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영유아교육과정에서 영유아교사가‘놀이와 배움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에 있으며, 이를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48957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64(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영유아교육과정에서 영유아교사가‘놀이와 배움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에 있으며, 이를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영유아교육과정에서 영유아교사가‘놀이와 배움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에 있으며, 이를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유아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19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9일 간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Moser(2000)가 제시한 메타포 분석에 따라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영유아교사가 인식한 놀이와 배움의 관계는 총 8개 범주, 4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놀이가 곧 배움인 이콜(=)의 관계성과 놀이와 배움의 균형적 관계성 범주는‘동등한 관계’영역으로, 놀이에서 배움을 향한 목표지향적 관계성과 배움을 품은 놀이의 사후적 관계성 범주는 ‘선형적 인과 관계’의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뗄레야 뗄 수 없는 얽힘의 관계성과 상호 돌봄의 상보적 관계성 범주는 ‘상생적 관계’의 영역으로, 아직은 얕은 피상적 관계성과 모호하게 연결된 복잡한 관계성은 ‘미규정된 관계’의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놀이와 배움의 관계에 관한 인식의 경향을 알아보고, 놀이와 배움의 관계에 관해 명증하게 귀결되는 다수의 인식 및 그 관계성에 관해 조금 더 깊은 사유를 제안하는 일부의 인식이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놀이와 배움의 관계가 더욱 깊은 논쟁과 탐구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여진, "포스트 휴머니즘 관점에서 만 3세 유아 블록놀이의 의미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2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3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고시문"
4 김지영 ; 윤진주, "자유놀이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적 탐구" 인문사회 21 12 (12): 113-126, 2021
5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6 고선 ; 정보미 ; 임지연, "은유분석을 통한 기록에 대한 영유아교사 인식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77-199, 2021
7 이은영 ; 이경민, "은유 분석을 통해 본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23 (23): 161-184, 2021
8 배진희 ; 이순아, "유아의 자유놀이를 통한 배움 방식과 교사의 역할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43 (43): 261-290, 2023
9 이진희 ; 허정민 ; 장은정, "유아들의 놀이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변화 과정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355-381, 2020
10 오경희, "유아기 상징적 놀이에서 나타나는 판타지의 교육적 함의 : 배움과 돌봄의 융합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2) : 127-146, 2013
1 이여진, "포스트 휴머니즘 관점에서 만 3세 유아 블록놀이의 의미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2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3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고시문"
4 김지영 ; 윤진주, "자유놀이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적 탐구" 인문사회 21 12 (12): 113-126, 2021
5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6 고선 ; 정보미 ; 임지연, "은유분석을 통한 기록에 대한 영유아교사 인식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77-199, 2021
7 이은영 ; 이경민, "은유 분석을 통해 본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23 (23): 161-184, 2021
8 배진희 ; 이순아, "유아의 자유놀이를 통한 배움 방식과 교사의 역할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43 (43): 261-290, 2023
9 이진희 ; 허정민 ; 장은정, "유아들의 놀이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변화 과정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355-381, 2020
10 오경희, "유아기 상징적 놀이에서 나타나는 판타지의 교육적 함의 : 배움과 돌봄의 융합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2) : 127-146, 2013
11 Moss, P, "유아교육과 대안적 내러티브" 살림터 2021
12 홍인표 ; 신수진, "예비유아교사의 은유(metaphor) 표현에 나타난 ‘좋은 놀이’에 대한 인식: 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2 (22): 273-302, 2023
13 조경자 ; 이현숙,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은유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 교육연구원 28 (28): 337-358, 2012
14 임진형 ; 이진희, "역할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은유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524-531, 2017
15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16 이은진, "생존기 유아교사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은유 분석" 유아교육연구소 22 (22): 77-99, 2020
17 Lave, J, "상황 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 강현출판사 2010
18 박원영 ; 이선미, "보육교사가 경험한 영유아의 놀이와 자율성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26) : 153-173, 2021
19 이주영 ; 조예원 ; 이채영 ; 김윤희, "메타포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7 (27): 59-81, 2022
20 김수연 ; 정가윤, "만 4세반 미술놀이에서 유아의 배움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 탐색" 한국육아지원학회 15 (15): 75-103, 2020
21 Olsson, M. L,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7
22 허휘수,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유별난 여성이 아니라 온전한 내가 되기까지" 알에이치코리아 2021
23 손연주,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존재인식론적 실행과 운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24 김경민 ; 이현진, "기호와의 우연한 마주침 그리고 배움 : 유아들의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학회 15 (15): 1-25, 2023
25 신승철, "구성주의와 자율성" 알렙 2017
26 김대현,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2017
27 손연주 ; 임부연,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 교육발전연구소 31 (31): 301-333, 2021
28 심성보,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살림터 2020
29 Pacini-Ketchabaw, V., "관계와 연결로서의 유아시기 교육 재료 탐구 물질과의 새로운 만남" 살림터 2021
30 김지성 ; 김경철,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교사들의 놀이 보기(seeing)의 어려움과 다시 보기를 통한 배움"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231-263, 2021
31 임부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10 (10): 5-32, 2020
32 Koepke, M, "Towords a pedagogy of moments" Radical pedagogies 8 : 154-161, 2015
33 Bektas, M, "The metaphors that the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related to the concept of game" 5 (5): 237-247, 2013
34 이지영, "Simulacres를 통해 영아의 놀이 속 '배움' 다시 바라보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35 허 주, "OECD 교육 2030" 한국교육개발원 2020
36 Moser, K. S,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1 (1): 1-20, 2000
37 정연주 ; 최지영, "2019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6 (16): 195-205, 2021
38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39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40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영유아기 손자녀를 둔 공동양육 조부모 관련 연구동향: 2005∼2022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미국 선샤인 공공도서관 영유아 스토리타임에 관한 문화기술지
가정환경변인이 유아 비만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건강행동의 매개효과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상담
단국대학교 김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