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2년부터 실시하여 2014년 현재 3년차 시행 중에 있는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행정실무사 제도의 공과(功過)...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696895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초등교육행정 , 2015. 2
2015
한국어
인천
viii, 108 p. ; 26 cm
지도교수: 왕한신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2년부터 실시하여 2014년 현재 3년차 시행 중에 있는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행정실무사 제도의 공과(功過)...
본 연구는 2012년부터 실시하여 2014년 현재 3년차 시행 중에 있는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행정실무사 제도의 공과(功過)를 살펴 성과(成果)적인 측면의 계속된 추진과 미흡한 부분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기왕(旣往)에 경기도교육청의 막대한 예산을 수반한 동제도가 학교 현장에 교사행정업무경감이라는 효율성을 담보하며 안정적으로 착근할 수 있는 정착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에 대한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 시행에 따른 교사행정업무경감의 성과와 문제점은 어떠한가?
셋째,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의 안정적 정착 방안은 무엇인가?
설정된 문제 해결을 위해 이론적 연구를 통해 행정실무사 제도, 교무보조인력 타 시․도 활용 사례(강원도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비교 연구, 교원의 업무와 교원업무경감 대상 업무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제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경기도 초등학교 교사 351명에게서 온라인 설문 응답을 받았고 그 중 결측치 20명분 설문을 제외한 331명분 설문을 유효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 SPSS WIN Ver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배경변인 집단 수와 집단별 분석 특징에 맞게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실무사 제도 운영 전반 실태 교사 인식 분석에서 평균 3.83, 행정실무사 본연의 업무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도 분석에서 평균 4.10으로 나타나 3년차 시행 중인 행정실무사 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와 행정실무사 간의 업무 책임 소재, 행정실무사에게 업무부탁 용이성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교 차원의 업무 분석과 시스템을 통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행정실무사 제도 공과(功過)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행정실무사 제도 성과 분석 결과 전체 평균 4.13으로 동제도가 경기도 초등 교사들에게 높은 성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교사행정업무 경감의 효과가 수업, 학생 생활지도 등 교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게 되었음을 볼 수 있는 결과다. 다만 동제도 시행에 따른 교사행정업무경감의 과실을 보직 교사, 행정업무전담팀 교사, 경력 20년 이상 30년 미만 교사 그룹 등이 독식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명확한 자기 의사 표현의 힘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나이 많은 행정실무사와 업무 협조에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5년 미만 저경력 교사와 30년 이상 무보직 경력교사로 학교 핵심 업무에서 배제된 원로교사는 행정실무사의 활용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행정실무사 제도의 안정적 정착 방안에 대해 행정실무사 권한과 책임의 명확화(M=4.62), 행정실무사 업무분장 명확화(M=4.51), 행정실무사 증원(M=4.45) 등의 항목에서 교사들의 요구 수준이 높았다. 행정업무 처리 시 애매모호한 업무 경계 및 책임 소재에 대한 학교 구성원 간의 소통과 의사결정권자의 결단을 통한 업무분장 및 책임 소재의 명확화가 필요하다. 행정실무사 증원에 대한 현장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예산상으로 문제로 채용이 동결되어 결원이 발생해도 추가 배치가 불가한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3년차 시행으로 교육 현장에 교사행정업무 경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는 행정실무사 제도에 대한 경기도교육청의 예산 우선 배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