한순미, "창의성-사람, 환경, 전략" 학지사 2005

      22 유경훈, "유아의 환경변인과 창의적 사고력과의 관계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229-249, 2012

      23 유경훈, "유아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기질변인의 매개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75-92, 2014

      24 심명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차이"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7 (17): 27-46, 2017

      25 유경훈,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환경적.인지적.동기적 변인들의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7 (7): 47-72, 2008

      26 김양은, "아동기 가정환경과 동기 유형이 성인기 정서지능과 창의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아동기 회상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9 (29): 373-386, 2008

      27 한규정, "스마트 기기 활용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역기능"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471-482, 2014

      28 장영숙,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6 (16): 309-336, 2010

      29 하주현,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에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83-96, 2015

      30 김재한, "동영상 제작 App 활용 수업이 창의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21-37, 2014

      31 성은현, "동서양의 창의성차이 고찰 : 창의적 문화와 환경, 성격, 사고, 산물을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48-66, 2006

      32 조성연, "도시와 농촌 아동의 창의성과자아존중감 및 어머니 양육행동에 관한연구" 2 (2): 17-32, 1997

      33 김태희, "농업체험활동 중심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9 (29): 179-195, 2016

      34 임현주, "기질(사회성) 및 가정환경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39-355, 2015

      35 황원섭, "고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취목표동기, 자기결정성동기 및 자기효능감이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13 : 17-42, 2014

      36 Zhou, J., "When the presence of creative coworkers is related to creativity : Role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developmental feedback, and creative personality" 88 (88): 413-422, 2003

      37 Simonton, D. K., "Varieties of creativity : A hierarchical model of disposition, development, and achievement" 4 : 441-452, 2009

      38 Dacey, J. S., "Understanding creativity: The interplay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Jossey-Bass Inc Pub 1998

      39 Fearon, D. 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creativity in a sample of Jamaican children" 25 (25): 119-128, 2013

      40 Kelly, G. A.,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Norton 1955

      41 Stremikis, B. A.,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of successful women musicians" 14 (14): 85-92, 2002

      42 Dacey, J. S., "The nurturing parent: How to raise creative, loving, responsible children" Fireside 1992

      43 Csikszentmihalyi, M.,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9

      44 MacKinnon, D. W., "The nature and nurture of creative talent" 17 (17): 484-, 1962

      45 Lubart, T. I., "The handbook of perceptions and cognition, 12" Academic Press 1994

      46 Shalley, C. 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 Where should we go from here?" 30 (30): 933-958, 2004

      47 Gute, G., "The early lives of highly creative persons: The influence of the complex family" 20 (20): 343-357, 2008

      48 Runco, M. A., "Teachers' judgments of creativity and social validation of divergent thinking tests" 59 (59): 711-717, 1984

      49 Csikszentmihalyi, M.,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University Press 1993

      50 Hirsh-Pasek, K., "Pressure or challenge in preschool? How academic environments affect children" 1991 (1991): 39-46, 1991

      51 Runco, M. A., "Parents’personality and the creative potential of exceptionally gifted boys" 17 (17): 355-367, 2005

      52 Runco, M. A., "Parents' and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hildren's Creativity: A Cross-Cultural Perspective" 14 (14): 427-438, 2002

      53 Miller, A. L., "Parenting style, perfectionism, and creativity in high-ability and highachieving young adults" 35 (35): 344-365, 2012

      54 Kemple, K. M., "Nurturing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Families are part of it" 28 (28): 67-71, 2000

      55 Michel, M., "Mother child relationships and creativity" 4 (4): 281-286, 1991

      56 Bradley, R. H., "Measuring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10 (10): 247-288, 2000

      57 Sternberg, R. J., "Investing in creativity" 51 (51): 677-688, 1996

      58 Hyson, M. C., "Ingredients of parental"pressure"in early childhood" 12 (12): 347-365, 1991

      59 Niu, W.,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hinese student creativity" 41 (41): 151-175, 2007

      60 Sternberg, R. J.,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49 (49): 607-627, 1985

      61 Romo, M., "Implicit theories of Spanish painters" 15 (15): 409-415, 2003

      62 Deng, L., "How creativi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 A cross-cultural comparison perspective" 28 (28): 357-366, 2016

      63 Bradley, R. H.,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Development of a home inventory for use with families having children 6 to 10 years old" 13 (13): 58-71, 1988

      64 Caldwell, B. M.,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1984

      65 Csikszentmihalyi, 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35, 1999

      66 Feldman, D. H.,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9-188, 1999

      67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Crown House Publishing Limited 1989

      68 Grzeskowiak, S., "Fostering the growth of high ability: European perspectives" Ablex 419-427, 1996

      69 O'brien, L. M., "For parents particularly : How parents can encourage creativity in children" 83 (83): 236-237, 2007

      70 Miller, B. C., "Fami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An integrative review" 295-312, 1979

      71 Robinson, J. R., "Family environment and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6 (6): 200-209, 2013

      72 Getzels, J. W., "Family environment and cognitive style : A study of the sources of highly intelligent and of highly creative adolescents" 26 (26): 351-359, 1961

      73 Gardner, K. G.,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and creativity" 3 (3): 281-286, 1990

      74 Shalley, C. E., "Effects of social-psychological factors on creative performance : The role of informational and controlling expected evaluation and modeling experience" 84 (84): 1-22, 2001

      75 Dacey, J. S., "Discriminating characteristics of the families of highly creative adolescents" 23 (23): 263-271, 1989

      76 Davis, G. A., "Creativity is forever" Kendall/Hunt 2004

      77 Cropley, A. J., "Creativity in education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Routledge 2001

      78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1996

      79 Cantero, M. J., "Creativity in Middle Childhood : Influence of Perceived Maternal Sensitivity, Self-esteem, and Shyness" 28 (28): 105-113, 2016

      80 Kaufman, J. C.,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sychology Press 2005

      81 Kaufman, J. C., "Creativity 101"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9

      82 Gardner, H., "Creating minds" Basic House 1993

      83 Hills, T. W., "Children in the fast lane :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policy and practice" 2 (2): 265-273, 1987

      84 Liu, G., "Autonomous motivation and Chinese adolescents’ creative thinking :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involvement" 25 (25): 446-456, 2013

      85 Mendecka, G., "Attitudes of parents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3 (3): 148-154, 1992

      86 Steinberg, L., "Adolescence and poverty: Challenge for the 1990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36, 1991

      87 Wright, C., "A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family’s influence on creativity" 20 : 127-136,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reativity Education Association ->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64 2.05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