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in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1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o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consisting of 185 boys and 197 girls.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using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visualization tendency is the key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visualization tendency were derived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를 측정하였으며, 경로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를 매개하여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화 경향성이 기술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핵심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세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에 대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499-522, 2015

      2 나일주,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이 문제해결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509-534, 2010

      3 성은모,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과 교과 학습태도가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7-50, 2011

      4 성은모, "초등학교 IPTV 활용 수업에서 시각화 경향성이 교과태도, 학습몰입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93-320, 2010

      5 허선영, "전문가 구성, 학습자 구성 그래픽 조직자와 시각화 경향성 수준이 학업성취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6 박수희,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 14 (14): 199-213, 2011

      7 김계수, "인과분석 연구 방법론" 청람 2006

      8 김규동,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169-188, 2012

      9 최정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21-244, 2012

      10 이미란, "웹기반 한자학습에서 자료제시유형과 시각화 경향성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 박세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에 대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499-522, 2015

      2 나일주,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이 문제해결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509-534, 2010

      3 성은모,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과 교과 학습태도가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7-50, 2011

      4 성은모, "초등학교 IPTV 활용 수업에서 시각화 경향성이 교과태도, 학습몰입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93-320, 2010

      5 허선영, "전문가 구성, 학습자 구성 그래픽 조직자와 시각화 경향성 수준이 학업성취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6 박수희,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 14 (14): 199-213, 2011

      7 김계수, "인과분석 연구 방법론" 청람 2006

      8 김규동,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169-188, 2012

      9 최정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21-244, 2012

      10 이미란, "웹기반 한자학습에서 자료제시유형과 시각화 경향성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1 임미현, "웹기반 토론학습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시각화 경향성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태선, "웹기반 영어 어휘 학습에서 시각자료 제시 방법과 시각화 경향성 수준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3 유미나, "웹기반 개념학습에서 그래픽 조직자의 제시시기와 시각화 경향성 수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29-155, 2015

      14 나일주, "웹 기반 학습환경에서 그림자료와 텍스트 내용과의 관련성이 내용이해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8 (8): 1-22, 2007

      15 조아라,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9 (29): 849-879, 2013

      16 교육부,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17 교육과학기술부,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18 교육인적기술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19 이선진, "실과 수업에서의 마인드 맵 적용 방안과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213-228, 2005

      20 변호승,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21 이주성,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이 회계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47-67, 2011

      22 박도영, "다층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학교교육효과의 경향 분석 -고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345-377, 2011

      23 노태희, "다중표상학습에서 학생들의 장독립성ㆍ장의존성에 따른 동화상의 효과: 연계 오류와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156-167, 2009

      24 반재천, "다수준 맥락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에 미치는 효과 추이 분석: 2003-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685-712, 2011

      25 최유현, "기술교과 교육의 탐구" 형설출판사 2010

      26 강명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태도,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45 (45): 181-203, 2014

      27 나일주, "교육공학 관련이론" 교육과학사 2010

      28 최선미, "공과대학생 공간시각화능력과 학업성취 간 관계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42-50, 2015

      29 Sein, M. K., "Visualization ability as a predictor of user learning success" 39 (39): 599-620, 1993

      30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1 (1): 16-29, 1996

      31 Hoffmann, T., "The meanings of competency" 23 (23): 275-286, 1999

      32 Abi-El-Mona, I., "The influence of mind mapping on eighth graders’ science achievement" 108 (108): 298-312, 2008

      33 Chularut, P., "The influence of concept mapping on achievement,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in students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29 (29): 248-263, 2004

      34 Downing, R. E., "The effects and interaction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domain expertise on information seeking" 21 (21): 195-209, 2005

      35 Bennett, S.,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ie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K-12 education"

      36 Rochford, K., "Spatial learning disabilities and underachievement among university anatomy students" 19 (19): 13-26, 1985

      37 김계수, "New Amos 7. 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38 Baxter, J. H., "Interactive multimedia and concrete threedimensional modelling" 15 (15): 323-331, 1999

      39 Höffler, T. N., "Instructional animation versus static pictures : A meta-analysis" 17 (17): 722-738, 2007

      40 임정훈, "IPTV 학습환경에서 중‧고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 태도,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423-446, 2011

      41 Rha, 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visualization tendency test" 2009

      42 Chandler, P., "Cognitive load theory and the format of instruction" 8 (8): 293-332, 1991

      43 Lawless, K. A., "Children’s hypertext navigation strategies" 34 (34): 274-284, 2002

      44 Pankratius, W. J., "Building an organized knowledge base : Concept mapping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physics" 27 (27): 315-333, 1990

      45 김대업, "AMOS A to Z :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