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비드19 감염병 사태는 성직자를 중심으로 교회 공동체에서 모이던 형태에 변화를 요구한다. 평신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신앙을 성숙하게 만들고, 나아가 평신도 목회자의 역할도 감당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69421
2021
Korean
학술저널
363-395(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비드19 감염병 사태는 성직자를 중심으로 교회 공동체에서 모이던 형태에 변화를 요구한다. 평신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신앙을 성숙하게 만들고, 나아가 평신도 목회자의 역할도 감당해...
코비드19 감염병 사태는 성직자를 중심으로 교회 공동체에서 모이던 형태에 변화를 요구한다. 평신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신앙을 성숙하게 만들고, 나아가 평신도 목회자의 역할도 감당해야 할 것이다. 존 웨슬리의 평신도 사역자들은 신도회와 그 안의 여러 모임의 지도자로 활동하며, 감리교 운동의 성장을 견인하였다. 평신도 설교자는 제도와 직제 중심의 성직 이해에서 벗어나 기능 중심의 실용적 목회직 이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감리교 목회의 독특성을 보여준다.
성직자뿐 아니라 평신도들도 ‘영혼구원’의 직무를 감당하는 목회자가 되어야 한다. 웨슬리의 초기 감리교 안에서는 영혼구원의 사명과 직무에 있어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없었다. 성례전 집례를 제외하고는 성직자와 평신도를 적절히 구별하는 것이 어려웠다. 웨슬리는 이런 맥락에서 “협동설교자” 혹은 “설교도우미”로 불리던 평신도 설교자를 목회자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웨슬리가 성직 제도를 부정하거나 없애고자 한 것은 아니다. 그는 부제(집사), 사제(장로), 주교(감독)라고 하는 세 가지 성직을 인정했다. 다만 초기 감리교 내에서는 성직안수 받은 집사의 역할이 축소되었으며, 성직안수 받은 장로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웨슬리는 미국 감리교 사역을 위해 감리사를 성별하였다. 감리사는 감독의 역할을 하였고, 미국 감리교 안에서 감독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 본 연구자는 감리교 목회의 시조 내지는 모델로 존경받는 웨슬리가 가졌던 성직(목회직) 이해를 원자료를 중심으로 역사신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감리교회의 바람직한 목회 이해와 목회자상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웨슬리의 평신도 사역자 활용의 역사와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평신도 목회의 사명과 미래에 대한 통찰을 얻어 보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VID-19 situation demands a change in the established form of the clergy-centered congregation. Lay people will have to make their own faith mature, and moreover, they will have to take on the role of lay pastors. John Wesley’s lay ministers le...
The COVID-19 situation demands a change in the established form of the clergy-centered congregation. Lay people will have to make their own faith mature, and moreover, they will have to take on the role of lay pastors. John Wesley’s lay ministers led the growth of the Methodist movement by serving as leaders of the congregation and its various groups. The lay preacher shows the uniqueness of the Methodist ministry in that it breaks from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clergy which focused on system and order. It shows a practical and functional understanding of ministry.
Lay people as well as clergy should become pastors who are responsible for saving souls. Within Wesley’s early Methodism,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clergy and laity in the mission and duty of saving souls. Except for administering sacraments, it was difficult to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a clergy and a layman. At this point, Wesley included the lay preachers, who were called “Assistants” or “Helpers,” in the category of pastor.
Wesley did not intend to deny or abolish the clergy system. He recognized three orders of clergy: deacon, elder, and bishop. However, in the early Methodism, the role of deacons was reduced, and the role of elders increased. Wesley set apart a superintendent for the Methodist ministry in the United States. The superintendent served as a bishop and was called “bishop” within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In this study, I examined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clergy (ministerial office) in historical methodology researching the primary sources. In doing so, I tried to find a Methodist understanding of ministry and a desirable image of pastor.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history and meaning of Wesley’s use of lay ministers, I tried to get insights into the mission and future of lay ministry.
목차 (Table of Contents)
『대진경교유행중국비』(781년)의 경교(景敎)인들의 신앙생활 모습: 동례(東禮), 격목(擊木), 삭정(削頂), 존수(存鬚), 칠시예찬(七時禮讚)의 경우
박순경의 통일신학에 나타난 민족 · 민중 · 여성의 종교적이고 신학적 의미
스크랜튼(William Benton Scranton)의 선교에 대한 재고찰과 그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