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발명·특허 특성화고의 발명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in Invention Related Textbooks for Invention·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1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mprovement plan and problem by analyzing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extbook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mprovement plan and problem by analyzing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extbook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s purpose, studying purposes mentioned i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through expert conference, and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tudying purpose mentioned in invention textbooks has given too much importance and emphasis on som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s; so tha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ause has been made from failure to perform its role for students’ various knowledge acquisition.
      Second, most studying purposes specified o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being used in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just corresponded to “understanding”.
      Third, by comparing knowledge dimension’s studying purpose per invention textbook, basic invention & patent and invention & design textbooks’ each area have been relatively distributed. In contract, invention & problem solving textbook does not have “true knowledge” area, and been showed unbalanced dispersion which take a lot of proportion of metacognitive ability knowledge. General patent specification textbook has taken half possession about “true knowledge”. Patent information survey analysis textbook can be confirmed by unbalanced distribution that possesses half area for “conceptive knowledge”.
      Fourth, by comparing cognitive procedure dimension per invention textbook, textbooks have generally exhibited extremely imbalance. All textbooks do not possess studying purpose which has belonged to “Remember” area. Generally, due to the reason that “Understanding” area has been exhibited too much, it has been very necessary to support studying purpose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school student thinking abilities, such as “analyze” and “evaluate”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lso,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s which are belonged to “Apply”, “Analyze”, and “Evaluate” are being too low or little. Nevertheless,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 which is belonged to “create” is often high. This has proven that studying purpose that requires high school student standardized thinking ability has not been stated by stages. As a result, the students’ thought cannot be easily expan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 crucial matter to annihilate.
      Therefore, through restatement of studying purposes, consider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studying experiences is necessary. Moreover, research for study plan which is coherent to connectivity of studying purpose and class activity by applying this research has been necessary. Furthermore, this research shall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achievement standard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관련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을 근거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특허 특...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관련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을 근거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5종의 발명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들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는 일부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지나치게 편중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지식 획득에 충분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발명·특허 특성화고에서 사용되는 5종의 발명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의 대부분이 ‘이해하다’범주에 해당하였다.
      셋째, 발명교과서별로 지식차원의 학습목표를 비교해 본 결과, 「발명·특허 기초」와 「발명과 디자인」교과서는 각 영역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반면에 「발명과 문제해결」교과서는 ‘사실적 지식’영역이 전혀 없었고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분포를 보였다. 「특허명세서 일반」교과서는 ‘사실적 지식’영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특허정보 조사분석」교과서는 ‘개념적 지식’영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발명교과서별로 인지과정 차원의 학습목표를 비교해 본 결과, 교과서 전반에 걸쳐 심한 불균형을 보였다. 전 교과서가 ‘기억하다’영역에 속하는 학습목표가 전혀 없었다. 전체적으로 ‘이해하다’영역이 너무 많은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줄이고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을 위해 ‘분석하다’, ‘평가하다’와 같은 고등사고 능력을 요하는 학습목표 진술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에 속하는 학습목표 진술 비율이 너무 낮거나 없음에도 불구하고 ‘창안하다’에 속하는 학습목표 진술 비율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고등사고 능력을 요하는 학습목표가 단계적으로 진술되지 못해서 학생들의 사고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욱,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99-224, 2013

      2 이찬주,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40 (40): 1-22, 2015

      3 이정훈, "중등 기술교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의 구성 체계 구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75-294, 2009

      4 이병욱,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85-104, 2014

      5 강현석, "신 교육목표 분류학의 설계" 아카데미프레스 2005

      6 강현석,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7 이병욱, "‘발명과 디자인’ 과목의 교재 집필 체제 및 내용 개발에 대한 타당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219-234, 2009

      8 Bloom, B. S, "Taxonimy of educational objectiviti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David McKay 1956

      9 Gronlund, N. E., "Stating Objetives for Classroom Instruction" Macmillan 1978

      10 Hauenstein, A. D.,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A Holistick App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8

      1 이병욱,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99-224, 2013

      2 이찬주,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40 (40): 1-22, 2015

      3 이정훈, "중등 기술교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의 구성 체계 구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75-294, 2009

      4 이병욱,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85-104, 2014

      5 강현석, "신 교육목표 분류학의 설계" 아카데미프레스 2005

      6 강현석,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7 이병욱, "‘발명과 디자인’ 과목의 교재 집필 체제 및 내용 개발에 대한 타당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219-234, 2009

      8 Bloom, B. S, "Taxonimy of educational objectiviti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David McKay 1956

      9 Gronlund, N. E., "Stating Objetives for Classroom Instruction" Macmillan 1978

      10 Hauenstein, A. D.,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A Holistick App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8

      11 DeVito, B., "Characterizing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esdemonstrated by student and teachers" Harvard University 2005

      12 김윤희, "Blo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영역 총괄평가 문항의 목표분석" 경북대학교 2008

      13 오성환,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실과 교과서의 인지적 수업목표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이민정,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개정 7학년 기술·가정교과서 분석 - 가정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49-176, 2011

      15 박미숙,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헤어미용 교과서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이은영,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목표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문소정,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헤어미용 교과서 수업목표 분석 및 기준 개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8 김인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피부 관리 교과서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김명옥,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7-58, 2012

      20 김영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70-579, 2007

      21 김소연,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지구과학과 수업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2 김현정,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고등학교 국어과 단원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이혜숙,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생물 영역의 수업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신진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지리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문항 작성" 경북대학교교육대학원 2008

      25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26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문제점과 그 대안적 연구 경향" 41 (41): 12-20, 2005

      27 김명옥, "Bloom의 新敎育目標分類學에 基盤한 初等 國語科 敎育課程 目標 分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8 이경숙,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53-68, 2011

      29 이정은,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영역 학습 목표 분석 : Bloom의 신교육 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