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간 만들기 : 본인의 석사학위 청구개인전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8312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0 판사항(4)

      • DDC

        750.18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i, 19, [5]p. : 도판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19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석사학위 청구 개인전에 전시되어졌던 본인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 해설 논문으로서 실기 작업을 중심으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작업에 대한 태도도 ...

      본 논문은 석사학위 청구 개인전에 전시되어졌던 본인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 해설 논문으로서 실기 작업을 중심으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작업에 대한 태도도 함께 보여주고자 한다. 석사학위 청구개인전에 전시되었던 작품들은 1999년 2월부터 5월까지 네 달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완성을 한 것이며, 전시는 1999년 6월 2일부터 1999년 6월 8일까지 인사동 관훈 미술관에서 진행이 되었다. 이 전시에 보여졌던 작품의 주제는 사물과 관계를 맺으며 존재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 본인은 대학원이 연구과정으로써 개성적인 작업성격을 찾아내고 개발하는 학습의 시기라는 것을 인식하고, 대학원 과정 안에서 본인이 작업을 하는 목표와 이유를 확실히 하고 생각을 작업으로 나타내기 위한 새로운 표현도구와 방법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이것은 본인의 생각과 감성을 효과적으로 작품에 나타내기 위한 노력으로, 독창적인 작업을 위한 모색이라고 하겠다. 본인��있어서 그림은 자신의 생각과 감성을 투영하는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작가의 생각과 감성이 효과적으로 표현되었을 때 관람자는 자신의 경험이나 의식 속에서 작품과의 소통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렇게 되면 작가와 관람자는 작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람자와의 소통은 거의 모든 예술가들이 바라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본인도 역시 자신의 작품을 통해서 타인과 만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본 논문에서 해설하려고 하는 것은 석사학위 청구개인전에 전시된 작품과 본인이 작업을 하는 태도에 관한 것이며, 이것을 통해서 본인의 작업 목표와 작업을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석사학위 청구개인전에 전시되었던 작품을 중심으로 재료와 소재, 작업 방법 등을 살펴보고, 또한 이 작품들이 나오기까지 본인이 대학원에서 작업했던 이전의 작업도 살펴보고자 한다.
      작품 안에서 표현되어지는 작가의 생각이나 감성, 의도 등은 특정한 기준이 없이 작가 스스로가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에 작가의 독자적인 경험과, 사물을 늘 새롭게 바라보는 감성 능력 그리고 흔들리지 않는 가치체계를 만들어 내야 하겠다. 본인��있어서 본 논문은 이러한 작��되기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그 동안 본인을 아껴주시고 많은 가르침을 주셨던 여러 선생님들과 부모님 그리고 친구들��감사드리고 그 중에서도 본인의 부족한 논문을 항상 격려해 주시며 지켜봐 주신 임송희 선생님과 본인이 작업을 하고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언제나 제대로 길을 가도록 신경 써주고 채찍이 되는 많은 이야기를 해 주었던 박성신 양��감사드리며 부족한 글의 첫 장을 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present an analytical thesis based on my art works, which were exhibited for request of the master degree, and wish to speak of my attitude towards studio work. I produced these works in a comparatively short time, February 1999 to May 1999, and exh...

      I present an analytical thesis based on my art works, which were exhibited for request of the master degree, and wish to speak of my attitude towards studio work. I produced these works in a comparatively short time, February 1999 to May 1999, and exhibited them at the Guan-Hun gallery in In-Sa-Dong from June 2, 1999 through June 8, 1999. The subject of this exhibition was to create a space that exists in relationship with other objects. I have perceived that the research process of graduate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develop an individual work character and have made an effort to seek new tools and methods in expressing ideas.
      Art works present the process of an effort to input my thoughts and emotions effectively and to search for unique works I consider art works a mediator that reflects an artist's ideas and emotions, which are effectively delivered when spectators understand these art works based on their experience or consciousness. Ultimately, the artist and spectators communicate by the medium of art works I myself also wish to establish such communication with spectators through my works.
      Now I would like to analyze my works at the exhibition and my attitude towards studio work. First of all, I will look over materials, subject matters and the process of my works, mainly focusing on the works prepared for the exhibition. In addition, I will look through other works produced before graduate school.
      Artists generate their ideas, sensibility and intentions on their own with no specific standards. Therefore, artists should constantly try to meet unusual incidents for a new experience or develop a visual ability to see things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and worth system which would not be controlled by anything.
      This thesis will become the basis that inspires me to lead my life such way, I deeply appreciate that all my teachers, friends and my parents took great care of me and had been supportive of me I especially thank Professor Song-Hee Lim who always encouraged me to be confident in writing my thesis and Sung-Shin Park who paid careful attention to me while I was working or writing this thesis. Now I would like to dare open my first p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머리말 = 1
      • II. 본문 = 3
      • 1. 『회색그림』 의 주제 - 이전의 작품과 함께 언급 = 3
      • 목차
      • 국문초록
      • I. 머리말 = 1
      • II. 본문 = 3
      • 1. 『회색그림』 의 주제 - 이전의 작품과 함께 언급 = 3
      • 2. 재료와 소재의 선택 그리고 역할 = 8
      • 1) 트레이싱지와 트레팔지 = 8
      • 2) 회색 = 10
      • 3) 사물로서 선택된 상자, 컵, 유리병 = 11
      • 4) 소재 - 지문 = 12
      • 3. 『회색 그림』의 작업과정과 개인전의 방식 = 13
      • III. 맺음말 = 17
      • 참고문헌 = 19
      • 참고도판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