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34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격히 변화하는 오늘날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기업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개인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적 자본을 활용하는 것이다. 심리적 자본은 조직의 보통사람들이 강점과 미덕, 잠재력에 초점을 맞춰 그것을 개발하고 육성함으로써 개인의 삶에 만족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고 이는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직무열의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자본이 업무에 대한 긍정적이고 정력적이며 헌신하고 몰두하는 마음가짐인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동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임파워먼트를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으로 분리하여 매개효과로서의 그 차이를 알아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았으며 이를 연구모형으로 설계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수도권지역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사회과학 통계분석 패키지인 SPSS 18.0을 활용하여 필요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심리적 자본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 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활력과 헌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자본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임파워먼트도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적 측면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적 측면의 임파워먼트가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구성원 개인의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은 조직구성원, 해당산업, 조직구조, 핵심역량 등을 고려한 조직문화의 구성과 조직 및 인사관리 등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과 임파워먼트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은 지속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미래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함으로서 조직의 변화를 추구할 때 기업의 성장과 조직구성원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급격히 변화하는 오늘날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기업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개인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적 자본을 활용하는 것이다. 심리...

      급격히 변화하는 오늘날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기업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개인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적 자본을 활용하는 것이다. 심리적 자본은 조직의 보통사람들이 강점과 미덕, 잠재력에 초점을 맞춰 그것을 개발하고 육성함으로써 개인의 삶에 만족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고 이는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직무열의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자본이 업무에 대한 긍정적이고 정력적이며 헌신하고 몰두하는 마음가짐인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동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임파워먼트를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으로 분리하여 매개효과로서의 그 차이를 알아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았으며 이를 연구모형으로 설계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수도권지역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사회과학 통계분석 패키지인 SPSS 18.0을 활용하여 필요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심리적 자본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 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활력과 헌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자본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임파워먼트도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적 측면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적 측면의 임파워먼트가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구성원 개인의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은 조직구성원, 해당산업, 조직구조, 핵심역량 등을 고려한 조직문화의 구성과 조직 및 인사관리 등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과 임파워먼트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은 지속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미래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함으로서 조직의 변화를 추구할 때 기업의 성장과 조직구성원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ever-changing business entities today to consistently grow,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and adopted. Among them is th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apital that emphasizes positive aspects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 focuses on the advantages, virtues, and potentials of common people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s them so that the individuals can feel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life, which leads to job engagement that affects, direct or indirect, the achieve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ngagement, which reflects the energy, dedication, and absorption of the person. In addition, empowerment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members, which has been implemented to a limited degree, is divided to personal aspects and systematic aspects to verify the difference and effect as the mediating effects to design the study model. To this end,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for office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which was analyzed in utilization of SPSS 18.0, the statistical package of social sc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sychological capital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Especially among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as resilience and self-efficacy increase, vigor and dedication increase accordingly. Besides, as psychological capital increases, empowerment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members increases as well.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ngagement, it turned out that empowerment both in personal aspects and systematic aspects play the mediating role. Such results indicate that corporations should put forth a lot of efforts to such matters as composition of the corporate cultur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industry, organization system, and key competence so that psychological capital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be improved in the long run. In addition to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owerment ar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consistent growth of the corporation. Thus, the entity should present the vision and goal for the future that the members can share, which can result in changes in the organization as well as the growth of both the organization and the members.
      번역하기

      For ever-changing business entities today to consistently grow,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and adopted. Among them is th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apital that emphasizes positive aspects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 focuses on t...

      For ever-changing business entities today to consistently grow,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and adopted. Among them is th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apital that emphasizes positive aspects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 focuses on the advantages, virtues, and potentials of common people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s them so that the individuals can feel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life, which leads to job engagement that affects, direct or indirect, the achieve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ngagement, which reflects the energy, dedication, and absorption of the person. In addition, empowerment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members, which has been implemented to a limited degree, is divided to personal aspects and systematic aspects to verify the difference and effect as the mediating effects to design the study model. To this end,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for office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which was analyzed in utilization of SPSS 18.0, the statistical package of social sc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sychological capital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Especially among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as resilience and self-efficacy increase, vigor and dedication increase accordingly. Besides, as psychological capital increases, empowerment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members increases as well.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ngagement, it turned out that empowerment both in personal aspects and systematic aspects play the mediating role. Such results indicate that corporations should put forth a lot of efforts to such matters as composition of the corporate cultur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industry, organization system, and key competence so that psychological capital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be improved in the long run. In addition to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owerment ar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consistent growth of the corporation. Thus, the entity should present the vision and goal for the future that the members can share, which can result in changes in the organization as well as the growth of both the organization and the memb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3절 논문의 구성 4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3절 논문의 구성 4
      • 제 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 제 1절 심리적 자본 5
      • 1. 심리적 자본의 이해 5
      • 2. 심리적 자본의 개념 6
      • 3. 심리적 자본의 선행연구 9
      • 제 2절 직무열의 14
      • 1. 직무열의의 개념 14
      • 2. 직무열의의 하위 차원 16
      • 제 3절 임파워먼트 18
      • 1. 임파워먼트의 정의 18
      • 2. 임파워먼트의 선행연구 20
      • 제 3장 연구방법 22
      • 제 1절 연구모형의 설계 22
      • 제 2절 가설의 설정 23
      • 1.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와의 관련성에 관한 가설 23
      • 2. 심리적 자본과 개인적 측면의 임파워먼트와의 관련성에 대한 가설 25
      • 3. 심리적 자본과 조직적 측면의 임파워먼트와의 관련성에 대한 가설 26
      • 4.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개인적 측면의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27
      • 5.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조직적 측면의 임파워먼트의매개효과 29
      • 제 3절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32
      • 1. 심리적 자본 변수 32
      • 2. 직무열의 변수 33
      • 3. 임파워먼트 변수 34
      • 제 4장 연구 결과 36
      • 제 1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36
      • 1. 자료의 수집 36
      • 2. 분석방법 38
      • 제 2절 측정항목의 평가 39
      • 1. 구성개념의 타당성 분석 39
      • 2. 신뢰성분석 42
      • 3. 상관관계 분석 44
      • 제 3절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46
      • 1.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46
      • 2. 가설 검증에 대한 요약 59
      • 제 5장 결론 63
      • 제 1절 연구의 요약 63
      • 제 2절 연구의 시사점 66
      • 제 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8
      • 1. 연구의 한계 68
      • 2. 향후 연구과제 69
      • 참고문헌 71
      • 설 문 지 77
      • ABSTRACT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