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통, 말할 수 없는 것 :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 = Pain, the Unspeakable : A question regarding literary capacity for historical mem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9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 since the modern era, pain of humankind has sustained undetachable tie with totalitarian violence which is spread over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verwhelmingly. The pain itself represents the agony which is derived from the acceptance of "our...

      Ever since the modern era, pain of humankind has sustained undetachable tie with totalitarian violence which is spread over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verwhelmingly. The pain itself represents the agony which is derived from the acceptance of "ourselves" destructed thoroughly. For this reason the pain of humankind requires complicated consideration including political, ethical and human aspect in itself.
      In this study, the question regarding whether literature holds the capacity for historical memory leads profound examination on the historical memory and pain in the novels of those who represent modernism literature of 1960s, like Kim Seung-ok, Seo Jung-in and Lee Chung-jun. Their novels deal with the memory on historical sphere of the 4․3 Resistance in Jeju-Do, Yeo-sun incident, Korean war, April 19th revolution, May 16th coup d’état and Yushin system. By describing the humankind's pain within historical memory, their works ponder the issues on the origin and prevalent tendency and the reason why it is duplicated and persistent.
      Clinging to one's death as a historical memory, the novels delineate the pain left behind the history, the dying and living, the half-being on the procedure of dying, or the non-being such as a dead body or one in an urn of funeral ashes. The remains rather than historic event itself is mainly the object of reinterpretation and all surroundings of human being as well. In these novels whole condition under Yushin system of 1970s, the apex of historical pain, is a mara experience which allows no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deprives all kind of humanness, a prison of no life time return and a camp which provides dead-alive condition and dead coming out eventually. In other words, the history we have gone through is a period that made us be ashamed of our human being by establishing totalitarian logic as a domineering notion which causes destruction of physical and mental status. Furthermore, it was like a camp that transforms human nature into useless existence in order to construct utopian society, wher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non-human available but shame at our being human.
      The pessimistic tone toward the future collapse does not necessarily incline to nihilism or defeatism though. The writers consistently meditate on history with indifferent stand point without any interest, desire and passion, as a method for an existence who is no longer useful in any aspect to survive the atmosphere where there is no human demand get accommodated. Located between the useless and the inert, these novels reveal the cruelty of history and reflect anonymous pain and death lied on the outside of historical territory. Here is the vulnerability as a literary politics. Successors of literature naturally inherit the reason of continuing to tell the historical memory as the pain get exacerbated. Though limited as the most unrealistic genre in debt of imagination, literature has kept saying about the pain and historical pain and should go on according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이후 인간의 고통은 20세기 역사의 배면에 자리한 전체주의적인 폭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것은 역사 속에서 ‘우리’ 자체가 철저하게 파괴되었다는 사실이 주는 고통이다. ...

      근대 이후 인간의 고통은 20세기 역사의 배면에 자리한 전체주의적인 폭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것은 역사 속에서 ‘우리’ 자체가 철저하게 파괴되었다는 사실이 주는 고통이다. 인간의 고통은 정치적, 윤리적, 인간적인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할 복잡한 문제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60년대 모더니즘 문학을 대표하는 김승옥, 서정인, 이청준의 소설에 들어있는 역사적 기억과 고통에 관한 단상(斷想)을 읽어 보았다. 이들의 소설은 각기 다른 빛깔과 목소리로 제주4·3항쟁, 여순사건, 한국전쟁,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 유신체제 등 역사적 경험에 관한 기억을 쓰고 있다. 이들의 문학은 역사적 기억 속의 인간존재의 고통을 말함으로써 역사 속의 고통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도대체 왜 우리는 거기에서 고통을 느껴야 했으며, 나아가 그것은 왜 지금까지도 반복되고 지속되는가라는 문제의식을 던지고 있다.
      이들의 소설은 역사적 기억 중에서 ‘한 인간의 죽음’이라는 사건에 천착하면서, 살아 있으면서도 죽어 있는 자 혹은 죽어가는 자와 같은 반(半)인간들, 시체 혹은 유골상자와 같은 비(非)인간들을 통해 역사가 남긴 고통을 말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건 그 자체보다 역사적 경험 이후에 ‘남겨진 것’을 재해석하면서 ‘인간적인 것’을 둘러싼 모든 개념들에 대해 검토한다. 이들의 소설에서, 역사적 고통의 정점에 있는 70년대 유신체제의 상황은, 인간적인 모든 것을 빼앗긴 채 살아야 했던 사회, 현실인지 환상인지 가늠할 수 없는 ‘가위눌림’의 상태, 한 번 들어가면 결코 살아 돌아오지 못한 ‘감옥’, 오직 죽은 자로서 살다가 시체로만 회수될 수 있는 ‘수용소’로 묘사된다. 즉 우리가 살아온 역사는 전체주의의 논리를 지배이념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파괴시키고 인간이라는 사실 자체를 ‘부끄럽게’ 여기도록 강요해온 곳, 유토피아의 건설을 목표로 인간의 본성 자체를 바꾸어 결국 ‘쓸모없는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수용소와 같은 곳이었다. 그곳에서는 ‘인간’과 ‘인간 아닌 것’이 구별될 수 없었고, 오직 “인간이라는 사실에 대한 부끄러움”을 안겨주었다.
      이들의 문학이 우울한 어조로 역사를 말하고 파국으로 치닫는 미래를 그리고 있다고 해서 결코 허무적이거나 패배적인 것은 아니다. 이들의 소설에 등장하는 무력한 주인공들은 기본적인 요구조차도 허락되지 않은 역사적 상황 속에서 쓸모없어진 존재들이다[無用]. 그러나 이 무용한 존재가 할 수 있는 선택 중의 하나는 자기 안의 열정을 제거한 채 의도적으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태도를 취하면서[無爲] 부정적인 역사의 흐름과 거리를 두고 그 이면의 어둠을 기록하는 일이다. 그것은 숱한 생명을 죽음으로 몰고 간 역사의 어두운 손길에 대한 ‘방법으로서의 거절’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들 소설가의 시선은 실증주의자의 눈이 아니라 해석학자의 눈에 가깝다. 그들의 눈은 과거의 역사적 기억과 비판적인 거리를 둔 채, 그것을 지금 여기에 놓인 세계의 현상과 끊임없이 겹쳐 읽음으로써 또 다른 가능성의 세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역사의 부정적 물결을 거슬러 나아가는 방법으로서의 무용(無用)과 무위(無爲) 사이에서, 이들의 문학은 역사적인 고통이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언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인, "후송" 1962

      2 이청준, "황홀한 실종" 1976

      3 김승옥, "환상수첩" 1962

      4 박진우, "호모 사케르-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315-339, 2008

      5 서정인, "해바라기" 1991

      6 최문규, "한줌의 도덕 : 상처입은 삶에서 나온 성찰" 솔 69-, 1951

      7 우찬제, "한국 소설의 고통과 향유" 문학과지성사 (겨울) : 1547-1575, 1999

      8 강영안, "타인의 얼굴" 문학과지성사 207-237, 2007

      9 이재원, "타인의 고통" 이후 17-188, 2003

      10 양운덕, "침묵의 증언, 불가능성의 증언"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7 : 83-131, 2009

      1 서정인, "후송" 1962

      2 이청준, "황홀한 실종" 1976

      3 김승옥, "환상수첩" 1962

      4 박진우, "호모 사케르-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315-339, 2008

      5 서정인, "해바라기" 1991

      6 최문규, "한줌의 도덕 : 상처입은 삶에서 나온 성찰" 솔 69-, 1951

      7 우찬제, "한국 소설의 고통과 향유" 문학과지성사 (겨울) : 1547-1575, 1999

      8 강영안, "타인의 얼굴" 문학과지성사 207-237, 2007

      9 이재원, "타인의 고통" 이후 17-188, 2003

      10 양운덕, "침묵의 증언, 불가능성의 증언"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7 : 83-131, 2009

      11 이청준, "침몰선" 1968

      12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37-135, 2001

      13 강진호, "증언으로서의 문학사" 깊은샘 235-287, 2003

      14 이청준, "조만득씨" 1980

      15 이진우, "전체주의의 기원2" 한길사 145-253, 2006

      16 최정기, "전쟁과 재현 : 마을 공동체의 고통과 그 대면" 한울 2008

      17 이청준, "전쟁과 악기" 1970

      18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한울 2003

      19 김승옥, "재룡이" 1968

      20 김미기,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책세상 63-121, 2007

      21 이청준, "인간인" 1985

      22 이청준, "이청준문학전집" 열림원 1998

      23 제주4・3연구소, "이제사 말햄수다(4‧3증언자료집1" 한울 1989

      24 이현경, "이것이 인간인가" 돌베개 2009

      25 김선욱,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9

      26 김승옥, "염소는 힘이 세다" 1966

      27 김승옥, "역사(力士)" 1963

      28 홍영기, "여순사건자료집1" 선인 2001

      29 임종명, "여순사건의 재현과 폭력" 한국근현대사학회 32 : 103-234, 2005

      30 박성관, "어떤 감정의 미래-<부끄러움(恥)>의 역사성" 문화과학사 (1) : 17-62, 2001

      31 서정인, "어느 날" 1974

      32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 2003

      33 강영안,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75-78, 2001

      34 이청준, "숨은 손가락" 1985

      35 이청준, "소문의 벽" 1972

      36 김승옥, "생명연습" 1962

      37 일연, "삼국유사" 한길사 374-376, 2006

      38 김승옥, "빛의 무덤 속" 1966

      39 박준상, "빈 중심" 그린비 72-87, 2008

      40 서정인, "붕어" 세계사 1994

      41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1966

      42 서정인, "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 작가정신 1998

      43 서정인, "벌판" 나남출판 1988

      44 이청준, "벌레 이야기" 1985

      45 김행선, "박정희와 유신체제" 선인 24-61, 2006

      46 서정인, "미로" 1967

      47 서정인, "물결이 높던 날" 1963

      48 서정인, "무자년의 가을 사흘" 1994

      49 이청준, "목포행" 1971

      50 김승옥, "먼지의 방" 1980

      51 이청준, "마기의 죽음" 1967

      52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1976

      53 서정인, "달궁" 1985

      54 김승옥,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1963

      55 김승옥, "내가 훔친 여름" 1967

      56 김승옥, "김승옥문학전집" 문학동네 1995

      57 최문규, "기억과 망각 : 문학과 문화학의 교차점" 책세상 2003

      58 김승옥, "그와 나" 1972

      59 서정인, "국경수비대" 1991

      60 손봉호, "고통받는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부 10-21, 1995

      61 서경식,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철수와영희 2009

      62 김유동,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229-280, 1996

      63 김승옥, "건(乾)" 1962

      64 이청준, "개백정" 1969

      65 서정인, "가위" 1976

      66 서정인, "가위" 책세상 2007

      67 김승옥, "60년대식" 1968

      68 김정숙, "5·18 민중항쟁과 기억의 서사화 -8·90년대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7 (7): 177-204, 2007

      69 차하순, "20세기의 역사" 가지않은길 2000

      70 이삼성,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 전쟁과 평화, 인간의 비극에 관한 정치적 성찰" 한길사 19-15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6-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9-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0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