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 오류분석에 기반한 교수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62806

      • 저자
      • 발행사항

        군산 : 군산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710.7 판사항(6)

      • DDC

        495.70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 73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시균
        참고문헌: 장 63-66

      • 소장기관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erceptions, uses, and error patterns of postpositions in Korean among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devise a t...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erceptions, uses, and error patterns of postpositions in Korean among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devise a teaching plan for postpositions to reduce their errors.
      In Korean, postpositions are part of the essential grammar elements, being used even in simple and short sentences. They are taught and learned starting in the elementary level(Level 1) of Korean study. Korean learners, however, have a difficult time using postpositions and record a high error rate of them, which wa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 are a couple of causes behind them: first, postpositions of Korean themselves are difficult. They have various and special meanings in addition to grammatical functions. Since their usage environments are similar, it is challenging to distinguish and use accurately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each postposition; Secondly, the Korean curriculum offers no further education about the postpositions covered at the elementary level and remains at the level of adding new postpositions, which raises a need for effective and repetitive postposition educ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compositions by 22 Korean learners at Levels 2, 3 or 4 at the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of a university, examined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using and making a error with ‘이/가’, ‘을/를’, ‘은/는’, ‘에’, and ‘에서’ and categorized them into ‘substitution’, ‘omission’ and ‘addition’ for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ch were confirmed to be homogeneous based on the t-test results. While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postposition education in a morpheme-centric teaching method, the control group did postposition education in a common method. After educ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phrases, frequency of postpositions, and error rates of each postposition in their compositions for comparison purposes.
      The findings show that both the groups had educational effects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grammaticality test and that of errors in compositions. The experiment group made a little bit better improvement, but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however, noteworthy that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in the number of phrases used in compositions after education. After getting some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with regard to the use of postpositions through education, they seem to develop desire for writing and write a composition of many phrase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hanges to the number of phrases used by the experiment group(the experiment group: an increase from 824 to 1,176; the control group: a decrease from 779 to 686).
      When there is repetitive and cyclical education and learning for postpositions, they can ensure their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an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과 사용 그리고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구 대상을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여 교육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고 오�...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과 사용 그리고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구 대상을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여 교육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고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조사(助詞)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조사(助詞)는 간단하고 짧은 문장에도 사용되는 필수적인 문법 요소로 한국어 학습 초급(1급)부터 교수·학습하는 항목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학습 기간 또는 한국어 능력 급수와 상관없이 조사(助詞)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높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로 한국어 조사(助詞) 자체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한국어 조사(助詞)는 문법적 기능과 함께 다양하고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사용 환경이 비슷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각 조사(助詞)의 기능과 의미를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둘째로 한국어 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데, 초급에 제시된 조사에 대해 더 이상의 교육이 없이 새로운 조사를 추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효과적이고 반복적인 조사(助詞)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유창성에 중점을 둔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은 학습자가 조사(助詞)를 사용하지 않거나 오류를 범해도 이에 대한 묵인과 허용으로 화석화에 이르게 한다. 이는 한국어 조사(助詞)를 사용해야 하는 표현 영역에서 오류 현상으로 나타나고 한국어 학습을 지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화석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연구는 대학교 국제 교류원에서 학습하고 있는 2급, 3급 4급의 한국어 학습자 22명의 작문을 분석해서 ‘이/가’, ‘을/를’, ‘은/는’, ‘에’, ‘에서’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살펴보고 ‘대치’, ‘누락’, ‘첨가’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그룹을 대상으로 형태 초점 교수법을 활용한 조사(助詞)교육을 실시하고 통제그룹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조사(助詞)교육을 실시한 후 작문에 사용된 총 어절 수와 조사(助詞)의 사용빈도, 조사(助詞)별 오류율을 분석하여 교육 전·후를 비교하여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다. 두 그룹의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 수준의 동질성은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문법성 테스트의 정답률과 작문의 오류율에서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모두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사한 차이로 실험그룹의 결과가 더 나은 개선을 보였지만 통계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그러나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실험그룹이 교육 후에 보인 작문 사용 어절 수의 증가이다. 조사(助詞)사용에 대해 혼란을 겪던 학습자가 교육 후에 생긴 어느 정도의 이해와 자신감으로 많은 어절 수의 작문을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그룹의 사용 어절 수의 변화(실험그룹:824개에서 1176개로 증가, 통제그룹:779개에서 686개로 감소)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조사(助詞)는 학습자들에게 이미 학습의 경험이 있지만 충분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 방안으로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명시적 설명을 통하여 자유롭고 적확한 사용의 선결 조건인 이해를 돕고 조사(助詞)의 의미와 기능을 재구조화하도록 한다. 조사(助詞)에 대한 의식을 집중, 고양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지속시키고 교육의 목표인 조사(助詞)를 자유롭게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도록 한다. 학습자가 수업에서 과제를 해결하면서 자연스럽게 문법을 익히고 그것이 의사소통 능력으로 연결되는 학습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제를 기초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助詞)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한국어 조사(助詞) 오류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는 대학교 국제 교류원에서 학습하고 있는 2급, 3급 4급의 한국어 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문법성 테스트를 실시하고 조사(助詞) 유형별로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22명의 작문을 분석해서 한국어 조사(助詞)의 사용 빈도와 오류의 유형,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 통제그룹과 실험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그룹은 3차시의 조사(助詞) 집중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 테스트를 통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어 조사(助詞)의 의미와 기능을 우리말 문법론과 국립국어원의 조사(助詞) 체계, 실험 대상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울대 교재의 조사(助詞) 분류 체계를 소개하였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 부사격조사 중 ‘에’와 ‘에서’, 보조사 ‘은/는’의 여러 의미의 쓰임을 정리하고 중간언어이론과 오류 분석 이론 등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밝혔는데 2급·3급·4급의 한국어 학습자가
      교육 전에 쓴 작문 자료에서 ‘이/가’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을/를’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보조사 ‘은/는’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살펴보고 결과를 ‘대치’, ‘누락’, ‘첨가’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교육 후 작문에 사용된 총 어절 수와 조사(助詞)의 사용빈도와 오류율을 분석하여 교육 전·후를 비교하였다. 작문 자료의 결과를 보완하고 조사(助詞)의 인식 정도를 더 탐색하고자 문법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정답률을 산출, 수업 전의 문법 테스트와 비교하였다.
      4장에서는 외국어 교수법에서 문법 교육에 관한 입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개괄하고, 수업 모형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고 수업의 예시를 실었다.
      5장에서는 조사(助詞) 교육 후의 문법성 테스트와 작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조사(助詞)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오류율과 문법성 테스트의 정답률을 각각 독립표본과 대응표본으로 하여 통계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 결과를 평가한다. 실험 학습자 대상의 규모가 작고 자유 작문이기에 학습자 자신이 어렵게 느끼거나 자신 없는 조사(助詞)는 회피할 가능성도 있는 것과 이와 반대로 유형화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장만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실험 기간이 짧은 기간이라는 한계가 있었음을 밝히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 결론을 마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