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村 權近의 「記文」은 고려 말 五臺山의 信仰體系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말선초의 한양 천도 이후 한강의 시원 비정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50216
2011
Korean
漢江의 始原 ; <Odaesan Seodae Sujeong-am Jungchanggi> ; Utongsu ; Sujeong-am ; Geumgangyeon ; Odaesan ; faith system ; origin of Han River ; Mahā-sthāma-prāpta ; Amita ; 「五臺山西臺水精菴重創記」 ; 于筒水 ; 水精菴 ; 金剛淵 ; 五臺山 ; 信仰體系 ; 大勢至 ; 阿彌陀
220
KCI등재
학술저널
473-510(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陽村 權近의 「記文」은 고려 말 五臺山의 信仰體系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말선초의 한양 천도 이후 한강의 시원 비정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
陽村 權近의 「記文」은 고려 말 五臺山의 信仰體系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말선초의 한양 천도 이후 한강의 시원 비정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헌이다. 오대산의 신앙체계는 慈藏의 文殊信仰에서 비롯되어 寶川의 종교체험에 의해 五臺信仰으로 변모한다. 그러나 고려의 어느 시점에 오게 되면 月精寺가 寶川의 華藏寺를 압도하는 總本寺가 되면서 五臺의 개별적인 특성에 의한 오대신앙의 총체적인 측면은 변모하게 된다. 「記文」에 나타나 보이는 水精菴의 신앙체계는, 보천에 의해서 확립된 阿彌陀를 중심으로 하는 大勢至信仰이 고려 말에 이르면, 아미타를 중심으로 하는 淨土信仰의 일반론으로 바뀌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는 오대의 각기 다른 차별적인 신앙체계가 「記文」이 작성되기 이전에 이미 붕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記文」의 이해를 통해서 우리는 오대산의 신앙체계 변화에 대한 하한선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오대산 신앙체계의 변화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수립해 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한강의 시원과 관련해서는 「記文」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于筒水의 명칭과 관련된 문제들을 정리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부분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통수가 수정암의 샘을 지칭하는 국집된 표현이 아니라, 五臺川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인지해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와 연관하여 오대천의 중심적인 상징은 金剛淵에 있다는 정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ngchanggi> written by Yangchon Gwon Geu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clue about the faith system of Odaesan in late Goryeo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
<Jungchanggi> written by Yangchon Gwon Geu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clue about the faith system of Odaesan in late Goryeo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ng in early Joseon. The faith system of Odaesan started from Jajang's Munsu faith and changed into Odae faith by Bocheon's religious experience. But, after Woljeo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Buddhism overwhelming Bocheon's Hwajangsa at a certain point of Goryeo Age, the overall aspect of Odae faith by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Odae came to change. The faith system of Sujeong-am in <Jungchanggi> shows that Mahā-sthāma-prāpta faith centering on Amita established by Bocheon was changed to general Pure-land faith centering on Amita in late Goryeo. It means that each particular faith system of Odae was already collapsed before <Jungchanggi> was written. That is, we can recognize the lower limit for the change of Odaesa faith system and establish a clearer standpoint about the change of Odaesan faith syste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Jungchanggi>. Next, for the origin of Han River, we can also settl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title of Utongsu through the analysis of <Jungchanggi>. And, in the process to solve this part, it turned out that Utongsu was not an expression of narrow sense designating the spring of Sujeong-am but designating the whole Odaesan. In relation with this, it became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central symbol of Odaecheon lied in Geumgangyeon.
목차 (Table of Contents)
예수의 성령체험과 붓다의 깨달음체험의 내용과 구조 - 4복음서, 마하삿짜까숫따, 아리야빠리예싸나숫따를 중심으로 -
대한불교조계종의 교구본사 사회복지 전달체계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