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운동의 평화권 담론의 논리와 한계 =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iscourse of the Right to Peace in South Korean Social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2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iscourse of the right to peace in South Korean social movement since 2000s. The three main criteria for analyzing them are the subject of the right to peace, the territory of protection 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iscourse of the right to peace in South Korean social movement since 2000s. The three main criteria for analyzing them are the subject of the right to peace, the territory of protection of the right to peace, and the guarantee plans of the right to peace. In order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iscourse of the right to peace through the three criteria, I practiced four case studies: 1) the theory of South Korean social movement activists opposing the sanctions on North Korea regard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2) the theory of their opposing South Korean troops dispatch to Iraq; 3) the theory of their opposing U.S. Army installation extension in Pyeongtaek; and 4) the theory of their opposing the ROK-US joint military drills. The discourse of the right to peace in South Korean society leveled up the discourse of human rights in South Korean Society by opening discussion of national security and enabling people to paricipate in the discussion. However, the discourse of the right to peace could not acquire legal basis,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concluded that the right to peace did not belong to constitutional basic ri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사회운동권에서 제기한 평화권 담론의 논리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평화권 논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첫째, 평화권의 주체, 둘째, 평화권의 보호영역(...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사회운동권에서 제기한 평화권 담론의 논리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평화권 논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첫째, 평화권의 주체, 둘째, 평화권의 보호영역(혹은 권리내용), 셋째, 평화권의 보장 메커니즘(혹은 실효성)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평화권 담론을 분석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대북인권압박 반대론, 이라크파병 반대론, 평택미군기지확장 반대론, 한미연합군사훈련 반대론 네 가지를 선택하였다. 본래 인권의주체는 개인인데 사회운동권에서는 집단이나 국민도 평화권의 주체가 될 수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 이 주장은 법적으로 수용되지 않고 있다. 평화권의 보호영역은 국민이 침략전쟁의 가해자나 피해자가 되지 않을 권리를 말한다고 하지만, 그것은 법적 수단에 의하여 보장될 내용이라기보다는 국가 차원의 정치와 정책으로 보장될 사항이다. 평화권의 보장 메커니즘과 관련하여서도 무력을 행사하려는 개인이나 집단, 국가가 평화권을 준수하도록 어떻게 강제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특히 강대국의 평화권 준수를 강제할 방안은 현실적으로 없어 보인다. 평화권 논의는 안보 논의의 장을 개방하여 국민참여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사회 인권 담론에 기여하였으나 평화적생존권이 헌법상 기본권에 속하지 않는다는 헌재 판결로 볼 때 그 한계도 명확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석, "헌법상 평화주의와 그 실천적 의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0 (0): 49-77, 2004

      2 정욱식, "한국 평화운동의 성과와 전망, 그리고 과제" 235-245, 2004

      3 한상희, "평화헌법과 평화적 생존,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가능성"

      4 이경주, "평화적 생존권의 헌법실천적 의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1) : 175-217, 2009

      5 정혜인, "평화적 생존권의 보호영역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35) : 383-408, 2011

      6 유엔인권이사회, "평화권의 증진 관련 결의" 7 (7): 2008

      7 서보혁, "평화권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추세,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2012

      8 임재성, "평화권, 아래로부터 만들어지는 인권 : 한국 사회운동의 ‘평화권’ 담론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1) : 167-210, 2011

      9 이경주, "평화국가 원리와 한미연합증원훈련"

      10 송강호, "토론1: 평화롭게 살 권리,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1 서경석, "헌법상 평화주의와 그 실천적 의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0 (0): 49-77, 2004

      2 정욱식, "한국 평화운동의 성과와 전망, 그리고 과제" 235-245, 2004

      3 한상희, "평화헌법과 평화적 생존,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가능성"

      4 이경주, "평화적 생존권의 헌법실천적 의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1) : 175-217, 2009

      5 정혜인, "평화적 생존권의 보호영역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35) : 383-408, 2011

      6 유엔인권이사회, "평화권의 증진 관련 결의" 7 (7): 2008

      7 서보혁, "평화권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추세,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2012

      8 임재성, "평화권, 아래로부터 만들어지는 인권 : 한국 사회운동의 ‘평화권’ 담론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1) : 167-210, 2011

      9 이경주, "평화국가 원리와 한미연합증원훈련"

      10 송강호, "토론1: 평화롭게 살 권리,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11 이대훈, "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강정 마을 시민, 주민들의 평화권,in 평화권의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12 필립스 쉬블리, "정치학개론" 명인문화사 2008

      13 이경주, "일본의 평화적 생존권,in 평화권의 국제적 논의와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14 "일반사병 이라크파병 위헌 확인[헌재결정례, 2003헌마814, 2004.4.29, 전원재판부]"

      15 "이라크전쟁 파견결정 등 위헌확인, 이라크전쟁 파견동의안 동의 위헌확인[헌재결정례, 2003헌마255․256(병합), 2003.12.18, 전원재판부]"

      16 홍익표, "북한인권문제를 둘러싼 동북아 국제갈등: '세 세대 인권' 개념을 중심으로"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7 (17): 107-142, 2012

      17 서보혁, "북한인권 이해의 새로운 지평" 통일연구원 2012

      18 서보혁, "북한 인권 개선 전략: 평화와 인권의 상호의존 하에서" 코리아연구원 2009

      19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미합중국군대의 서울지역으로부터의 이전에 관한 협정등 위헌확인[헌재결정례, 2005헌마268, 2006.2.23, 전원재판부"

      20 최경옥, "日本國憲法 第9條와 平和的 生存權의 등장과 문제점 - 反戰時期(1964년 이후)부터 2000년까지;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149-175, 2008

      21 佐藤功, "憲法(上)ポケット注釈全書" 有斐閣 1983

      22 佐藤幸治, "憲法" 青林書院 1992

      23 山內敏弘, "平和憲法の理論" 日本評論社 1992

      24 星野安三郎, "平和に生きる権利" 法律文化社 1974

      25 鄭惠仁, "大韓民國憲法上における平和的生存權の認定可能性" 28 (28): 2011

      26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0/001055/105530e.pdf"

      2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1/20/2006012070005.html"

      28 Vasak, Karel, "The International Dimensions of Human Rights Vol.1" Greenwood Press 1982

      29 Wellman, Carl, "Solidarity, the Individual and Human Rights" 22 (22): 2000

      30 Forsyth, David, "Human Rights and Peace: International and National Dimens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3

      31 Alston, Phillip, "Conjuring Up Human Rights: A Proposal for Quality Control" 78 (78): 1984

      32 Vasak, Karel, "A 30-year Struggle: the Sustained Efforts to Give Force of Law to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33 "2007년 전시증원연습 등 위헌확인[헌재결정례, 2007헌마369, 2009.5.28, 전원재판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